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5
1.1. 연구배경 및 목적 15
1.2. 연구 내용과 방법 17
제2장 예술실천에 관한 이론적 배경 19
2.1. 미학적 가치로서의 실천의 의미 20
2.1.1. 예술의 가치란 21
2.1.2. 까간 미학의 가치론 32
2.2. 환경과 생태 인식의 변화 36
2.3. 지속 가능한 예술 39
제3장 점의 영성 이해 46
3.1. 일상과 비움 46
3.1.1. 점의 침묵 52
3.1.2. 비움의 겸손 57
3.1.3. 일상의 성화 64
3.2. 무한과 수행 69
3.2.1. 주변부를 향한 타자성 70
3.2.2. 책임 주체의 무한성 77
3.2.3. 소멸을 통한 재생의 순환성 93
3.2.4. 점성정신 100
제4장 참여와 연대의 미술 104
4.1. 수행의 예술 주체 104
4.2. 개인에서 공동체로 117
4.3. 예술의 나눔과 연대의 가치 138
4.3.1. 이웃과의 소통 138
4.3.2. 생태, 환경을 위한 공동체의 프로젝트 147
제5장 결론 157
참고문헌 161
Abstract 168
(도판 1) 록시 페인, 〈대소용돌이(Maelstrom)〉, 2009. 23
(도판 2) 록시 페인, 〈수확crop〉, 1998. 23
(도판 3) 허블 망원경으로 찍은 우주의 아름다운 사진 27
(도판 4) 맨디 바커, 〈플라스틱 스프〉, 2016. 28
(도판 5) 알레 한드로 두란, 〈쓸려 오다〉 프로젝트, 2015. 30
(도판 6) 요셉 보이스, 〈7000그루의 떡갈나무〉, 카셀, 독일, 1982-87. 42
(도판 7) 펠릭스 핑크 바이너, 〈150억그루의 나무심기〉, 2007-. 44
(도판 8)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페루분원, 〈나무심기〉, 리마, 페루, 2020. 45
(도판 9)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페루분원, 〈나무심고 물주기〉, 리마, 페루, 2020. 45
(도판 10) 힐마 아프 클린트, 〈그룹X, 1번 제단화(우측)〉, 1915. 47
(도판 11) 칸딘스키, 〈원 속의 원〉, 캔버스에 유채, 1923. 48
(도판 12) 크리스 조던, 〈아름다움 너머, '캡 쇠라'〉, 플라스틱 병뚜껑, 2019. 48
(도판 13) 크리스 조던, 〈아름다움 너머〉, 세부 49
(도판 14) 조르주 쇠라,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207.5. x 308, 1884-1886. 50
(도판 15) 조토 디본도네, 〈Jesus Washing Peter's〉, 프레스코화, 1302-6. 58
(도판 16) Ford Madox, 〈Jesus Washing Peter's〉, 1856. 59
(도판 17) 흙 밟기 60
(도판 18) 〈보물 제1438호 '백자 달항아리'〉, 높이 47.5cm, 개인 소장 61
(도판 19) 미얼 래더맨 유켈리스, 〈하트포드 청소:길 청소하기〉, 메인터넌스 인사이드, 68
(도판 20) 하트포트 소재의 와즈워스 아테니움 미술관. 1973년 68
(도판 21) 〈넘쳐나는 쓰레기-비닐〉 74
(도판 22)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서울 광화문 광장 분수대, 2018. 81
(도판 23) 〈점(點), 무한(無限)으로〉, 천호성지 박물관 전시장 모습, 2018 84
(도판 24) 황옥연, 〈별〉, '점(點), 우주의 숨'을 보고 지은 시, 2020. 87
(도판 25) 김환기, 〈우주〉, 코튼에 유채, 254 x 254cm, 1971. 89
(도판 26) 이우환, 〈점으로 부터〉, 1976. 90
(도판 27) 이우환, 〈점으로 부터〉, 1974. 90
(도판 28) 빙엔의 힐데 가르트, 〈생명의 순환〉, 겐터 필사본, S.79 93
(도판 29) 빙엔의 힐데 가르트, 〈생명의 순환〉, 세부 94
(도판 30) 제임스 브런트, 〈낙엽을 이용한 만다라〉, 가변설치, 2017. 96
(도판 31) 앤디 골드워시, 〈구멍 주위에 놓은 마가목 잎〉, 1987. 96
(도판 32) 볼프강 라이프, 〈헤이즐넛에서 온 꽃가루〉, 뉴욕 모마, 2013. 98
(도판 33) 볼프강 라이프, 뉴욕 모마 전시장 모습, 2013. 99
(도판 34) 로만 오팔카, 〈1-∞〉, 1965- 숫자를 쓰는 모습. 100
(도판 35) 로만 오팔카, 〈1-∞)〉, 195 x 153cm, 1965-. 100
(도판 36) 구계숙, 〈점 찍기〉, 김세중 미술관, 2020. 101
(도판 37) 멜 보크너, 〈블라 블라 블라〉, 2008. 111
(도판 38) 멜 보크너, 〈블라 블라 블라〉, 2012. 112
(도판 39) 멜 보크너, 〈블라 블라 블라〉, 2012. 112
(도판 40) Barbara Kruger, 〈I shop therefore I am〉, 1987. 113
(도판 41) 바버라 크루거, 〈포에버〉, 공간 특정적인 설치작품, 아모레퍼시픽미술관 114
(도판 42) 게르하르트 리히터 Gerhard Richter, 〈48 Portraits〉, 1972. 124
(도판 43) 〈식사를 나눌 식당 모습〉, 2017. 141
(도판 44) 〈이웃을 환영하는 모습〉, 2017. 141
(도판 45) 〈선물을 받고 돌아가는 이웃의 모습〉 141
(도판 46) 〈이웃들에게 줄 선물을 준비하는 모습〉 141
(도판 47) 리크리트 티라바니자, 〈팟타이(Pad Tahi)〉, (Free)〉, 2010. 쌀국수를 삶는 모습 1992, 143
(도판 48) 리크리트 티라바니자, 〈Untitled 테이블, 음식물, 주방기기, 가변크기 143
(도판 49) 이강소, 〈선술집〉, 명동화랑, 1973. 144
(작품 1) 구계숙, 〈신(新) 십장생〉, plastic bottle caps on canvas, 163 x 262cm. 2019. 25
(작품 2) 구계숙, 〈점(點), 무한(無限)으로〉, oil on canvas, 91cm x 116cm, 2016. 53
(작품 3) 구계숙, 〈Infinity Dots〉, oil on canvas, 45 x 52cm, 2018. 56
(작품 4) 구계숙, 〈Infinity Dots〉, mixed media on canvas, 45 x 52cm, 2020. 56
(작품 5) 〈버려지는 것에 대하여〉, 신문지에 아크릴, 2018. 72
(작품 6) 구계숙, 〈버려지는 것에 대하여-비닐〉 시리즈, 검정 비닐 위에 비즈, 2020. 74
(작품 7) 구계숙, 〈버려지는 것에 대하여-비닐〉 시리즈, 검정 비닐 위에 비즈, 2020. 74
(작품 8) 〈버려지는 것에 대하여-비닐〉 시리즈, 검정 비닐 위에 비즈, 김세중 미술관, 2020. 75
(작품 9) 〈점(點), 무한(無限)으로〉, 72.5cm x 60.5cm, oil on canvas, 2017. 78
(작품 10) 구계숙, 〈점(點), 무한(無限)으로〉, 91cm x 116cm, oil on canvas, 2017. 78
(작품 11) 구계숙, 〈점(點), 무한(無限)으로〉, 90cm x 90cm, oil on canvas, 2017. 79
(작품 12) 〈점(點), 무한(無限)으로〉, 130cm x 162cm, oil on canvas, 2018. 83
(작품 13) 구계숙, 〈점(點), 우주의 숨〉, mixed media on canvas, 182 x 159cm, 2019. 86
(작품 14) 구계숙, 〈space time〉, oil on canvas, 163 x 262cm, 2018. 91
(작품 15) 구계숙, 〈space time〉, 세부 92
(작품 16) 〈다시 돌아가다〉, 150cm x 150cm x3, 천위에 귤껍질, 2020. 95
(작품 17) 〈다시 돌아가다〉, 김세중 미술관 전시 모습, 2020. 96
(작품 18) 〈한 점으로 걷다〉 150cm x 380cm, 캔버스 위에 발자국, 2017. 106
(작품 19) 〈한 점으로 걷다〉 장소(서울)와 참여자가 바뀌어서 점을 찍는 모습, 2017. 107
(작품 20) 〈점(點), 기도가 되다〉, 순례자들이 점을 붙이는 모습, 2018. 108
(작품 21) 〈점(點), 기도가 되다〉, 순례자들의 참여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 2018. 109
(작품 22) 〈점(點), 기도가 되다〉, 세부 109
(작품 23) 〈점(點), 기도가 되다〉, acrylic on canvas, 145.5. x 224.2cm, 2018. 116
(작품 24) 구계숙, 〈공동체, 104명의 초상-점(點)처럼 작은 자 되어〉 acrylic on canvas, 13 x 13cm x 104, 2020. 120
(작품 25) 〈나는 어디?〉, 자신의 얼굴을 찾고 있는 모습, 김세중 미술관, 2020. 121
(작품 26) 〈공동체, 104명의 초상-점(點)처럼 작은 자 되어〉, 2020. 122
(작품 27) 〈공동체, 104명의 초상-점(點)처럼 작은 자 되어〉, 사진, 2020. 123
(작품 28) 윤태순, 〈칠색 영롱한 쌍무지개-약속〉, mixed media on vinyl bag, series, 2020. 125
(작품 29) 지근혜, 〈귤을 먹다- 껍질〉, 귤껍질 곱게 말리다, 2019-2020. 128
(작품 30) 지근혜, 〈귤을 먹다- 껍질〉, 귤껍질 곱게 말리다 세부 128
(작품 31) 지근혜, 〈귤을 먹다- 껍질〉, 귤껍질의 변주를 위해, 2020. 130
(작품 32) 구계숙, 〈space time〉, mixed media on canvas, 116.8. x 91cm x 4 series, 2020. 130
(작품 33) 〈나도 작가다〉 참여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들고 있다. 131
(작품 34) 방정순 외, 〈아기예수 탄생〉, 종이에 색연필, 2019. 132
(작품 35) 〈나도 작가다〉, 전시 포스터, 2019. 133
(작품 36) 〈나도 작가다〉, 전시 준비, 2019. 133
(작품 37) 박현숙 외, 〈예쁜 내 얼굴〉, 종이에 색연필, 2019. 134
(작품 38) 김정자, 〈사과〉, 종이에 색연필, 2019. 135
(작품 39) 황옥연, 〈사과〉, 2019. 135
(작품 40) 김정희, 〈들꽃〉, 2019. 135
(작품 41) 〈이웃 주민 초대 프로젝트 (아름다운 이웃, 함께하는 우리)〉 식사를 하는 모습, 2017. 142
(작품 42) 미생물을 함유한 흙, 현재 음식물 분해중 148
(작품 43) 음식물을 분해하여 농사를 짓는 모습 148
(작품 44) 〈5개의 오렌지〉, 2019-. 150
(작품 45) 〈5개의 오렌지의 변화〉, 2019-. 150
(작품 46) 〈수박을 먹기 위한 자세〉, 2020. 150
(작품 47) 〈수박껍질 가장 얇게 벗겨 먹기〉 150
(작품 48) 〈수세미 이야기〉, 씨앗을 모종하고, 싹 튼 모습, 2020.4 151
(작품 49) 〈수세미 이야기〉, 추수하여 씨 털기, 2020.11 154
(작품 50) 〈고마운 수세미〉, 수세미 완성, 2020.10 15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