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5
제1장 서론 6
1.1. 연구 배경 6
1.2. 선행 연구 7
1.3. 연구 목표 8
제2장 이론적 배경 15
2.1. 결합강도 측정방법 15
2.2. T-peel test 16
제3장 결합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 제작 22
3.1. 시편 제작 전체 공정 22
3.2. CNT/PDMS 전도성 폴리머 몰드 제작 23
3.3. CNT-Ni 표면 제작 24
3.4. 이형성 부여를 위한 표면 처리 26
3.5. Ni-CNT-Ni 시편 제작 29
제4장 결합강도 측정 및 평가 44
4.1. 결합강도 측정 장치의 구성 및 평가방법 44
4.2. 결합강도 측정 결과 45
제5장 결론 54
참고문헌 55
Abstract 61
Fig. 1-1. 마이크로/나노 구조화된 표면의 다양한 응용사례 9
Fig. 1-2. Microwave 처리를 통한 CNT와 금속기판 사이의 결합강도 향상 연구 10
Fig. 1-3. UV/오존 처리를 통한 그래핀과 구리층 사이의 결합강도 향상 연구 11
Fig. 1-4. 식각된 알루미늄 Foil 내부로부터 CNT를 성장시킨 결합강도 향상 연구 12
Fig. 1-5. CNT/PDMS 복합재의 식각/도금을 통해 제작한 CNT-니켈 표면 13
Fig. 1-6. 본 연구 목표인 결합강도 측정 개략도 및 예상 결과 a) Ni-CNT-Ni 시편의 결합강도 측정 개략도, b) 예상되는 결합강도 측정 결과 14
Fig. 2-1. 다양한 결합강도 측정 시험법 a) 90° peel test, b) 180° peel test, c) 정하중 박리시험, d) T-peel test... 18
Fig. 2-2. Single-arm peel test와 T-peel test 개략도 19
Fig. 2-3. T-peel test를 통한 결합강도 측정 예시 20
Fig. 2-4. T-peel test에서 결합강도와 인장속도와의 관계 21
Fig. 3-1. 결합강도 측정용 시편 제작 전체 공정 개략도 a) CNT/PDMS 복합재 몰드 제작, b) PDMS 습식식각, c) 1차 니켈 전해도금... 33
Fig. 3-2. 결합강도 측정용 시편 상세 치수 및 형상 34
Fig. 3-3. 제작된 CNT/PDMS 전도성 폴리머 몰드 35
Fig. 3-4. 니켈 전해도금 장치 구성 36
Fig. 3-5. Pulse/DC 도금 파형 및 조건 37
Fig. 3-6. 제작된 CNT-Ni 표면 38
Fig. 3-7. 니켈 표면처리 유무 비교 사진 a) 이형처리가 되지 않아 모서리부를 제외하고는 분리되지 않음... 39
Fig. 3-8. 표면처리 전/후 CNT-Ni 표면의 SEM 사진 a) 표면처리 전, b) 표면처리 후 CNT 직경의 유의미한 변화 없음 40
Fig. 3-9. 제작된 Ni-CNT-Ni 시편 41
Fig. 3-10. 초기 도금층을 DC/Pulse 도금으로 형성한 단면의 광학현미경 사진 a) DC 도금으로 초기 도금층 형성 시, 중간 CNT 계면이 확연히 드러남... 42
Fig. 3-11. 초기 도금층을 DC/Pulse 도금으로 형성한 단면의 SEM 사진 a) DC 도금으로 초기 도금층 형성 시, CNT 끝단에만 니켈 도금됨... 43
Fig. 4-1. 결합강도 측정 장비 구성 (T-peel test) 양쪽 니켈면을 고정시킨 상태로 인장력을 가하여 시편을 박리시킴 48
Fig. 4-2. 측정된 Ni-CNT-Ni, Ni-Ni 시편의 박리 하중 및 결합강도 49
Fig. 4-3. 박리 후 양쪽 니켈 표면 SEM 사진 a) 1차 니켈도금층, b) 2차 니켈도금층 양쪽 표면에 균일하게 CNT가 분포 되어있으며, CNT 직경 수준의 Hole은 관찰되지 않음 50
Fig. 4-4. 박리 후 양쪽 니켈 표면의 측면 SEM 사진 a) 1차 니켈도금층, b) 2차 니켈도금층 박리 후 표면에 존재하는 CNT 끝단에 Nickel 이 존재하지 않음 51
Fig. 4-5. 박리 후 니켈 단면 SEM 확대 사진 CNT의 최외각 벽이 단절되며 끝단 외부 직경이 감소함 52
Fig. 4-6. 박리 후 양쪽 니켈 표면의 물 접촉각 a) 1차 니켈도금층, b) 2차 니켈도금층 5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