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1

Ⅰ. 서론 13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3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15

Ⅱ. 작품의 이론적 배경 16

A. 해리포터 시리즈의 변천사 16

1. 해리포터 작품의 배경 16

2. 해리포터 작품의 영화음악들 19

B. 작곡가 존 윌리엄스의 생애와 작품세계 25

1. 생애 25

2. 작품세계 30

Ⅲ.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음악 분석 36

A. 작품의 줄거리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36

B. 영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음악 분석 42

1. 발단 (00:00:02 - 00:18:36) 42

2. 전개 (00:18:37 - 01:07:47) 56

3. 위기 (01:07:48 - 01:44:06) 93

4. 절정 (01:44:07 - 02:14:04) 115

5. 결말 (02:14:05 - 02:24:06) 135

C. 분석을 통한 음악적 특징 142

① 마법사의 돌 모티브 143

② 그리핀도르 모티브 143

③ 적의 모티브 144

④ 부모님을 그리는 해리 모티브 144

⑤ 승리 모티브 144

Ⅳ. 결론 146

참고문헌 148

부록 1. 영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큐시트 151

ABSTRACT 164

표목차

〈표 1〉 영화화된 해리포터 시리즈 24

〈표 2〉 영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장면에 따른 내용 요약 40

〈표 3〉 "헤드윅 테마곡(Hedwig's Theme)"의 음악 형식 분석 45

그림목차

〈그림 1〉 제작사(Warner Bros.)의 로고. 44

〈그림 2〉 교장 덤블도어가 마법 지팡이로 가로등을 끄는 장면. 47

〈그림 3〉 과거 회상 장면으로 전환. 64

악보목차

〈악보 1〉 "Prologue" 로고 부분에 사용된 헤드윅 테마 모티브. 44

〈악보 2〉 "헤드윅 테마곡(Hedwig's Theme)"의 음악 형식. 45

〈악보 3〉 "Prologue" 마법으로 가로등을 끄는 장면, 음향효과적 음악. 46

〈악보 4〉 "Prologue" 영화 타이틀로 이어지는 헤드윅 테마 모티브. 47

〈악보 5〉 "The Friendly Reptile" 뱀 시퀀스. 헤드윅 테마 발전 모티브. 49

〈악보 6〉 "The Friendly Reptile" 더즐리 이모부가 문을 쾅 닫는 장면. 50

〈악보 7〉 "Don't Burn My Letter" 부엉이 떼, 헤드윅 테마 모티브. 51

〈악보 8〉 "Mail Delivery" 쏟아지는 편지, 헤드윅 테마 모티브. 52

〈악보 9〉 "The Beach and the Arrival of Hagrid" 생일을 자축하는 해리. 53

〈악보 10〉 "The Beach and the Arrival of Hagrid" 거인 해그리드의 등장. 54

〈악보 11〉 "You're a Wizard, Harry" 헤드윅 테마 모티브. 55

〈악보 12〉 "Diagon Alley" 다이애건 앨리 시장. 57

〈악보 13〉 "Diagon Alley" 마법사 은행, 도깨비 묘사. 57

〈악보 14〉 "Diagon Alley" 마법사의 돌 모티브. 59

〈악보 15〉 "Harry Gets His Wand" 헤드윅 테마 모티브의 변주. 60

〈악보 16〉 "Harry Gets His Wand" "Prologue" 헤드윅 테마 모티브 변주. 61

〈악보 17〉 "Harry Gets His Wand" 적의 모티브. 63

〈악보 18〉 "Hagrid's Flashback" 과거의 분위기를 음향적으로 표현. 64

〈악보 19〉 "Hagrid's Flashback" 적의 모티브. 66

〈악보 20〉 "Hagrid's Flashback" 기차역, 헤드윅 테마 모티브. 67

〈악보 21〉 "Platform Nine and Three Quarters" 9와 ¾ 승강장으로 이동. 68

〈악보 22〉 "Platform Nine and Three Quarters" 이동에 성공한 해리. 69

〈악보 23〉 "Platform Nine and Three Quarters" 위즐리를 따라가는 해리. 70

〈악보 24〉 "Escaping Frog" 마법 개구리, 음향효과적인 음악. 71

〈악보 25〉 "Escaping Frog" 카드에서 사라진 덤블도어, 음향효과적 음악. 72

〈악보 26〉 "Arrival at Hogwarts" 호그와트의 전경, 헤드윅 테마 모티브. 73

〈악보 27〉 "Arrival at Hogwarts" 신입생들의 들뜬 마음을 표현. 74

〈악보 28〉 "Arrival at Hogwarts" 맥고나걸 교수, 미스테리한 분위기. 74

〈악보 29〉 "Entry Into the Great Hall" 말포이의 등장. 76

〈악보 30〉 "House Selection" 해리의 그리핀도르 배정, 그리핀도르 모티브. 77

〈악보 31〉 "House Selection" 말포이의 슬리데린 배정. 79

〈악보 32〉 "House Selection" 기숙사 배정을 초조하게 기다리는 해리. 80

〈악보 33〉 "House Selection" 스네이프 교수의 첫 등장. 80

〈악보 34〉 "The Banquet" 즐거운 연회 시간. 81

〈악보 35〉 "The Banquet" 목이 달랑거리는 유령 닉, 음향효과적인 음악. 83

〈악보 36〉 "Lonely First Night" 부모님을 그리는 해리 모티브. 84

〈악보 37〉 "Mail Drop" 부엉이들의 우편배달, 헤드윅 테마 모티브. 85

〈악보 38〉 "Mail Drop" 신문기사를 읽는 해리, 헤드윅 테마 모티브. 86

〈악보 39〉 "Mr. Longbottom Flies" 헤드윅 테마 발전 모티브. 88

〈악보 40〉 "Mr. Longbottom Flies" 빗자루 움직임에 따른 수직적 몽타주. 88

〈악보 41〉 "The Moving Stairs" 3층 금지구역, 마법사의 돌 모티브. 90

〈악보 42〉 "Introduction to Quidditch" 공의 움직임. 92

〈악보 43〉 "Hermione's Feather" 공중 부양 마법, 음향효과적인 음악. 93

〈악보 44〉 "Fighting the Troll" 거대하고 둔한 트롤의 느린 발걸음 묘사. 94

〈악보 45〉 "Fighting the Troll" 휘청거리다 쓰러지는 트롤. 95

〈악보 46〉 "Nimbus 2000" 스네이프를 의심하는 해리, 마법사의 돌 모티브. 96

〈악보 47〉 "Let the Games Begin" 그리핀도르 선수들의 입장. 97

〈악보 48〉 "The Scoring Begins" 경기 시작, 헤드윅 테마 발전 모티브. 99

〈악보 49〉 "Slytherin Scores" 저돌적으로 공격하는 슬리데린. 101

〈악보 50〉 "Slytherin Scores" 제멋대로 움직이는 해리의 빗자루. 103

〈악보 51〉 "Slytherin Scores" 적의 모티브 변주, 맥거핀 효과. 104

〈악보 52〉 "Harry's Great Victory" 승리 모티브. 105

〈악보 53〉 "Hagrid's Christmas Tree" 마법사의 돌 모티브. 106

〈악보 54〉 "Hagrid's Christmas Tree" 크리스마스이브. 106

〈악보 55〉 "Christmas Morning" 크리스마스 아침. 108

〈악보 56〉 "The Library Scene" 마법사의 돌 모티브. 109

〈악보 57〉 "Dumbledore's Advice" 늦은 밤, 홀로 거울을 바라보는 해리. 111

〈악보 58〉 "Hedwig's Time Transition" 흰 눈밭의 해리, 승리 모티브. 111

〈악보 59〉 "The Norwegian Ridgeback" 드래곤의 탄생. 113

〈악보 60〉 "Filch's Fond Remembrance" 관리인 필치. 114

〈악보 61〉 "The Blue Forest" 볼드모트를 처음 목격한 해리. 115

〈악보 62〉 "The Blue Forest" 볼드모트, 적의 모티브. 117

〈악보 63〉 "Three Note Loop" 마법사의 돌 모티브. 118

〈악보 64〉 "Running to McGonagall" 마법사의 돌 모티브. 119

〈악보 65〉 "Fluffy's Harp" 하프의 자장가, 소스음악. 120

〈악보 66〉 "In the Vinesnakes" 플러피와 마주치는 장면, 수직적 몽타주. 121

〈악보 67〉 "In the Vinesnakes" 악마의 덫, 음향효과적 음악. 122

〈악보 68〉 "The Flying Keys" 열쇠의 방. 123

〈악보 69〉 "The Chess Board" 체스의 방. 124

〈악보 70〉 "The Game Begins" 부서지는 말, 독특한 색채. 125

〈악보 71〉 "The Game Begins" 론에게 점점 다가오는 말. 126

〈악보 72〉 "Checkmate" 체크메이트. 128

〈악보 73〉 "Checkmate" 혼자 길을 나서는 해리. 129

〈악보 74〉 "The Mirror Scene" 다가가는 해리, 마법사의 돌 모티브. 130

〈악보 75〉 "The Mirror Scene" 볼드모트의 등장, 적의 모티브. 131

〈악보 76〉 "The Mirror Scene" 회유, 부모님을 그리는 해리 모티브. 133

〈악보 77〉 "The Mirror Scene" 퀴렐의 소멸. 133

〈악보 78〉 "Love, Harry" 어머니의 사랑, 부모님을 그리는 해리 모티브. 135

〈악보 79〉 "Love, Harry" 온갖 맛이 나는 젤리. 136

〈악보 80〉 "Gryffindor Wins" 그리핀도르의 승리, 승리 모티브. 137

〈악보 81〉 "Leaving Hogwarts" 부모님을 그리는 해리 모티브. 139

〈악보 82〉 "Leaving Hogwarts" 영화의 엔딩, 헤드윅 테마 모티브. 140

초록보기

본 논문은 영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 2001〉에 나타난 작곡가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 1932~)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한 시대를 풍미한 할리우드의 명작들은 대부분 존 윌리엄스의 손을 거쳤으며, 그는 현재까지 63년째 활동을 이어가며 현존하는 영화음악가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음악계의 거장으로 꼽힌다. 존 윌리엄스의 음악은 19세기 말의 후기 낭만주의 스타일의 계보를 이어, 웅장하고 거대한 오케스트라의 정석을 보여준다. 존 윌리엄스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2001〉과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Harry Potter And The Chamber Of Secrets), 2002〉,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Harry Potter And The Prisoner Of Azkaban), 2004〉까지 총 3편의 해리포터 영화음악을 작곡하면서 영화 〈해리포터〉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영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은 작가 조앤 K. 롤링(Joan K. Rowling, 1965~)이 집필한 마법 판타지 소설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로, 10년간의 대장정으로 막을 내린 〈해리포터〉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본 연구자는 존 윌리엄스가 어떠한 음악적 언어를 사용하여 원작 소설 속의 거대한 판타지 마법 세계와 장대한 스케일의 블록버스터 영화를 입체적으로 구현해냈는지에 대해서 음악 분석을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기에 앞서, 해리포터 작품의 배경과 해리포터 작품의 영화음악들을 선행 연구하였으며, 작곡가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살펴보았다. 효과적인 음악 분석을 위해서 서사구조를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다섯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장면에 따라 삽입된 음악을 음악의 기능, 장면과 음악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음악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 전체에 나타난 존 윌리엄스의 음악적 특징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존 윌리엄스는 할리우드 전통 심포니 사운드를 통하여 원작 소설 속 판타지 마법 세계를 바로 눈앞에서 펼쳐지는 것처럼 환상적이고 입체적으로 그려내었다. 존 윌리엄스는 스토리 전개에 따라서 주인공 해리포터를 중심으로 하여, 스토리의 중요한 큐마다 라이트모티프(leitmotif)를 설정함으로써 영화 속 이야기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극을 이끌어 나갔다. 특히, 주인공 해리포터가 마법에 관련되었을 때마다 "헤드윅 테마(Hedwig's Theme)" 가 변주와 발전을 통해 영화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음악의 인&아웃은 장면에 따라서 음악이 변화하며, 음악을 통해 상황을 구체화 시키고 서술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위와 같이, 무성영화 시대의 음악을 연상케하는 월투월(Wall-To-Wall) 형식과 장면과 음악을 맞추는 형식인 히트포인트(Hit Point)와 미키 마우징(Mickey Mousing) 기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마법이 행해지는 장면을 묘사하기 위해, 이펙트(Effect)적으로 접근하여 존 윌리엄스만의 뚜렷한 색채가 드러나는 음향효과적인 음악을 통해 마법의 음색을 창조해내었다.

본 논문을 통해 존 윌리엄스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해리포터 시리즈의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