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Ⅰ. 서론 1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

3. 선행연구의 검토 14

Ⅱ. 박춘석 활동 시기의 한국 대중음악 개관 18

1. 박춘석의 음악적 생애 18

2. 박춘석 활동 시기의 한국대중음악 20

1) 1950년대 20

2) 1960년대 23

3) 1970년대 26

4) 1980년대 28

5) 1990년대 29

Ⅲ. 박춘석의 작품경향 분석 31

1. 장르 분류에 따른 음악적 특징 31

1) 트로트 31

2) 이지리스닝 40

3) 예술가곡풍 48

4) 민요풍 73

5) 라틴 음악 85

6) 포크송 93

7) 국악곡 94

8) 번안곡 95

2. 작품 주제에 따른 음악적 특징 96

1) 이성애적 주제 97

2) 향토적 주제 101

3) 역사적 주제 105

4) 가정에 관한 주제 105

5) 인생에 관한 주제 107

6) 기타 주제 108

Ⅳ. 박춘석 작품경향에 따른 음악적 특징 고찰 109

1. 정통 트로트 스타일 109

1) 단조 트로트 109

2) 장조 트로트 110

2. 이지리스닝 팝 음악의 요소 112

1) 단조 이지리스닝 112

2) 장조 이지리스닝 114

3. 예술가곡적 요소의 차용 116

4. 전통음악 요소의 차용 117

5. 라틴음악의 트로트화 119

Ⅴ. 결론 120

참고문헌 125

Abstract 129

표목차

〈표 1〉 트로트 리듬 형태 37

〈표 2〉 단음계의 종류 45

〈표 3〉 스윙 리듬 패턴 47

〈표 4〉 슬로우 리듬 패턴 47

〈표 5〉 〈바닷가에서〉 형식 분석표 62

〈표 6〉 〈호반에서 만난 사람〉 형식 분석표 63

〈표 7〉 〈사랑을 위해〉 형식 분석표 65

〈표 8〉 한국민요의 토리 76

〈표 9〉 한국 민속악 장단 78

〈표 10〉 박춘석의 작품에서 나타난 국악곡 94

〈표 11〉 작품 주제양상 분류 기준 96

〈표 12〉 이성애적 주제 소분류 97

〈표 13〉 박춘석 단조 트로트 작품 목록 110

〈표 14〉 박춘석 장조 트로트 작품 목록 111

〈표 15〉 박춘석 단조 이지리스닝 작품 목록 114

〈표 16〉 박춘석 장조 이지리스닝 작품 목록 116

〈표 17〉 박춘석 예술가곡적 작품 목록 117

〈표 18〉 박춘석 전통음악적 작품 목록 118

〈표 19〉 박춘석 라틴음악적 작품 목록 119

그림목차

〈그림 1〉 박춘석 작곡가 18

〈그림 2〉 1950년대 박춘석 사단, 손인호, 안다성, 이해연, 최갑석 등 19

〈그림 3〉 윤심덕, 〈사의 찬미〉 21

〈그림 4〉 패티김과 김치켓 앨범 24

〈그림 5〉 〈흑산도 아가씨〉 취입 당시 박춘석, 이미자, 정두수 26

악보목차

〈악보 1〉 서양 단 7음계 33

〈악보 2〉 요나누키 단 5음계 33

〈악보 3〉 〈기러기 아빠〉 A단조 34

〈악보 4〉 서양 장 7음계 35

〈악보 5〉 장 5음계 35

〈악보 6〉 〈섬마을 선생님〉 C장조 36

〈악보 7〉 〈비 내리는 호남선〉 2박자 리듬 38

〈악보 8〉 〈공항대합실〉 2박자 리듬 38

〈악보 9〉 〈재일교포〉 3박자 리듬 39

〈악보 10〉 〈가슴 아프게〉 9~12 마디 선율 44

〈악보 11〉 〈그리움은 가슴마다〉 11~15 마디 선율 44

〈악보 12〉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1~4 마디 선율 44

〈악보 13〉 〈초우〉 1~8 마디 선율 44

〈악보 14〉 〈사랑의 공중전화〉 중 1~4 마디 46

〈악보 15〉 〈파란이별의 글씨〉 중 1~7 마디 46

〈악보 16〉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선율 악보 56

〈악보 17〉 〈이길을 간다〉 선율 악보 58

〈악보 18〉 〈사랑은 생명의 꽃〉 선율 악보 60

〈악보 19〉 〈바닷가에서〉 도입부 선율 62

〈악보 20〉 〈바닷가에서〉 선율 진행 63

〈악보 21〉 〈호반에서 만난 사람〉 반주 형태 64

〈악보 22〉 〈호반에서 만난 사람〉 선율 진행 65

〈악보 23〉 〈사랑을 위해〉 선율 진행 67

〈악보 24〉 〈사랑이 메아리 칠 때〉 선율 악보 68

〈악보 25〉 〈사랑이 메아리 칠 때〉에서 포르타멘토의 사용 69

〈악보 26〉 〈물새우는 해변〉 선율 진행 70

〈악보 27〉 〈물새우는 해변〉 1~4 마디 중 포르타멘토 사용 70

〈악보 28〉 〈물새우는 해변〉 16~23 마디 중 포르타멘토 사용 71

〈악보 29〉 〈가시나무새〉 선율 진행 72

〈악보 30〉 〈가시나무새〉 26~27 마디 중 포르타멘토 사용 72

〈악보 31〉 〈아리랑 목동〉 선율 악보 81

〈악보 32〉 〈아리랑 목동〉 육자배기토리 사용 81

〈악보 33〉 〈우리 강산〉 1~10 마디 선율 83

〈악보 34〉 〈우리나라 좋을시고〉 선율 악보 84

〈악보 35〉 〈우리나라 좋을시고〉 굿거리장단 변형 리듬 84

〈악보 36〉 손 클라베 3-2 및 2-3 방향 87

〈악보 37〉 룸바 클라베 3-2 및 2-3 방향 87

〈악보 38〉 〈나폴리 맘보〉의 맘보 리듬 89

〈악보 39〉 〈나폴리 맘보〉 선율과 리듬 89

〈악보 40〉 차차차 리듬 패턴 90

〈악보 41〉 〈나에게 애인이 있다면〉 1~8 마디 선율과 리듬 91

〈악보 42〉 〈황혼의 엘레지〉 1~4 마디 선율과 리듬 92

〈악보 43〉 〈나의 기타〉 중 1~8 마디 93

〈악보 44〉 〈서로 좋아해〉 1~4 마디 선율 98

〈악보 45〉 〈비극은 없다〉 1~4 마디 선율 99

〈악보 46〉 〈고백〉 1~4 마디 선율 100

〈악보 47〉 〈빗소리〉 1~4 마디 선율 101

〈악보 48〉 〈타국 나그네〉 1~4 마디 선율 101

〈악보 49〉 〈타국에서〉 1~4 마디 선율 102

〈악보 50〉 〈목화 아가씨〉 1~8 마디 선율 103

〈악보 51〉 〈아랫마을 이쁜이〉 1~4 마디 선율 104

〈악보 52〉 〈아나 농부야〉 1~4 마디 선율 104

〈악보 53〉 〈삼팔선의 봄〉 1~4 마디 선율 105

〈악보 54〉 〈모정〉 1~4 마디 선율 106

〈악보 55〉 〈빛과 그림자〉 1~4 마디 선율 107

〈악보 56〉 〈서귀포 바닷가〉 1~4 마디 선율 108

초록보기

 1954 최양숙의 〈황혼의 엘레지〉로 우리 대중가요계에 데뷔한 박춘석은 1994년 병환으로 작품활동을 중단하게 될 때까지 국내 대중가요 사상 개인 최다 작곡으로 기록된 2,700여 곡과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개인 최다 곡 수 1,152곡 경신이라는 기록적인 작품활동을 전개했다. 〈섬마을 선생님〉, 〈흑산도 아가씨〉, 〈기러기 아빠〉, 〈가슴 아프게〉, 〈비 내리는 호남선〉, 〈마포 종점〉, 〈초우〉, 〈가시나무새〉,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등 우리 가요계에 수많은 히트곡과 60~70년대에 일명 '박춘석 사단'이라고 불리었던 이미자, 패티김, 남진, 나훈아, 문주란, 정훈희, 하춘화 등 당대 최고의 가수들과 협업을 통하여 우리 가요계의 중요 자산이 된 수많은 명곡들을 남겼다. 오아시스레코드사와 지구레코드사의 전속작곡가로 활동하였으며, KBS 경음악단장·한국음악저작권협회장을 역임하고 옥관문화훈장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였다. 2010년에는 제25회 골든디스크 시상식에서 공로상을 받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이처럼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 그리고 양식적 다양성 등 모든 면에서 독보적 성과를 이룬 작곡가 박춘석의 작품세계에서 작품 경향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도출하는 작업에 주목하였다. 우리 대중가요사의 시대적 흐름 안에서 박춘석 작품의 다양한 작품 경향은 한국대중음악사 연구에서 중요한 학술적 연구 가치를 지닌다. 현재 한국대중음악사에서 작곡가 박춘석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자료는 미미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연구부터 음악적 행보와 음악적 분석까지, 그의 자료는 대중음악 관련 서적들에서 잠시 언급되고 다시 사라져버리고는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박춘석 작품의 연구범위를 그가 활동을 시작하였던 1954년부터 작품활동을 중단한 1994년까지의 작품 중에서 박춘석 작곡 경향에 포함되고 뚜렷한 음악적 특징이 드러나는 작품들로 설정하였으며,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1,049곡 중 곡명, 작사가, 가수, 가사의 첫 소절 등에서 중복된 곡을 제외하고 현재 음악감상이 가능하고 악보로 존재하는 곡 중 발행 연도, 작사가, 가수 정보 중 2가지 이상이 확보된 곡 133곡으로 선별하였다. 수용층에게 있어서 그는 트로트 스타일의 작곡가로 기억된다. 그러나 1964년 이전 시기의 박춘석 작품들은 팝, 재즈, 세미클래식풍의 노래가 주조를 이루었다. 우리 가요계가 서구 대중음악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양식적 다양성은 그 시대를 배경으로 활동한 박춘석의 작품에서도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표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박춘석의 133곡의 작품을 통하여 한국대중음악사 안에서 그의 생애와 음악적 행보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그의 작품 경향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그의 예술세계를 탐구하였다. 박춘석의 작품 경향을 트로트, 이지리스닝, 예술가곡, 우리 전통음악, 라틴음악으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각 장르의 관련 제반 지식을 선행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포크송, 국악 편곡, 번안곡과 같은 장르도 간략하게 다루었으며, 작품의 가사를 분석하여 이성애적, 향토적, 역사적, 가정, 인생 등의 주제들로 분류하는 과정을 거친다. 일련의 분류 과정들을 통하여 정통 트로트 스타일, 이지리스닝 팝 음악의 요소, 예술가곡적 요소의 차용, 전통음악 요소의 차용, 라틴음악의 트로트화 라는 매개항을 통하여 박춘석의 작품 경향과 그의 예술세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이 박춘석에 관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바라며, 추후 학계에서 박춘석과 그의 작품세계에 관한 학술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