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 연구의 배경 14

2. 연구의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7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20

제1절 마이크로바이옴산업의 이론적 배경 20

1. 마이크로바이옴산업의 정의 20

2. 마이크로바이옴산업의 특징 23

3. 마이크로바이옴산업의 범위 27

4. 마이크로바이옴에 관한 선행연구 29

제2절 R&D 역량 35

1. R&D역량의 정의 35

2. R&D 집약도 38

3. R&D 인력비율 41

4. R&D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45

제3절 기술사업화 51

1. 기술경영화 51

2. 기술제품화 57

3. 생산가능화 58

제4절 경영성과 60

1. 경영성과 60

2. 기술혁신성과 65

3. 재무성과 68

4. 비재무성과 72

제3장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79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79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92

제3절 설문지 작성과 구성 95

제4절 표본설계 및 분석방법 97

제4장 실증분석 98

제1절 표본의 특성 98

제2절 기술통계 분석 100

제3절 요인분석 및 신뢰성 분석 101

제4절 상관관계 분석 106

제5절 가설 검정 108

제5장 결론 131

제1절 연구결과 및 시사점 131

제2절 연구의 한계 134

참고문헌 135

부록 147

Abstract 153

표목차

〈표 2-1〉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부처별 정부 R&D투자 현황(2016) 26

〈표 2-2〉 '17년 세계 R&D 투자 상위 2,500대 기업의 주요 지표 37

〈표 2-3〉 2015년 주요 국가별 R&D 10대 기업의 R&D 투자액 및 집약도 40

〈표 2-4〉 연도별 산업기술인력 추이 42

〈표 2-5〉 R&D 인력에 대한 역량향상 방법 44

〈표 2-6〉 6T 분야별 총 연구개발비 추이(2012-2016) 45

〈표 2-7〉 개발주체에 따른 유형 54

〈표 2-8〉 기술보유 형태에 따른 유형 55

〈표 2-9〉 기업의 재무성과 측정 분류 69

〈표 3-1〉 변수의 조작적 정의 94

〈표 3-2〉 R&D역량 설문지 95

〈표 3-3〉 기술사업화 설문지 96

〈표 3-4〉 경영성과 설문지 96

〈표 4-1〉 표본의 특성분포 99

〈표 4-2〉 연구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 100

〈표 4-3〉 R&D역량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101

〈표 4-4〉 기술사업화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102

〈표 4-5〉 경영성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103

〈표 4-6〉 R&D역량에 대한 신뢰성 검증 결과 104

〈표 4-7〉 기술사업화에 대한 신뢰성 검증 결과 105

〈표 4-8〉 경영성과에 대한 신뢰성 검증 결과 106

〈표 4-9〉 연구변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107

〈표 4-10〉 연구변인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결과 107

〈표 4-11〉 R&D역량과 기술사업화 간의 회귀분석 결과 108

〈표 4-12〉 R&D역량과 기술사업화의 하위요인 간의 회귀분석 결과 109

〈표 4-13〉 기술사업화와 경영성과 간의 회귀분석 결과 110

〈표 4-14〉 기술사업화와 경영성과 하위요인 간의 회귀분석 결과 111

〈표 4-15〉 R&D역량과 기술사업화 간의 관계에서 기업특성의 조절효과 113

〈표 4-16〉 기술사업화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업특성의 조절효과 115

〈표 4-17〉 R&D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술사업화의 매개효과 116

〈표 4-18〉 R&D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술사업화의 매개 효과에... 117

〈표 4-19〉 기업특성(업력)에 따른 R&D역량 차이분석 결과 118

〈표 4-20〉 기업특성(R&D방식)에 따른 R&D역량 차이분석 결과 119

〈표 4-21〉 기업특성(부설연구소 유무)에 따른 R&D역량 차이분석 결과 120

〈표 4-22〉 기업특성(소재지)에 따른 R&D역량 차이분석 결과 121

〈표 4-23〉 기업특성(업력)에 따른 기술사업화 차이분석 결과 122

〈표 4-24〉 기업특성(R&D방식)에 따른 기술사업화 차이분석 결과 123

〈표 4-25〉 기업특성(부설연구소 유무)에 따른 기술사업화 차이분석 결과 124

〈표 4-26〉 기업특성(소재지)에 따른 기술사업화 차이분석 결과 124

〈표 4-27〉 기업특성(업력)에 따른 경영성과 차이분석 결과 126

〈표 4-28〉 기업특성(R&D방식)에 따른 경영성과 차이분석 결과 127

〈표 4-29〉 기업특성(부설연구소 유무)에 따른 경영성과 차이분석 결과 128

〈표 4-30〉 기업특성(소재지)에 따른 경영성과 차이분석 결과 129

〈표 4-31〉 연구모형 가설검정 결과 130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9

〈그림 2-1〉 피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 군집 구조 21

〈그림 2-2〉 마이크로바이옴 기술별 시장전망(2019-2023) 24

〈그림 2-3〉 2018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CRO 시장 규모 전망 28

〈그림 2-4〉 마이크로바이옴의 적용범위 29

〈그림 2-5〉 NGS 시퀀싱을 활용한 휴먼마이크로바이옴 군집분석 모식도 31

〈그림 2-6〉 NIH 휴먼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1, 2단계 34

〈그림 2-7〉 우리나라의 총 연구비 및 GDP 대비 투자 현황(2012-2016) 36

〈그림 2-8〉 산업기술 인력의 정의 41

〈그림 2-9〉 민간 R&D 연구 인력 현황 43

〈그림 2-10〉 Rothwell. & Zegveld의 기술경영화 모형 53

〈그림 2-11〉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의 지역별 성장률 전망(2020-2025) 63

〈그림 2-12〉 CSR에 대한 Carroll의 피라미드 74

〈그림 3-1〉 연구모형 80

초록보기

무병장수를 꿈꾸던 인류는 2003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서 인간 게놈 지도를 완성하며 바이오테크 시대를 여는 가장 핵심적인 연구로 평가받았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후 포스트게놈(Post genome)을 통해서 게놈 프로젝트의 순기능과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연구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생명의 기본단위인 세포의 유지, 즉 생명유지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의 중요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마이크로바이옴의 새로운 발견은 고령화, 환경, 에너지, 항생제의 부작용 등 인류의 난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마이크로바이옴산업 발전전략 수립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결과나 정책대안 제시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산업화와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기업의 R&D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과다한 R&D 비용 지출에 비하여 저조한 R&D 성공률은 기업성장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는데, R&D역량이 기술사업화를 통해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의 실증분석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기업이 보유한 R&D역량이 기술사업화를 통하여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종합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수집하여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과 SPSS 실증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매개분석을 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D역량과 기술사업화간에는 R&D인력비율이 기술사업화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R&D 집약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로 기존 연구들이 경영성과를 위하여 R&D 집약도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우수한 R&D 인력이 기술력 확보는 물론 경영성과에도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술사업화의 하위요인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생산가능화, 기술제품화의 순으로 결과가 도출되어 기술사업화역량 강화의 중요성과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생산가능화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R&D역량, 기술사업화, 경영성과 간에 기업 특성인 업력, 기업부설연구소 유무, R&D방식, 소재지 등의 조절효과에서는 업력과 기업부설연구소의 유무는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R&D방식과 소재지 등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이것은 R&D방식이나 소재지보다 R&D역량을 통한 기술사업화를 15년 이상 꾸준히 지속하는 것이 경영성과를 위해서는 더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셋째, 기업특성에 따른 R&D역량, 기술사업화, 경영성과간의 차이 분석결과도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단독형 R&D 방식에 의한 기술사업화가 더 타당성이 높고, 적극적인 R&D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와 지원도 필요한 요소임을 제기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