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5

Abstract 17

I. 서론 20

1. 연구 배경 및 목적 20

2. 연구 범위 및 방법 22

II. '남북종론'의 출현과 남종산수화의 미학 25

1. 명대 '남북종론'의 출현 25

가. 명대 심학과 선학의 사회적 배경 25

나. '남북종론'의 제기 32

2. 남종산수화의 의의와 가치 39

가. '이선논화(以禪論晝)'의 의미 39

나. 남종산수화와 문인화의 관계 42

3. 남종산수화의 미학적 특징 47

가. 남종산수화의 미학적 기초 47

나. 남종산수화의 미적 표현 55

III. 동기창의 '남북종론'과 남종산수화 62

1. 남종산수화의 흐름과 표현특징 62

가. 남종산수화의 흐름과 창작방식 62

나. 미법산수의 전개와 계승 71

2. 남종 산수화의 발전 87

가. '원말사대가(元末四大家)'의 회화풍격 87

나. 오문화파(吳門晝派)의 예술풍격 110

IV. 조선시대 남종산수화풍의 도입과 탐색 127

1. 조선시대 남종산수화의 흐름과 화보의 도입 127

가. 조선시대의 남종산수화 127

나. 고씨화보(顧氏晝譜) 128

다. 개자원화전(芥子園晝傳) 133

2. 미법산수(米法山水)의 수용 136

가. 조선시대 '미법산수' 화풍 136

나. '미법산수'의 표현과 심미형식 141

3. 원말사대가 화풍의 성행과 오문화파의 유입 151

가. 예찬풍격 남종산수화의 유행 151

나. '일하양안(一河兩岸)'형식의 탐색 158

다. 오문화파(吳門晝派)의 유입 166

V. 조선시대 남종산수화의 융합과 풍격 173

1. 조선 초기 이곽화파와 안견화파의 융합 173

가. 이곽파 화풍 173

나. 안견파 화풍 185

2. 조선 후기 남종산수화의 풍격 194

가. 남종산수화풍 194

나. 진경산수화풍 202

다. 청대(淸代)문인화풍 210

VI. 결론 216

참고문헌 221

[표1] 중국 역대 남종 산수화 풍격 125

[표2] 화보에 보이는 남종산수화가의 작품형식 170

[표3] '미법산수'의 심미형식 비교 171

[표4] 예찬 회화와 조선시대 예찬 풍격의 대비 172

(도판1) 형호(荊浩), 〈匡廬圖〉, 五代,... 65

(도판2) 관동(關仝), 〈關山行旅圖〉,... 65

(도판3) (傳)곽서충(郭恕忠), 〈明皇避暑宮圖〉, 北宋, 絹本水墨,... 67

(도판4) 동원(董源), 〈江提晩景圖〉,... 67

(도판5) 동원(董源), 〈瀟湘圖〉, 五代, 絹本水墨, 50×141.4cm, 베이징 고궁박물관 68

(도판6) 거연(巨然), 〈層巖叢樹圖〉,... 69

(도판7) 미불(米芾), 〈珊瑚帖〉, 北宋, 紙本水墨,... 72

(도판8) 미우인(米友仁), 〈瀟湘奇觀圖卷〉, 北宋, 紙本水墨, 19.8×289cm,... 73

(도판9) 미우인(米友仁), 〈雲山得意圖〉, 北宋, 紙本水墨, 27.2×212.6cm,... 76

(도판10) 고극공(高克恭), 〈雲橫秀嶺圖〉, 元,... 78

(도판11) 방종의(方從義), 〈高高亭圖〉, 元, 紙本水墨,... 80

(도판12) 방종의(方從義), 〈山陰雲雪圖〉, 元, 紙本水墨,... 80

(도판13) 방종의(方從義), 〈白雲深處圖〉, 元, 紙本水墨,... 81

(도판14) 진순(陳淳), 〈仿米山水圖〉, 明, 紙本水墨,... 82

(도판15) 동기창(董其昌), 〈仿米芾洞庭空闊圖〉, 明, 紙本水墨 21.3×227.3cm,... 84

(도판16) 동기창(董其昌), 〈山水圖冊〉1, 明, 紙本水墨,... 85

(도판17) 동기창(董其昌), 〈山水圖冊〉2, 明, 紙本水墨,... 85

(도판18) 문징명(文徵明), 〈仿米氏雲山圖〉, 明, 紙本水墨,... 86

(도판19) 심주(沈周), 〈西山雨觀圖〉, 明, 紙本水墨, 25.2×105.8cm,... 87

(도판20) 황공망(黃公望), 〈富春山居圖无用師卷〉, 元,... 89

(도판21) 황공망(黃公望), 〈剩山圖〉, 元, 紙本水墨,... 89

(도판22) 황공망, 〈天池石壁圖〉,... 91

(도판23) 황공망, 〈丹崖玉樹圖〉,... 91

(도판24) 황공망(黃公望), 〈快雪時晴圖〉, 元, 紙本水墨,... 93

(도판25) 오진(吳鎭), 〈漁父圖卷〉, 元, 紙本水墨,... 95

(도판26) 오진, 〈漁父圖〉, 元,... 96

(도판27) 오진(吳鎭), 〈秋江漁隱圖〉, 元,... 96

(도판28) 오진(吳鎭), 〈洞庭漁隱圖〉, 元,... 96

(도판29) 왕몽(王蒙), 〈溪山風雨圖冊〉冊頁, 元, 紙本水墨, 28.3×40.5cm,... 99

(도판30) 왕몽(王蒙), 〈具區林屋圖〉,... 100

(도판31) 왕몽(王蒙), 〈靑卞隱居圖〉,... 100

(도판32) 왕몽(王蒙), 〈花溪漁隱圖〉, 元, 絹本設色,... 103

(도판33) 왕몽(王蒙), 〈葛稚川移居圖〉, 元,... 103

(도판34) 예찬(倪瓚), 〈虞山林壑圖〉, 元,... 106

(도판35) 예찬(倪瓚), 〈江亭山色圖〉, 元,... 106

(도판36) 예찬(倪瓚), 〈紫芝山房圖〉, 元,... 108

(도판37) 예찬(倪瓚), 〈容膝齋圖〉, 元,... 108

(도판38) 예찬(倪瓚), 〈楓落吳江圖〉, 元,... 108

(도판39) 심주(沈周), 〈山溪客話圖〉, 明,... 113

(도판40) 심주(沈周), 〈廬山高圖〉, 明,... 113

(도판41) 심주(沈周), 〈魏園雅集圖〉, 明, 紙本水墨,... 114

(도판42) 심주(沈周), 〈虎丘送客圖〉,... 114

(도판43) 심주(沈周), 〈京江送別圖〉, 明, 紙本設色, 28×159cm,... 114

(도판44) 문징명(文徵明), 〈積雨連村圖〉, 明, 紙本水墨,... 116

(도판45) 문징명(文徵明), 〈雨餘春樹圖〉, 明,... 116

(도판46) 문징명, 〈萬壑爭流圖〉, 明,... 116

(도판47) 문징명(文徵明), 〈拙政園圖詩冊〉, 明,... 117

(도판48) 당인(唐寅), 〈步溪圖〉, 明,... 118

(도판49) 당인(唐寅), 〈山路松聲圖〉, 明,... 118

(도판50) 당인(唐寅), 〈虛亭聽竹圖〉,... 119

(도판51) 당인(唐寅), 〈錢塘景物圖〉,... 119

(도판52) 구영(仇英), 〈楓溪垂釣圖〉,... 121

(도판53) 구영(仇英), 〈停琴聽院圖〉,... 121

(도판54) 구영(仇英), 〈仙山樓閣圖〉, 明, 絹本設色,... 122

(도판55) 구영(仇英), 〈桃村草堂圖〉, 明, 絹本設色,... 122

(도판56) 『顧氏晝譜』, 明, 한간(韓幹)풍격 132

(도판57) 최숙창(崔叔昌), 〈雲山圖〉, 朝鮮, 絹本淡彩,... 136

(도판58) 서문보(徐文寶), 〈山水圖〉, 朝鮮, 絹本淡彩,... 136

(도판59) 이장손(李長孫), 〈山水圖〉, 朝鮮,... 136

(도판60) 이정근(李正根), 〈米法山水圖〉, 朝鮮, 紙本水墨, 23.4×119.4cm,... 138

(도판61) 강세황(姜世晃), 〈米法山水圖〉, 朝鮮,... 139

(도판62) 강세황(姜世晃), 〈倣米元暉瀟湘白雲圖〉, 朝鮮,... 139

(도판63) 최북(崔北), 〈米法山水圖〉, 朝鮮,... 140

(도판64) 심사정(沈師正), 〈倣米南宮山水圖〉, 朝鮮,... 140

(도판65) 미우인(米友仁), 〈雲山圖卷〉,... 142

(도판66) 신위(申緯), 〈訪戴圖〉, 朝鮮, 紙本水墨,... 144

(도판67) 『芥子園畫譜』 淸, '대혼점(大混點)' 144

(도판68) 정선(鄭敾), 〈長安寺〉, 朝鮮,... 145

(도판69) 정선(鄭敾), 〈長安寺飛虹橋〉, 朝鮮,... 145

(도판70) 『芥子園畫譜』, 淸, 미우인(米友仁)화법 145

(도판71) 심사정(沈師正), 〈斷髮令望金剛山圖〉, 朝鮮,... 146

(도판72) 김응환(金應煥), 〈金剛全圖〉,... 146

(도판73) 미우인(米友仁), 〈雲山圖〉, 北宋, 絹本設色,... 148

(도판74) 고극공(高克恭), 〈春山晴雨圖〉, 元,... 149

(도판75) 심사정(沈師正), 〈雲外尋仙〉,... 150

(도판76) 윤두서(尹斗緖), 〈水涯茅亭圖〉, 朝鮮,... 152

(도판77) 윤두서(尹斗緖), 〈雪中書屋圖〉, 朝鮮,... 152

(도판78) 예찬(倪瓚), 〈幽潤寒松圖〉, 元,... 152

(도판79) 정선(鄭敾), 〈夏景山水圖冊頁〉,... 153

(도판80) 심사정(沈師正), 〈倣倪雲林山水圖〉, 朝鮮,... 153

(도판81) 심사정(沈師正), 〈疏林茅亭〉, 朝鮮,... 154

(도판82) 이인상(李麟祥), 〈漱玉亭圖〉, 朝鮮,... 154

(도판83) 이인상(李麟祥), 〈茅亭秋江圖〉, 朝鮮, 紙本水墨,... 155

(도판84) 권돈인(權敦仁), 〈歲寒圖〉, 朝鮮, 紙本水墨,... 155

(도판85) 김정희(金正喜), 〈扇面山水〉, 朝鮮, 紙本水墨,... 156

(도판86) 김정희(金正喜), 〈歲寒圖〉, 朝鮮, 紙本水墨,... 156

(도판87) 허련(許鍊), 〈倣阮堂山水圖)〉, 朝鮮, 紙本水墨,... 157

(도판88) 허련(許鍊), 〈仿倪雲林竹樹溪亭圖〉 朝鮮,... 157

(도판89) 예찬(倪瓚), 〈六君子圖〉,... 159

(도판90) 『顧氏畫譜』, 明, 예찬(倪瓚)의 구도양식 159

(도판91) 이인상(李麟祥), 〈南澗秋日圖〉, 朝鮮, 紙本淡彩,... 162

(도판92) 허련(許鍊), 〈山水圖〉, 朝鮮,... 164

(도판93) 『芥子園畫傳』, 淸, '일하양안(一河兩岸)' 구도 164

(도판94) 『芥子園畫傳』, 淸, 예찬식 도식 164

(도판95) (摹)당인(唐寅), 明, 쑤저우(蘇州)刻... 167

(도판96) 주지번(朱之蕃) 제(題),... 167

(도판97) 왕선(王詵), 〈漁村小雪圖〉, 北宋, 絹本設色, 44.4×219.7cm,... 175

(도판98) 이성(李成), 〈讀碑窠石圖〉,... 176

(도판99) 이성(李成), 〈晴巒蕭寺圖〉,... 176

(도판100) 곽희(郭熙), 〈早春圖〉, 北宋, , 絹本淡彩,... 177

(도판101) 곽희(郭熙), 〈窠石平遠圖〉, 北宋,... 177

(도판102) 당디(唐棣), 〈霜浦歸漁圖〉,... 181

(도판103) 조지백(曹知白), 〈雙松圖〉,... 181

(도판104) 주덕윤(朱德潤), 〈林下鳴琴圖〉, 元,... 182

(도판105) 주덕윤(朱德潤), 〈松溪放艇圖〉, 元, 紙本水墨,... 182

(도판106) 안견(安堅), 〈夢遊桃源圖〉, 朝鮮, 絹本設色, 106.2×38.6cm,... 188

(도판107) 안견(安堅), 〈四時八景圖〉, 朝鮮, 絹本淡彩,... 191

(도판108) 안견(安堅), 〈瀟湘八景圖〉, 朝鮮,... 192

(도판109) 심사정(沈師正), 〈高士隱居圖〉, 朝鮮,... 196

(도판110) 심사정(沈師正), 〈倣沈石田山水圖〉, 朝鮮,... 196

(도판111) 심사정(沈師正), 〈舟游觀瀑〉 朝鮮,... 196

(도판112) 이인상(李麟祥), 〈松下觀瀑圖〉, 朝鮮, 紙本淡彩,... 199

(도판113) 이인상(李麟祥), 〈樹石圖〉, 朝鮮, 紙本淡彩,... 199

(도판114) 강세황(姜世晃), 〈松都紀行帖〉,... 200

(도판115) 강세황(姜世晃), 〈碧梧淸暑圖〉, 朝鮮,... 200

(도판116) 김유성(金有聲), 〈山水圖〉, 朝鮮,... 201

(도판117) 정선, 〈仁王霽色圖〉, 朝鮮,... 205

(도판118) 정선(鄭敾), 〈金剛全圖〉, 朝鮮,... 205

(도판119) 강희언(姜熙顔), 〈仁王山圖〉, 朝鮮, 紙本設色,... 207

(도판120) 김응환(金應煥), 〈歇惺樓〉,... 207

(도판121) 김응환(金應煥), 〈下鉢淵〉,... 207

(도판122) 김홍도(金弘道), 〈明鏡臺圖〉, 朝鮮, 紙本水墨,... 208

(도판123) 김석신(金碩臣), 〈笳鼓中流圖〉, 朝鮮, 紙本淡彩,... 209

(도판124) 김석신(金碩臣), 〈道峯圖〉,... 209

초록보기

조선시대(1392-1910) 산수화는 고려시대(918-1392)의 회화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중국 명(1368-1644), 청(1618-1924)시대 산수화의 영향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회화 분위기를 형성한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조선의 회화는 양국의 사신들에 의한 정기적인 문화교류를 통해 중국 주류의 산수화 화풍을 받아드린다. 15세기의 조선 초기(1392-1550)는 기본적으로 고려시기에 수용된 송(960-1276), 원대(1271-1368) 산수 화풍의 영향을 계승하였고. 16-17세기에는 명대 초, 중기의 화풍이 조선 중기(1550-1700) 전반에 유행하게 된다. 18세기에는 명 말기(末期) 동기창(董其昌, 1555-1636)이 제기한 '남북종론(南北宗論)' 의 상남폄북론(尙南貶北論)을 바탕으로 문인화가들이 그린 남종산수화가 조선 후기(1700-1850) 산수화의 유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남종산수화의 풍격이 한국에 전해진 구체적인 시기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남종산수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14세기 말 부터 16세기 초에 들어온 중국의 남종문인화가 조선시기 산수화에 많은 부분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그 중에서 미불(米芾, 1051-1107), 미우인(米友仁, 1090?-1170?)으로 비롯된 미법산수화풍과 원말사대가(元末四大家)의 황공망(黃公望, 1269-1354)과 예찬(倪瓚, 1301-1374), 오문화파(吳門畫派)의 심주(沈周, 1427-1509)와 문징명(文徵明, 1470-1559), 그리고 동기창(董其昌) 등의 화풍이 조선시대 많은 화가들에 의해 보급되어 성행한다. 이러한 남종화풍은 18세기 이후 조선시대 산수화의 기법적인 측면과 정신적인 측면에서 깊숙이 반영되며 조선 후기 사의를 중시하는 문인화가들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조선시대 후반에는 사대부들뿐만 아니라 화원들 사이에서도 남종산수화풍이 성행하는데, 대표적인 화가로는 윤두서(尹斗緒, 1668-1715), 정선(鄭敾, 1676-1759), 심사정(沈師正, 1707-1769), 이인상(李麟祥, 1710-1760), 강세황(姜世晃, 1713-1791), 김정희(金正喜, 1786-1856) 등이 있다.

18세기 이후 당시의 조선 화가들이 남종산수화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는 명, 청시대의 화보(畫譜)이다. 이것은 중국 남종산수화의 풍격과 기법을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자료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보를 매개로 조선 시대의 화가들은 중국의 남종산수화를 학습하는 계기를 갖는다. 하지만 화보는 실제 중국 남종산수화의 진적(眞跡)에 비해 표현력의 한계를 가진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 정선을 비롯한 진경 산수화가들은 한국의 자연풍경에 대한 관심과 표현을 화면에 드러내기 시작한다. 그들은 중국으로부터 받아드린 남종산수 양식에서 벗어나 실경을 바탕으로 한국의 자연경관을 표현한다. 이와 같은 진경산수화의 등장은 중국 남종산수화에 대한 변혁으로 한국의 민족적 특색을 지닌 산수화 형식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후 19세기에 들어서 청나라 문인들과의 직접 교류를 통한 예술이념의 유입은 김정희를 중심으로 사의와 문자향을 중요하게 여기는 추사파의 등장을 예고한다. 이러한 현상은 진경산수의 쇠퇴를 불러오지만 남종회화가 한국에서 보급되고 발전하는데 기여를 하게 된다.

조선 후기와 말기에 형성된 남종 산수화풍은 조선 화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8세기 이후 문예 부흥시기와 맞물려 조선의 남종 산수화가들은 중국으로부터 받아드린 남종산수의 화풍을 현지화 하여 한국 전통 화풍을 재구축하는데 기여를 하며, 이후 한국 현대 산수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