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 문제 20
II. 연구 방법 21
1. 연구대상 21
2. 측정도구 22
1)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 질문지 22
2) 자기제시동기 척도 25
3) 상향비교경험 척도 26
4) 한국판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Korean Version of Test for Instagram Addiction: K-TIA) 27
3. 연구절차 28
4. 자료처리 및 분석 29
III. 연구결과 31
1.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의 상관분석 31
2.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33
1)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 중 이용 빈도, 이용 시간, 게시물 업데이트 수, 게시물 보정 정도, 자신과 타인의 게시물 피드백 정도, 타인의 게시물 관찰 정도가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33
2)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 중 해시태그 사용량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35
3)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 중 게시물 종류와 게시물 유형에 따른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의 차이 36
3. 대학생의 개인내적 변인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37
4.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과 개인내적 변인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38
IV. 논의 41
1. 논의 및 결론 41
2. 제언 47
참고문헌 48
부록 55
부록 1. 인구사회학적 및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 질문지 56
부록 2. 자기제시동기 척도 60
부록 3. 상향비교경험 척도 63
부록 4. 한국판 인스타그램 중독 척도(K-TIA) 65
ABSTRACT 67
[그림 1] 연구 모형 20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과 개인내적 요인인 자기제시동기와 상향비교경험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을 통계적으로 통제한 상태에서 개인내적 요인인 자기제시동기와 상향비교경험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학년 199명을 대상으로 '자기제시동기 척도', '상향비교경험 척도',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 질문지',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Kruskal-Wallis 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과 Kruskal-Wallis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의 하위요인 중 인스타그램 이용 시간이 길고, 게시물 보정 정도가 높으며, 해시태그 사용량이 많으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개인내적 변인인 자기제시동기와 상향비교경험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향비교경험 수준이 높으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의 영향과는 독립적으로 개인내적 변인인 자기제시동기와 상향비교경험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내적 변인인 자기제시동기와 상향비교경험 모두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과 개인내적 요인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규명하였을 뿐 아니라 인스타그램 이용 양상과는 독립적으로 대학생의 개인내적 요인인 자기제시동기와 상향비교경험이 인스타그램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중독적인 인스타그램 사용에 대한 예방과 개입을 위한 방안을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