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0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10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11

II. 한국교회의 설교사역과 설교자 13

A. 설교는 무엇인가 13

1. 존 칼빈(John Calvin)의 정의 13

2. 칼 바르트(Karl Barth)의 정의 13

3. 필립스 브룩스(Phillips Brooks)의 정의 14

4. 토마스 롱(Thomas G. Long)의 정의 15

5. 정장복의 정의 16

6. 찰스 캠벨의 정의 18

7. 설교 정의하기 19

B. 설교자는 누구인가 21

1. 존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 21

2. 리처드 박스터(Richard Baxter) 22

3. 피터 포사이스(Peter Taylor Forsyth) 22

4. 토마스 롱(Thomas Long) 24

5. 설교자 정의하기 25

C. 한국교회 설교자의 역사 26

1. 구한말 기독교 태동기의 설교자 26

2. 일제 강점기의 설교자 31

3. 광복 이후의 설교자 32

4. 민주화 운동기-현대의 설교자 36

D. 평가 40

III. 한국교회 현대 설교사역과 설교 현장의 문제 42

A. 한국교회의 20세기 설교사역: 영광의 시대 42

1. 20세기의 한국교회 설교자 42

2. 20세기의 한국교회 성도들 43

B. 1990년대 이후 전환기 설교사역: 설교 위기의 시대 44

1. 교회 간의 양극화 현상 44

2. 교회의 신뢰 상실 현상 46

C. 설교 현장의 문제 49

1. 포스트모던 시대(The Postmodern Era)의 문제 49

2. 회중의 문제 51

3. 설교자의 문제 53

4. 설교의 문제 54

D. 평가 55

IV. 성언운반일념 사상 56

A. 아우구스티누스의 설교자론 56

1.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56

2.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수사학 56

3. 최초의 설교학 57

B. 설교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58

C. 청해(靑海) 정장복의 설교 신학 60

1. 설교론 60

2. 설교자론 63

3. 성언운반일념 사상 65

D. 평가 65

V. 결론 66

A. 요약 66

B. 제언 66

참고문헌 71

초록보기

본 논문은 오늘날 한국교회 위기상황의 원인으로서 설교사역이 마주한 위기의 극복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한국교회는 오늘날 사회적 영향력을 잃고 전도의 문이 막히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학문적·실천적 지평에서의 분석이 등장한 가운데, 본 논문은 설교사역에서의 성언운반일념 사상의 실천을 그 극복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설교의 정의와 설교자에 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한국에 기독교가 전래된 후 한국 설교자들이 수행한 설교사역을 문헌을 통해 관찰하였다. 이후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발생과 그 특성을 개관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살아가며 설교 앞에 서는 회중과 설교를 전달하는 설교자가 대면한 제 문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성언운반일념 사상의 바탕이 된 기독교 수사학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등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설교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의 한 정리로서 정장복이 제시한 성언운반일념 사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의 결론으로, 한국교회가 맞이한 다양한 위기상황의 원인으로 하나님의 말씀인 설교가 들리지 않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대 한국 설교자에게 성언운반일념의 실천이 요청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