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ABSTRACT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3
II. 이론적 배경 16
1. 네트워크 분석방법론 16
1.1. 네트워크 분석의 특징 16
1.2. 네트워크 분석 지표 21
2. 기술경영 분야의 선행연구 24
III. 연구방법 28
1. 데이터 선정 및 수집 28
2. 데이터 정제 30
2.1. 대문자, 소문자 정렬 30
2.2. 국가명 삭제 31
2.3. 특수문자 통일 및 정리 31
2.4. 키워드 단/복수형 정리 32
2.5. 약어형 정리 32
2.6. 한글 키워드 정리 33
2.7. 대표어 처리 34
2.8. 논문 내 동일 키워드 반복 삭제 34
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35
IV. 연구결과 분석 37
1. 네트워크 지표 비교 37
1.1. 국내 37
1.2. 해외 38
2. 연구 기간별 네트워크 분석 39
2.1. 국내 39
2.2. 해외 52
3. 연구 기간별 국내외 현황 비교 64
3.1. 네트워크 지표 비교 64
3.2. 연도별 네트워크 비교 65
V. 결론 79
1. 연구의 결과 및 의의 79
2. 연구의 한계 및 추후 방향 81
참고문헌 83
〈그림 2-1〉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 16
〈그림 2-2〉 이수상(2010) 연구의 공적 네트워크 구성도 예시 17
〈그림 2-3〉 최영출, 박수정(2011) 연구의 네트워크 구성도 예시 18
〈그림 2-4〉 조재인(2011) 연구의 네트워크 구성도 19
〈그림 2-5〉 연결정도의 산식 21
〈그림 2-6〉 밀도의 산식 22
〈그림 2-7〉 매개중심성의 산식 22
〈그림 2-8〉 근접중심성의 산식 23
〈그림 2-9〉 아이겐벡터중심성의 산식 24
〈그림 3-1〉 본 연구의 네트워크 구성도 36
〈그림 4-1〉 1기(2004~2007) 국내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40
〈그림 4-2〉 2기(2008~2011) 국내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43
〈그림 4-3〉 3기(2012~2015) 국내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47
〈그림 4-4〉 4기(2016~2019) 국내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50
〈그림 4-5〉 1기(2004~2007) 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53
〈그림 4-6〉 2기(2008~2011) 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56
〈그림 4-7〉 3기(2012~2015) 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59
〈그림 4-8〉 4기(2016~2019) 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62
〈그림 4-9〉 1기(2004~2007) 국내·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66
〈그림 4-10〉 2기(2008~2011) 국내·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69
〈그림 4-11〉 3기(2012~2015) 국내·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72
〈그림 4-12〉 4기(2016~2019) 국내·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성도 75
기술경영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이 경쟁을 통해 생존하기 위해 갖춰야 할 중요 수단으로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경영에 대한 연구주제를 탐색하는 데 있어 기존까지의 연구 현황과 동향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연구들의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 최근에는 저자가 기입한 저자 키워드를 활용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최근 기술경영 분야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경영과 관련된 연구에 대한 흐름을 분석하고자 저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했다. 네트워크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로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와 해외의 'Research Policy'와 "Technovation'에서 2004년부터 2019년까지 16년 동안의 저자 키워드를 수집하여 연결정도, 밀도,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이라는 네트워크 지표를 활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16년간의 기술경영 분야의 네트워크를 네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구성했다. 이를 토대로 기술경영 분야의 기간별 진화과정과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에 따른 키워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지표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논문의 단순 빈도를 통해 연구의 동향을 측정하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저자 키워드를 통한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기술경영 분야의 연구가 어떤 구조를 갖고 있는지 도출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의 연구자가 연구를 계획함에 있어 네트워크 지표와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를 활용하여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관련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연구자료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를 활용하여 기존의 연구를 접목시켜 발전하면 기술경영 분야에서 다루는 심도 있는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