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 목적 18

3. 연구 문제 19

4. 용어의 정의 20

1) 교육 강국 전략 20

2) 스포츠 강국 개요 20

3) 직업화 교육 21

4) 스포츠와 교육의 융합 21

5)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22

5. 연구의 절차 24

II. 이론적 배경 25

1. 전면적 인재 발전 이론 25

2. 자원 통합, 시대 발전, 혁신적 과학이론 개척 27

3. 중국과 서양의 교육이념 30

1) 중국, 서양 교육이념의 문헌고찰 30

2) 중국의 교육이념 32

3) 서양의 교육이념 33

4. 국내외 원 스텝 인재 양성에 관한 연구 35

1) 중국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에 관한 연구 35

2) 해외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연구 36

III. 연구방법 40

1. 연구 구상 42

1) 원 스텝 양성 모델의 두각 43

2) 원 스텝 양성 모델의 특성이 태권도 인재 양성 수요를 충족 44

3) 준의지구 태권도 인재 양성 원 스텝 모델을 구축 45

4) 연구의 두 가지 주요 주제 46

5) 두 가지 주요 주제에 대한 조사 및 연구 47

2. 연구 방법 48

1) 문헌자료법 48

2) 집중 인터뷰 49

3) 사례조사법 51

4) 논리분석법 52

3. 연구 데이터 분석의 신뢰성 54

1) 다각도 분석법 55

2)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에 대한 전문가 심의 56

4. 자료 수집 59

1) 중국 내 관련 조사자료 수집 59

2) 한국 관련 조사자료 수집 62

5. 연구 자료 분석 64

1) 태권도 인재 양성 현황 분석 64

2) 태권도 인재 양성 수요 분석 64

3) 한국 태권도 인재 양성 모델 및 성공 경험 분석 64

4)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구축 방향 및 우위 분석 65

6. 연구의 윤리성 66

IV. 연구 결과 67

1.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 현황 67

1) 태권도 인재 양성 경로 67

2) 태권도 인재의 취업 및 소양 현황 72

3)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양성된 태권도 인재의 소양 현황 관계 78

2.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 수요 80

1) 스포츠 인재 양성 개혁에 관한 국가 지침 80

2) 중국 스포츠 인재 양성 모델 개혁 요구 82

3)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 모델 개혁 요구 83

3. 스포츠 인재 양성 모델 개혁 가속화 속에 원 스텝 양성 모델 89

1) 교육 강국 전략, 스포츠강국 강령을 통한 스포츠 인재 양성 모델 개혁추진 89

2) 스포츠 인재 원 스텝 양성 모델 성공 사례 89

4.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의 특성 96

1) 스포츠와 교육의 결합 형태의 특징을 가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96

2) 사람 중심의 특성으로 인적 자원 낭비를 줄이는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97

3) 체계적인 양성, 지속 가능한 발전 특성을 가지고 있는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98

4) 다원화와 전문적 육성을 통해 종합적인 소양 특성을 가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102

5) 선진국의 스포츠 인재 양성 모델과 일치하는 특성을 가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105

5.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의 특징이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 수요를 충족시킨다는 증명 결과 107

1) 넓은 의미의 삼단논법 공식: all(M, P) & many(S, M)→most(S, P) 증명 107

2) 연구 가설 증명 결과 109

6. 한국의 태권도 인재 양성 현황 110

1) 한국의 교육정책 110

2) 한국 체육 특기자 모집 112

3) 한국 태권도 인재 양성 모델 115

7. 준의지구 태권도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구축 방향과 강점 120

1)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구축 방향 120

2)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구축의 강점 124

V. 논의 130

1.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 현황 130

1) 중국 경기태권도 인재 양성의 문제점과 폐해 130

2) 중국 대학 태권도 인재 양성의 문제점과 폐해 132

3) 사회태권도학교 자체 양성에는 한계성과 단편성이 존재함 133

2.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에 대한 수요 135

1) 국가의 인재 양성 개혁 방향에 관한 지시 135

2) 중국 태권도 인재 다변화 요구 137

3) 중국 태권도 인재 종합 양성 요구 137

4) 중국 태권도 인재 프로화, 체계적, 지속 가능 개발 훈련 모델 수요 139

3. 스포츠 인재 양성 모델 속에서 원 스텝 양성 모델이 두각 140

1) 교육 강국 전략, 스포츠강국을 통한 스포츠 인재 양성 모델 개혁 추진 140

2) 원 스텝 양성 모델은 국가 스포츠 인재 양성의 실제 요구를 충족 141

3) 원 스텝 양성 모델은 스포츠와 교육 결합 및 개혁의 구체적 구현 142

4.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의 특성 분석 144

1)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은 스포츠와 교육의 결합이라는 특성 144

2)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은 인적자원 낭비를 막는 특징 145

3)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은 체계적인 교육, 지속 가능, 발전 가능성 145

4)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은 다원화 및 종합적인 소양 특성 146

5)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은 선진국의 스포츠 인재 양성 모델과 일치 146

5.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에 대한 입증 결과 분석 147

6. 한국 태권도 인재 양성 현황 149

1) 한국 교육정책 149

2) 한국 스포츠특기자 전형정책 149

3) 한국 태권도 인재 양성 성공 경험 150

7. 준의지구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구축을 위한 설계 152

1)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에서 인재 영입 모델 설계 152

2)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의 훈련 및 관리 모델 설계 159

3)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에서의 인재 양성 커리큘럼 설계 162

4)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에서의 인재 배출 모델 설계 171

5)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에서의 한중 연합 모델 설계 173

6)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에서의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 176

VI. 결론 및 제언 180

1. 결론 180

1) 태권도 인재 양성 상황에서 많은 문제점과 단점이 존재함 180

2)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태권도 인재 양성 모델 개혁이 필요함 181

3)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은 스포츠와 교육 융합 모델의 구체적인 표현으로 스포츠 인재 본인의 양성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음 182

4)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은 높은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특징 182

5)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은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에 필요한 모델 182

6) 한국 태권도 인재 양성 모델은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 모델 구축에 좋은 경험을 제공 183

7)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을 구축하면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 과정에서 직면한 실질적인 문제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음 184

2. 제언 185

참고문헌 188

〈부록 1〉 국문 부록 196

부록 1. 사회태권도양성학교 인재 소양 현황 및 수요, 집중 인터뷰 기록표 197

부록 2. 2019 12월 16일 - 인터뷰 조사 설명회 199

부록 3. 인터뷰 기록표인터뷰 조사-종합 소질 인자 승인등급 평가 통계표 200

부록 4. 사회태권도학교 교장 태권도 인재 양성에 대한 제언[내용없음] 196

부록 5. 박사 과정에서 발표된 논문, 학술 논문 및 과학 연구 결과 201

1. 전문 저작 201

2. 학술 논문 201

3. 과학 연구 프로젝트 202

4. 실용 발명 특허 202

〈부록 2〉 중문 부록 203

附件 1. 社會跆拳道培訓學校人才素養現狀及需求-聚焦訪談記錄表 204

附件 2. 2019年12月16日 訪談調査說明會 206

附件 3. 訪談調査-綜合素質因數認同度等級評定統計 207

附件 4. 社會跆拳道學校校長對跆拳道人才培養方面的建議[내용없음] 203

附件 5. 博士在讀期間專著、發表學術論文及科硏成果 208

1. 專著 208

2. 學術論文 208

3. 科硏課題 208

4. 實用型發明專利 209

ABSTRACT 210

표목차

표 1. 중국 교육과 서양 교육의 심층적 차이 분석 30

표 2. 문헌 검색 상황 49

표 3. 사회태권도학교 인재 현황 및 수요-인터뷰 대상 50

표 4. 사례 조사대상 및 내용 51

표 5. 넓은 의미의 삼단논법 공식 해석 53

표 6. 교육 능력, 직업 감성 지능, 사회적 역량 및 직업윤리에 대한 빈도 57

표 7. 면접 개요 타당성 테스트 결과 58

표 8. 인터뷰, 사례조사 대상 및 데이터 수집 기간 59

표 9. 준의사범대학 태권도 졸업생의 취업 방향 및 교육 능력 조사 60

표 10. 스포츠운동학교 태권도 졸업생(2013-2016학년) 취업 방향 및 상황 60

표 11. 스포츠운동학교 태권도 졸업생 종합소양 자체평가 등급 61

표 12. 중국 태권도 유학생의 사례조사 대상 및 상황 62

표 13. 대학교 인재의 전형 방향, 전공, 선발방법, 기술 수준 및 교육 방향 71

표 14. 3개 전공에서 양성한 태권도 인재의 교육 능력 및 기술력 차이 71

표 15. 스포츠운동학교 2013-2016학년 태권도 인재 졸업 방향 현황 73

표 16. 스포츠운동학교 태권도 졸업생 종합 소양 자체 평가 등급 73

표 17. 준의사범대학교 태권도 학생 교육종사 및 교육능력 소양 현황 74

표 18. 사회태권도학교 코치(대학교 경로)의 종합소양 현황 75

표 19. 사회태권도학교 코치(스포츠운동학교 경로)의 종합소양 현황 76

표 20. 사회태권도학교 코치(자체 양성)의 종합소양 현황 77

표 21. 3개 경로를 통해 양성된 태권도 인재의 소양 현황 관계표 78

표 22. 대학교, 스포츠운동학교, 사회태권도학교 코치의 소양 평가표 83

표 23. 사회학교 교장들의 코치 양성에 관한 제안 통계 86

표 24. 사회태권도학교의 코치 종합소양이 업계에 미치는 영향 빈도 분석 88

표 25. 대학 독자적 입시전형 기준 113

표 26. 체육 특기자전형 113

표 27. 태권도학과 모집단위 및 모집인원 114

표 28. 경기입상실적우수자전형[수시] ※ 실적 위주 114

표 29. 학교생활기록부 반영방법 115

표 30. 초등학교 단계 학급 개설 및 육성 방향과 내용 155

표 31. 경희대, 용인대, 한국체대에 개설된 태권도 전공 커리큘럼 내용 164

표 32. 준의사범대학 체육교육과 학점 및 시간 배정표 165

표 33. 준의사범대학 체육교육과 태권도 전공 주요 과목의 학점 증가 및... 166

표 34. 준의사범대학 체육교육과의 일반 교육 및 전문 교육 과정 개설 현황표 167

표 35.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의 일반 교육 및 전문교육 커리큘럼 168

표 36. 준의사범대학 태권도 직업교육 전공 태권도과목 학점 및 시수 배정표 169

표 37. 태권도 한중 국제교육 전공 커리큘럼 170

표 38. 한중 국제교육 태권도 전공 과목 학점 및 시간 배정표 171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절차 24

〈그림 2〉 한국 직업교육 진학 및 취업의 원 스텝 시스템 39

〈그림 3〉 본 연구의 전체 구상도 42

〈그림 4〉 스포츠 인재 원 스텝 양성 모델이 두각 43

〈그림 5〉 원 스텝 양성 모델의 특성이 태권도 인재 양성 수요를 충족 44

〈그림 6〉 태권도 인재 원 스텝 양성 모델 구축 45

〈그림 7〉 연구의 두 가지 주요 주제 46

〈그림 8〉 두 가지 주요 주제에 대한 조사 및 연구 47

〈그림 9〉 사회태권도학교 지도자 자질 현황 및 수요 인터뷰 조사 개요 56

〈그림 10〉 중국 태권도 인재 양성 체계, 목표 및 취학 연령 목록 67

〈그림 11〉 피라미드 인재 양성 모델 68

〈그림 12〉 3개 경로를 통해 양성된 태권도 재의 종합 소양 관계도 79

〈그림 13〉 중국 경기 스포츠 인재의 다원화된 양성 모델 82

〈그림 14〉 칭화부중 스포츠 특기생 관리구조 100

〈그림 15〉 칭화대학 다이빙팀 과학 연구 지원 시스템 102

〈그림 16〉 넓은 의미의 삼단논법 공식 109

〈그림 17〉 교육부 중등직업 교육정책 및 설명자료 111

〈그림 18〉 태권도 인재 양성 및 각급 대표팀 선발 모델 119

〈그림 19〉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설계도 152

〈그림 20〉 선발 경로 원 스텝 모델 설계 안내도 154

〈그림 21〉 양성 주체를 위한 원 스텝 모델 설계 안내도 157

〈그림 22〉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기술 구조 체계 160

〈그림 23〉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에 따른 훈련 모델 시스템 설계[원문불량;p.149] 161

〈그림 24〉 원 스텝 인재 양성 운영 및 관리 모델 162

〈그림 25〉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의 인재 배출 모델 172

〈그림 26〉 한중 2+2+N 공동 양성 모델 175

〈그림 27〉 태권도 원 스텝 인재 양성 모델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