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22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2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3
II. 이론적 고찰 25
1. 빛의 속성과 의미 25
1) 빛의 속성 25
2) 빛의 의미 36
2. 예술에서의 빛 40
1) 회화 40
2) 사진 52
3) 테크놀로지 아트 55
3. 빛의 특성이 나타난 패션디자인 요소 61
1) 재질 61
2) 색채 65
3) 장식 66
III.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빛의 표현 특성 69
1. 투명성 69
2. 반사성 76
3. 발광 83
IV.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빛의 미적 특성 89
1. 환상성(幻想性) 89
2. 유희성 (遊戲性) 93
3. 매혹성 (魅惑性) 95
V. 작품 제작 및 분석 97
1. 디자인 기획 및 구성 97
2. 작품 제작 및 해설 104
1) 작품 I 107
2) 작품 II 113
3) 작품 III 119
4) 작품 IV 126
5) 작품 V 132
6) 작품 VI 139
7) 작품 VII 145
8) 작품 VIII 153
VI. 결론 160
참고문헌 164
ABSTRACT 170
〈표 1〉 연구의 흐름도 24
〈표 2〉 빛의 물리적 속성 34
〈표 3〉 현대 패션디자인에 활용된 빛의 표현 특성 88
〈표 4〉 전체 작품 계획표 103
〈표 5〉 디자인 전개 과정 1 104
〈표 6〉 디자인 전개 과정 2 105
〈표 7〉 디자인 전개 과정 3 106
〈표 8〉 작품 I 해설 107
〈표 9〉 작품 I Detail 108
〈표 10〉 작품 I Front, Side, Back 108
〈표 11〉 작품 I-1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09
〈표 12〉 작품 I-2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10
〈표 13〉 작품 II 해설 113
〈표 14〉 작품 II Detail 114
〈표 15〉 작품 II Front, Side, Back 114
〈표 16〉 작품 II-1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15
〈표 17〉 작품 II-2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16
〈표 18〉 작품 III 해설 119
〈표 19〉 작품 III Detail 120
〈표 20〉 작품 III Front, Side, Back 120
〈표 21〉 작품 III-1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21
〈표 22〉 작품 III-2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22
〈표 23〉 작품 III-3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23
〈표 24〉 작품 IV 해설 126
〈표 25〉 작품 IV Detail 127
〈표 26〉 작품 IV Front, Side, Back 127
〈표 27〉 작품 IV-1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28
〈표 28〉 작품 IV-2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29
〈표 29〉 작품 V 해설 132
〈표 30〉 작품 V Detail 133
〈표 31〉 작품 V Front, Side, Back 133
〈표 32〉 작품 V-1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34
〈표 33〉 작품 V-2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35
〈표 34〉 작품 V-3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36
〈표 35〉 작품 VI 해설 139
〈표 36〉 작품 VI Detail 140
〈표 37〉 작품 VI Front, Side, Back 140
〈표 38〉 작품 VI-1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41
〈표 39〉 작품 VI-2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42
〈표 40〉 작품 VII 해설 145
〈표 41〉 작품 VII Detail 146
〈표 42〉 작품 VII Front, Side, Back 146
〈표 43〉 작품 VII-1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47
〈표 44〉 작품 VII-2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48
〈표 45〉 작품 VII-3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49
〈표 46〉 작품 VII-4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50
〈표 47〉 작품 VIII 해설 153
〈표 48〉 작품 VIII Detai1 154
〈표 49〉 작품 VIII Front, Side, Back 154
〈표 50〉 작품 VIII-1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55
〈표 51〉 작품 VIII-2 도식화 및 소재, 컬러 156
〈그림 1〉 전자기파 스펙트럼 및 빛의 파장 범위 26
〈그림 2〉 개량형 카메라 옵스큐라 (18C) 29
〈그림 3〉 일식과 월식 29
〈그림 4〉 빛의 반사 30
〈그림 5〉 빛의 정반사와 난반사 30
〈그림 6〉 빛의 굴절 31
〈그림 7〉 프리즘에서의 빛의 굴절 31
〈그림 8〉 물체의 투명도에 따른 빛의 투과(왼쪽부터 차례로 투명, 불투명, 반투명) 31
〈그림 9〉 빛의 간섭 실험 32
〈그림 10〉 빛의 간섭색 32
〈그림 11〉 빛의 회절 33
〈그림 12〉 레일리 산란과 미 산란 33
〈그림 13〉 카펠라 팔라티나 39
〈그림 14〉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39
〈그림 15〉 딸들을 안고 있는 아크나톤과 네르페티티, 기원전 1345년경. 41
〈그림 16〉 꽃을 꺾고 있는 처녀, 1세기. 41
〈그림 17〉 빵과 물고기의 기적, 520년경. 42
〈그림 18〉 우주의 통치자인 그리스도, 성모와 아기 예수 및 성자들, 1190년경. 42
〈그림 19〉 사도요한, 1000년경. 42
〈그림 20〉 샤르트르 대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42
〈그림 21〉 The Mourning of Christ, Giotto di Bondone, 1305. 43
〈그림 22〉 The Trinity, Masaccio, 1427. 43
〈그림 23〉 Mona Lisa, Leonardo da Vinch, 1503-1506. 44
〈그림 24〉 The Madonna of the Meadow, Raffaello Santi, 1505-1506. 44
〈그림 25〉 The Calling of St Matthew, Caravaggio, 1598. 45
〈그림 26〉 The Night Watch, Rembrandt Harmensz van Rijn, 1642. 45
〈그림 27〉 La Mort de Marat, Jacques-Louis David, 1792. 47
〈그림 28〉 The Fighting Temeraire, J. M. W. Turner, 1839. 47
〈그림 29〉 The Hay Wain, John Constable, 1821. 47
〈그림 30〉 Chalk Cliffs on Rugeü. Caspar David Friedrich, 1818. 47
〈그림 31〉 The Cliff, Étretat,Sunset, Claude Monet, 1882-1883. 48
〈그림 32〉 Dance at Le Moulin de la Galette, Auguste Renoir, 1876. 48
〈그림 33〉 The Starry Night, Vincent van Gogh, 1889. 49
〈그림 34〉 The Basket of Apples, Paul Cézanne, 1893. 49
〈그림 35〉 Street Light, Giacomo Balia, 1910-1911. 50
〈그림 36〉 Lampi, Luigi Russolo, 1910. 50
〈그림 37〉 Vue de Collioure (View of Collioure), André Derain, 1905. 51
〈그림 38〉 Les Demoiselles d'Avignon, Pablo Picasso, 1907. 51
〈그림 39〉 Simultaneous Contrasts : Sun and Moon, Robert Delaunay, 1913. 51
〈그림 40〉 Red Rayonism, Mikhail Larionov, 1913. 51
〈그림 41〉 Fotogramm, László Moholy-Nagy, 1926. 54
〈그림 42〉 Fotogramm, László Moholy-Nagy, 1925-1928. 54
〈그림 43〉 Rayograph, Man Ray, 1922. 54
〈그림 44〉 Rayograph, Man Ray, 1923. 54
〈그림 45〉 The Diagonal of May 25, 1963 (To Robert Rosenblum), Dan Flavin, 1963. 57
〈그림 46〉 untitled (to the "innovator" of Wheeling Peachblow), Dan Flavin, 1968. 57
〈그림 47〉 Afrum I (White), James Turrell, 1967. 58
〈그림 48〉 The Light Inside, James Turrell, 1999. 58
〈그림 49〉 Wavy Red Line, Robert Whitman, 1967. 59
〈그림 50〉 Inclined Planes, Rockne Krebs, 1989. 59
〈그림 51〉 Delta II, Rudie Berkhout, 1982. 60
〈그림 52〉 Ping Pong, Dieter Jung, 2000. 60
〈그림 53〉 Fendi, 2014 S/S 71
〈그림 54〉 Lanvin, 2017 S/S 71
〈그림 55〉 Francesco Scognamiglio, 2017 F/W 71
〈그림 56〉 Blumarine, 2014 F/W 71
〈그림 57〉 Christian Dior, 2014 F/W 71
〈그림 58〉 Balmain, 2016 F/W 71
〈그림 59〉 Valentino, 2019 S/S 72
〈그림 60〉 Celine, 2020 S/S 72
〈그림 61〉 Chloé, 2020 F/W 72
〈그림 62〉 Gucci, 2015 F/W 73
〈그림 63〉 Alexander McQueen, 2016 S/S 73
〈그림 64〉 Prada, 2017 S/S 73
〈그림 65〉 Christopher Kane, 2018 S/S 73
〈그림 66〉 Dries Van Noten, 2019 F/W 73
〈그림 67〉 Roksanda, 2019 S/S 73
〈그림 68〉 Anya Hindmarch, 2018 S/S 74
〈그림 69〉 Maison Margiela, 2018 F/W 74
〈그림 70〉 JW Anderson, 2020 F/W 74
〈그림 71〉 Peter Som, 2015 S/S 75
〈그림 72〉 Iris van Herpen, 2015 S/S 75
〈그림 73〉 Simone Rocha, 2016 S/S 75
〈그림 74〉 MM6 Maison Margiela, 2018 F/W 77
〈그림 75〉 Chanel, 2020 S/S 77
〈그림 76〉 Louis Vuitton, 2020 S/S 77
〈그림 77〉 Delpozo, 2015 SIS 78
〈그림 78〉 Dolce & Gabbana, 2016 F/W 78
〈그림 79〉 Dolce & Gabbana, 2018 F/W 78
〈그림 80〉 Diesel Black Gold, 2014 F/W 78
〈그림 81〉 David Koma, 2019 F/W 78
〈그림 82〉 Loewe, 2016 F/W 78
〈그림 83〉 Hermés, 2015 F/W 79
〈그림 84〉 Zero + Maria Cornejo, 2017 F/W 79
〈그림 85〉 Miu Miu, 2015, F/W 79
〈그림 86〉 Lanvin, 2014 SIS 80
〈그림 87〉 Gareth Pugh, 2014 F/W 80
〈그림 88〉 Michael Kors, 2019 F/W 80
〈그림 89〉 Dolce & Gabbana, 2014 S/S 81
〈그림 90〉 Balenciaga, 2017 SIS 81
〈그림 91〉 Tom Ford, 2020 F/W 81
〈그림 92〉 Maison Margiela, 2018 F/W 81
〈그림 93〉 Balmain, 2018 F/W 81
〈그림 94〉 Marine Serre, 2019 F/W 81
〈그림 95〉 Richard Nicoll, 2015 S/S 84
〈그림 96〉 Chromat, 2016 F/W 84
〈그림 97〉 Raf Simons, 2018 S/S 84
〈그림 98〉 Raf Simons, 2018 S/S 84
〈그림 99〉 Raf Simons, 2018 S/S 84
〈그림 100〉 Chanel, 2016 S/S 85
〈그림 101〉 Chanel, 2016, S/S 85
〈그림 102〉 Chanel, 2017 S/S 85
〈그림 103〉 Dolce & Gabbana, 2017 S/S 85
〈그림 104〉 Dolce & Gabbana, 2017 S/S 85
〈그림 105〉 Ashish, 2014 F/W 85
〈그림 106〉 Louis Vuitton, 2019 F/W 86
〈그림 107〉 Louis Vuitton, 2019 F/W 86
〈그림 108〉 Louis Vuitton, 2019 F/W 86
〈그림 109〉 Saint Laurent, 2019 F/W 87
〈그림 110〉 Saint Laurent, 2019 F/W 87
〈그림 111〉 Saint Laurent, 2019 F/W 87
〈그림 112〉 Marine Serre, 2019 F/W 87
〈그림 113〉 Balmain, 2018 F/W 87
〈그림 114〉 Prada, 2018 F/W 87
〈그림 115〉 Number 5, Leonardo Betti, 2017. 98
〈그림 116〉 Mise-en-Abyme tunnel, de Allegri & Fogale, 2015. 98
〈그림 117〉 Movements (Stage IV), Jim Hodges, 2009. 99
〈그림 118〉 In Love with Tomorrow, Pae White, 2013. 99
〈그림 119〉 Ronin, James Turrell, 1968. 100
〈그림 120〉 Dust Motes Dancing in Sunlight, Vilhelm Hammershøi, 1900. 100
〈그림 121〉 작품 I 화보 사진 1 111
〈그림 122〉 작품 I 화보 사진 2 112
〈그림 123〉 작품 II 화보 사진 1 117
〈그림 124〉 작품 II 화보 사진 2 118
〈그림 125〉 작품 III 화보 사진 1 124
〈그림 126〉 작품 III 화보 사진 2 125
〈그림 127〉 작품 IV 화보 사진 1 130
〈그림 128〉 작품 IV 화보 사진 2 131
〈그림 129〉 작품 V 화보 사진 1 137
〈그림 130〉 작품 V 화보 사진 2 138
〈그림 131〉 작품 VI 화보 사진 1 143
〈그림 132〉 작품 VI 화보 사진 2 144
〈그림 133〉 작품 VII 화보 사진 1 151
〈그림 134〉 작품 VII 화보 사진 2 152
〈그림 135〉 작품 VIII 화보 사진 1 157
〈그림 136〉 작품 VIII 화보 사진 2 158
〈그림 137〉 전체 작품 사진 159
현대에 이르러 사진과 과학 기술 등이 발전하게 되면서 빛은 신선한 시 지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하지만 빛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빛은 우리의 생활 속에서 중요한 시각적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이성과 감성을 이어 풍부한 경험을 하게 한다. 그렇게 때문에 빛은 과학, 철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로 자리 잡았으며, 예술에서도 빛을 표현하고자 하는 여러 방식들이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중세 이전의 빛은 단순히 물체를 비추어 지각할 수 있게 하는 보조적 역할에 지나지 않았으나, 중세의 카톨릭 사상과 만나 신의 상징이자 숭배의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원근감을 나타내는 소재, 바로크 시대에는 영혼의 표현 등으로 나타났으며, 19세기에는 이런 상징성을 잃고 단순히 색채에 의해 표현 되었다. 시대와 사회·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빛의 표현 양상이나 그 의미가 변화하기도 하였지만 꾸준하게 관심을 가지고 예술의 한 요소로서 표현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빛에 대한 예술적 애정은 현대 예술 및 디자인 분야에서도 계속해서 이어져 라이트 아트, 키네틱 아트, 레이저 아트 등 다양한 예술 양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빛에 대한 예술적 애정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빛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 빛의 미적 특성을 도출하여 그를 바탕으로 패션디자인에 응용하여 의상 작품으로 제작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빛이 활용된 현대 패션디자인의 요소를 소재, 색채, 장식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빛의 표현 특성을 투명, 반사, 발광으로 분류하였다. 4대 컬렉션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의 최근 7년 (2014 S/S~2020 F/W)에서 현대 패션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표현유형에 기준에 맞춰 분류하였다.
투명성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원단을 사용하여 빛의 투과가 나타난 표현 특성이다. 주로 신체가 드러나거나 서로 다른 소재의 중첩이 나타나는 표현 특성으로, 환상적이며 매혹적인 감성을 자극한다.
반사성은 빛의 반사를 활용한 유형으로 인조보석, 스팽글, 비즈 등의 장식성 소재나 새틴, 벨벳, 라메 등의 빛을 반사하는 직물이 사용되어 환상적이며 유희적인 시각적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표현 특성이다.
발광성은 가장 직접적으로 빛이 작용하는 표현 특성으로, 형광, 광섬유, LED 등이 주로 사용된다. 강렬하게 반짝이는 빛으로 시각적 유희성과 환상성을 강조한 유형이다.
위의 사례 조사, 분석 및 분류에 따라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빛의 미적 특성으로는 환상성, 유희성, 매혹성 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환상성은 몽환적, 환각적, 환영 등과 같이 신비로운 시각 효과를 자극하는 미적 특성으로 서로 다른 원단이 겹쳐져 환상적인 시각효과를 보인다거나 강렬한 반사효과 등으로 나타난다.
유희성은 시각적 즐거움을 일으키는 미적특성으로 빛을 반사하는 소재를 산발적이며 비정형으로 배치하여 빛과 그림자가 흩어져, 부서지는 듯한 반사 혹은 다양한 색으로 변화하는 빛의 발광, 빛의 색상이나 광도 등을 직접 조절하여 디자인 요소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매혹성은 시선을 이끄는 미적 특성으로 투명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인체의 드러남, 빛의 화려한 반사로 인한 시선의 집중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총 8착장, 20개의 아이템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아이템은 코트, 자켓, 팬츠, 원피스, 스커트, 케이프, 베스트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 되어있다. 서로 다른 색상이나 재질의 소재들을 겹쳐 빛의 유희성과 환상성을 표현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레이어드하여 입을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아이템을 제작하였으며 빛의 직선 성질과 같은 H자 실루엣을 주로 사용했다.
소재는 빛이 투과되며, 투명하게 비쳐지는 표현 특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투명도가 높은 오간자와 폴리, 시폰을 사용하였다. 빛의 반사 성질을 표현하기 위하여 광택성이 높아 빛을 반사하는 새틴과 다채로운 색상과 다양한 크기의 비즈와 스팽글을 사용하였다. 이에 시각적 유희를 더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폴리 소재가 아닌 요철감과 볼륨감이 느껴지는 소재를 사용하였고, 스팽글과 비즈의 비정형적인 무늬를 단순화하여 프린팅한 시폰을 사용하였다.
색상은 빛의 삼원색인 빨강(Red), 파랑(Blue), 초록(Green)에서 영감을 받아, 이들의 가법 혼색을 이용하여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 시안(Cyan), 화이트(White)를 활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얇고 가벼운, 비치는 소재를 사용하여 신체가 드러나게 하여 매혹성을 강조하였으며 다양한 질감과 색상의 소재를 중첩시켜 환상성을 강조하였다. 비정형적으로 배열된 반사형 장식 소재인 스팽글과 비즈의 사용으로 유희성과 환상성을 강조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빛의 속성 및 미적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패션 디자인이 창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빛은 어떠한 형태로 고착화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보다 더 다양한 미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후속 연구에 본 연구가 하나의 틀이 되기를 바라며 패션디자인 전개 과정에서 독창적이며 신선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