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Contents
Ⅰ. Introduction 8
Ⅱ. Materials and methods 11
1. Study subjects 11
2. HLA-G typing 12
3. Soluble HLA-G and other biomarker measurements 14
4. Statistical analysis 15
5. Ethics statement 16
Ⅲ. Results 17
1. Study subjects 17
2. 3'-UTR polymorphisms 17
3. Coding region polymorphisms 19
4. Concentration of sHLA-G in the study groups 20
5. Diagnostic performance of serum sHLA-G for PCa 21
6. Concentration of sHLA-G according to HLA-G polymorphisms 22
Ⅳ. Discussion 23
References 49
국문초록 57
ABSTRACT 59
Figure 1. Serum sHLA-G concentrations in the prostate cancer (PCa), benign prostate hyperplasia (BPH), and normal control groups. The PCa group... 30
Figure 2.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of serum sHLA-G,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prostate health index (PHI), and free/total PSA ratio... 31
Figure 3.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for serum sHLA-G, free/total prostatespecific antigen ratio (%free PSA), and prostate health index... 32
배경: Human leukocyte antigen-G (HLA-G)는 암 발생 과정의 면역 회피 기전에 관여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전립선암의 발생에 HLA-G 유전자의 3'-UTR 과 exon 부위의 다형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또한 soluble HLA-G (sHLA-G)가 전립선암의 암표지자로서의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전립선암 환자 (N=76), 전립선비대증 환자 (N=80), 그리고 정상 대조군 (N=101)에 대해 HLA-G 유전자의 3'-UTR 과 exon 부위의 직접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하였다. 혈청 sHLA-G 는 ELISA 법을 이용해 측정하였고 비교 표지자로서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free/total PSA ratio (%free PSA), 그리고 prostate health index (PHI)를 측정하였다.
결과: 3'-UTR 일배체 중 UTR-4 가 전립선비대증 환자와의 비교에서 전립선암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오즈비 5.95, 95% 신뢰구간 1.53-23.26, 보정 P = 0.032, non-UTR-4 군과 대조). 그러나 정상 대조군과의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보정 P = 0.071). 유전자형 분석에서 +3003TC 유전자형이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전립선암 발생에 대한 유의미한 위험 인자였지만 (오즈비 11.32, 95% 신뢰구간 2.16-29.40, 보정 P = 0.042, +3003TT 군과 대조), 정상 대조군 환자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P = 0.053). +3003C 대립유전자는 전립선비대증과 정상 대조군 모두에서 전립선암 발생에 대해 유의미한 오즈비를 보이지 않았다 (보정 P = 0.376 과 0.096). 엑손의 다형성에서는 일배체형, 유전자형, 대립유전자형 수준의 분석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다. sHLA-G 가 전립선암과 전립선비대증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AUC 값은 0.622 였고 이는 PSA (0.834), PHI (0.735), 그리고 %fPSA (0.708)에 비해 낮았다. 전립선암 환자 중 Gleason 점수가 8 이상인 환자들이 7 이하인 환자에 비해 높은 sHLA-G 수치를 보였지만 (중앙값 470.26 U/mL 대 301.56 U/mL, P = 0.043) 다변량 로지스틱 회기 분석에서 sHLA-G 와 Gleason 점수와의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HLA-G 유전자 다형성과 sHLA-G 수치와의 연관성도 없었다.
결론: HLA-G 유전자의 3'-UTR 과 exon 의 유전자 다형성은 전립선암 발생과 유의미한 연관은 없었다. 더불어 sHLA-G 측정도 기존의 표지자들에 비해 전립선암에 있어 뚜렷한 장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UTR-4 일배체형과 +3003C 대립유전자의 경우 더 많은 연구대상자를 포함할 경우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