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5
Ⅰ. 서론 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6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9
1. 우연성 음악 9
1) 우연성 음악의 개념 9
2) 우연성 음악의 배경 10
3) 우연성 음악의 작곡가 및 특징 15
2. 존 케이지 20
1) 존 케이지의 생애 20
2) 존 케이지의 음악적 특징 22
3. 우연성 음악의 교육적 의의 25
Ⅲ. 우연성 음악 수업지도안 실제 26
1. 4분 33초 26
1) 제재곡 이해 26
2) 교수 - 학습 지도안 28
2. 소나타와 간주곡 34
1) 제재곡 이해 34
2) 수업지도안 38
Ⅳ.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2
Abstract 54
〈그림 1〉 Wolff·Brown·Cage·Feldman 11
〈그림 2〉 64개의 헥사그램(64괘) 14
〈그림 3〉 어플리케이션 '4분 33초' 29
〈그림 4〉 프리페어드 피아노 34
〈그림 5〉 어플리케이션 'John Cage Piano' 39
〈예 1〉 Twenty-Five Pages for one to twenty-five Pianos 17
〈예 2〉 Intersection 3 18
〈예 3〉 Last Pieces 19
〈예 4〉 4분 33초 26
〈예 5〉 Table of Preparations (Edition Peters) 37
현재 학교교육에서 조성음악은 활발하게 다뤄지지만 현대음악은 음악 사조에 대한 교사의 충분한 이해와 교수 자료의 부족 등을 이유로 아직까지도 제한적이고 소극적으로 다뤄진다. 학교에서는 음악에 대한 편향된 정보만을 가르치던 과거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사회, 문화적인 맥락에서 이해하며 현대음악이 동시대의 음악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우연성 음악은 20세기 후반 음악적 아방가르드, 동양사상을 바탕으로 뉴욕악파를 중심으로 발달하였고 작곡과정과 연주결과가 우연성, 불확정성에 기대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작곡 과정과 연주 결과는 임의적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독창적이고 실험적으로 전개된 우연성 음악은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20세기 이후 발생한 여러 사조 중 우연성 음악을 선택하여 우연성 음악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고안하여 총 3차시의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1차시는 「4분 33초」를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우연성 음악의 기본적 개념 파악과 감상활동을 중심으로 고안하였다. 2, 3차시는 「소나타와 간주곡」을 제재곡으로 총 2차시로 구성하였고 2차시는 우연성 음악의 악기라고 할 수 있는 '프리페어드 피아노'를 기존의 피아노와 비교를 통한 이해와 제재곡 감상활동으로 고안하였다. 3차시는 '프리페어드 피아노'에 사용될 수 있는 물건들의 탐색을 통한 '프리페어드 피아노' 제작 및 연주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도안이 실제 음악 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표현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20세기 후반의 사조에 대한 경험을 통해 현대음악을 포괄적이고 넓은 범주의 음악으로 인식하기를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