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머리말 6

1.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1) 연구의 범위 15

2) 연구내용과 방법 26

Ⅱ. 中國 孔子圖의 成立 29

1. 孔子의 生涯와 思想 29

1) 孔子의 生涯 29

2. 孔子에 대한 평가 41

2. 孔子圖의 제작 배경과 문헌검토 45

1) 聖人 孔子에 대한 존경과 흠모 45

3. 孔子聖蹟圖의 原形 이미지 탐구 56

1) 萬世師表의 孔子-孔子見老子에서 孔子行敎像으로 56

2) 講學과 敎育의 空間-杏壇禮樂圖 77

4. 政治人과 종교적 대상으로서의 孔子이미지 83

1) 魯司寇像의 제작과 의미 83

2) 祭享공간의 孔子와 弟子像 89

Ⅲ. 中國의 孔子聖蹟圖 97

1. 元代 孔子聖蹟圖 97

1) 說과 贊詩 形式의 원형 王振鵬의 《孔子聖蹟圖》 97

2) 王振鵬의 《孔子聖蹟圖》 분석 104

2. 明淸代 孔子聖蹟圖의 성행과 확산 113

1) 書籍 出版과 肖像 揷圖의 성행 113

2) 說과 贊詩 形式의 孔子聖蹟圖 133

3) 標題와 說과 贊詩 形式의 吳嘉謨 《孔聖家語圖》 156

4) 標題와 說 形式의 孔子聖蹟圖 164

Ⅳ. 韓國의 孔子聖蹟圖 186

1. 孔子圖의 傳來와 受容 186

1)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孔子圖의 전개 186

2) 조선시대 儒學의 발흥과 孔子圖의 제작 상황 193

3) 孔子圖의 제작 현황 216

2. 朝鮮時代 孔子聖蹟圖 220

1) 金振汝의 《孔子聖蹟圖》 : 說과 贊詩 形式 223

2) 李箕彦跋文 《孔夫子聖蹟圖》 : 標題와 說 形式 234

3. 開港期와 抗日期의 孔子聖蹟圖 248

1) 孔子聖蹟圖의 제작배경과 유교의 종교화 운동 248

2) 標題와 說 形式의 孔子聖蹟圖 250

3) 標題와 說과 讚詩의 孔子聖蹟圖 267

4) 한글본 孔子聖蹟圖 278

Ⅴ. 결론 284

참고문헌 292

국문초록 589

ABSTRACT 594

표목차

표 1. 淸 皇帝 御書 398

표 2. 王振鵬 《孔子聖蹟圖》의 說과 題詩, 出處 399

표 3. 『孔宅志』의 張楷 讚詩 목록 400

표 4. 『孔宅志』의 張楷 贊과 弘治本(吉府重刊本)의 《孔子聖蹟圖》 순서 401

표 5. 弘治本(吉府重刊本)의 《孔子聖蹟圖》 설명문과 讚詩 순서 402

표 6. 正統飜刻本의 《孔子聖蹟圖》 순서 407

표 7. 正統飜刻本, 嘉靖本, 彩繪本의 《孔子聖蹟圖》 배열 순서 412

표 8. 說과 讚詩 형식의 《孔子聖蹟圖》 각 판본 讚詩 현황 413

표 9. 吳嘉謨의 《孔聖家語圖》 標題와 說과 按於 목록 433

표 10. 《聖蹟全圖》 표제와 설명문과 찬시 441

표 11. 何出光本 《孔子聖蹟圖》 112圖 목록과 출처 452

표 12. 民社本 《孔子聖蹟圖》 목록 454

표 13. 金振汝本의 《孔子聖蹟圖》 說과 贊詩 목록 461

표 14. 王振鵬本과 金振汝本의 《孔子聖蹟圖》 說과 贊詩 목록 462

표 15. 李箕彦跋文의 규장각본과 국박본의 《孔子聖蹟圖》 목록 464

표 16. 孔在憲本 《孔夫子聖蹟圖》 목록 468

표 17. 孔在憲本 《孔夫子聖蹟圖》 목록과 그림 334

표 18. 鄭殷采本 《孔夫子聖蹟圖續修五倫行實》 목록 476

표 19. 《聖蹟畵》 18幅 목록(캐나다 로얄 온타리오박물관본과 일본 오구라문고본) 478

표 20. 安敎煥本 《聖蹟眞像圖》 목록 482

표 21. 韓中 《孔子聖蹟圖》 전체 목록 518

삽도목차

도 1. 傳 子貢, 〈孔子와 幵官氏 夫婦像〉, 년대 미상, 56x285cm, 浙江省 衢州 孔子南府 526

도 2. 〈孔子衣鏡〉,海昏侯劉賀(B.C.92-B.C.59)墓, 江西 南昌 526

도 2-1. 〈孔子와 顔子〉, 《孔子衣鏡》 세부 526

도 3. 〈孔子見老子〉, 東漢 桓帝 靈帝時期 (147-188), 內蒙古 和林格爾 漢墓壁畫 526

도 4. 〈孔子見老子〉, 西漢晩期에서 東漢初期 (약1세기), 山東 東平 漢墓壁畫 527

도 5-1. 〈孔子見老子〉, B.C.73-B.C.33, 微山縣 畫像石 527

도 5-2. 〈孔子見老子〉, 25-88년, 山東省 嘉祥縣城東北五老窪 527

도 5-3. 〈孔子見老子〉, 25-88년, 山東省 嘉祥縣紙坊鎭 527

도 5-4. 〈孔子見老子〉, 147-189년, 山東省 嘉祥縣 滿硐鄕宋山 527

도 5-5. 〈孔子見老子〉, 147-189년, 山東省 嘉祥縣 滿硐鄕宋山 527

도 5-6. 〈孔子見老子〉, 東漢(147~189년), 山東省 嘉祥懸 齊山 出土 527

도 5-6-1. 〈孔子見老子〉 세부 528

도 5-7. 〈孔子見老子〉, 147-189년, 嘉祥縣滿硐鄕宋山 528

도 5-8. 〈孔子見老子〉, 147년, 嘉祥縣武氏西闕正闕身南面 528

도 5-9. 〈孔子見老子〉, 76-88년, 長淸懸孝里鎭孝堂山石祠後壁 528

도 5-10. 〈孔子見老子〉, 147-220년, 大汶口鎭墓門楣東段 528

도 5-11. 〈孔子見老子〉, 147-189년, 滕州市官橋鎭 528

도 5-6-2. 嘉祥縣 城西南 齊山의 〈孔子見老子〉 529

도 6. 傳 顧愷之, 〈顔子從行像〉, 北宋 政和 8年 (1118), 72x42cm, 曲阜孔廟聖蹟殿 529

도 7. 〈孔丘像〉, 北宋 宣和 6年 (1124), 156x77cm, 浙江紹興 529

도 8. 孔元措 撰, 〈小影〉 『孔氏祖庭廣記』, 蒙古 乃馬眞后 元年(1242년) 529

도 9. 〈孔子見榮啓期〉, 宋, 絹本淡彩, 24.8x25.3cm, 미국 보스턴박물관 529

도 9-1. 〈孔子見榮啓期〉 세부 530

도 10. 馬遠, 〈孔子圖〉, 南宋, 27.7x25.3cm,北京 故宮博物院 530

도 11. 〈孔子〉 《聖君賢臣全身像》, 絹本水墨, 宋, 28.6x21.8cm, 臺北故宮博物院 530

도 12. 陳元靚 纂, 〈先聖遺像〉 《纂圖增新羣書類要事林廣記續集》, 宋 530

도 13. 〈孔丘像〉, 明 嘉靖 42年(1563), 67x34cm, 陝西西安 531

도 14. 傳 吳道子, 〈孔子行敎圖〉, 131x61cm, 淸代石刻拓本, 山東曲阜 531

도 15. 傳 吳道子,〈孔子行敎像〉, 山東曲阜孔子墓 聖蹟殿 531

도 16. 〈先聖遺像〉, 北宋, 浙江省衢州孔廟, 孔端友所藏 531

도 17. 〈米芾孔子贊像〉, 北宋, 山東曲阜 孔子墓 聖蹟殿 532

도 18. 〈至聖遺像〉, 元泰定(1324-1328년)石刻 532

도 19. 〈先聖遺像〉, 元至正5年(1345) 石刻, 廣州 越秀公園 532

도 20. 〈先聖遺像〉, 明正統9年(1440)石刻, 上海松江 532

도 21. 〈先聖遺像〉, 明嘉靖15年(1536)石刻, 北京圖書館藏畵像拓本 532

도 22. 〈先聖遺像〉,明萬曆15年(1587)石刻, 河南省內鄕縣初中院 533

도 23. 〈至聖遺像〉, 淸順治13年(1656)石刻, 北京圖書館藏畵像拓本 533

도 24. 〈先聖遺像〉, 淸康熙60年(1721)石刻, 北京圖書館藏畵像拓本 533

도 25. 〈孔子行敎像〉, 淸石刻, 個人 533

도 26. 〈先聖遺像〉, 淸, 1821년, 泰山岱頂孔廟銅刻 533

도 27. 〈先聖先師像〉, 淸石刻, 臺灣孔廟大成殿 533

도 28. 〈杏壇圖〉, 『東家雜記』, 北宋 衢州刊本, 南宋補版, 19.8x13.9cm, 北京圖書館 534

도 29. 〈孔子之製〉 《宋人畵歷代琴式圖》, 紙本水墨, 37.6x27.3cm, 臺北古宮博物院 534

도 30. 傳 閻立本, 〈孝經圖〉卷(부분), 絹本彩色, 두루마리, 18.6x529cm, 遼寧省博物館 534

도 31. 李公麟, 〈孝經圖〉, 卷(부분), 北宋, 20.5x702.6cm, 臺北古宮博物院 534

도 32. 馬和之, 〈孔子講學圖〉, 絹本彩色, 南宋, 28.8x33.7cm, 臺北故宮博物院 534

도 33. 馬和之, 〈閔予小子之什圖〉卷(부분), 南宋, 絹本設色, 27.6x721cm, 臺北古宮博物院 534

도 34. 吳彬, 〈孔子講學圖〉, 明, 絹本彩色, 124.5x62cm, 曲阜 孔廟 535

도 35. 誠意, 〈杏壇絃歌圖〉, 明, 絹本彩色, 146x104.5cm, 日本 오사카시립미술관 535

도 36. 〈孔子講學圖〉, 明, 絹本彩色, 167.5x95cm, 曲阜 孔廟 535

도 36-1. 〈孔子講學圖〉 세부 535

도 37. 孔元措 撰, 〈憑几像〉 『孔氏祖庭廣記』, 蒙古 乃馬眞后 元年(1242년) 536

도 38. 孔元措 撰, 〈乘輅像〉 『孔氏祖庭廣記』, 蒙古 乃馬眞后 元年(1242년) 536

도 39. 〈魯司寇像〉 『新刊素王事記』, 元至大2年-泰定元年(1309-1324), 蒼巖書院刊本 536

도 40. 〈魯司寇像〉, 曲阜孔廟 聖蹟殿 石刻 536

도 41. 〈魯司寇像〉, 明, 紙本彩色, 160x104.5cm, 曲阜 孔廟 537

도 42. 〈魯司寇像〉, 明, 紙本彩色, 147.5x65.5cm, 曲阜 孔廟 537

도 43. 〈魯司寇像〉, 明, 絹本彩色, 120x63cm, 曲阜 孔廟 537

도 44. 〈魯司寇像〉, 淸雍正12年(1734), 106x66cm, 曲阜 孔廟 537

도 45. 朱天然, 〈魯司寇像〉, 《歷代古人像讚》, 1498年, 中國 538

도 46. 朱翊鈏, 〈魯司寇像〉, 《古先君臣圖像》, 1584年, 中國 538

도 47. 〈魯司寇像〉, 《三才圖會》, 1607년, 中國 538

도 48. 〈孔子燕居像〉, 《三才圖會》, 1607년, 中國 538

도 49. 〈魯司寇像〉, 《Portraits de Chinois celebres》, 1685년, 프랑스 국가도서관 539

도 50. 〈孔子燕居像〉, 明, 絹本彩色, 126.5x102.5cm, 曲阜 孔廟 539

도 51. 〈孔子燕居像〉, 明, 絹本彩色, 102x62.5cm, 曲阜 孔廟 539

도 52. 傳 李公麟, 〈공자와 72제자상〉(부분), 北宋, 浙江省 杭懸 孔子廟 539

도 53. 〈孔門弟子圖卷36名〉(부분), 南宋, 絹本彩色, 32.3x870cm, 北京古宮博物院 540

도 54. 呂維祺, 『聖賢像讚』의 〈至聖先師孔子〉, 1632년 540

도 55. 顧沅, 『聖廟祀典圖考』의 〈至聖先師孔子〉, 1826년 540

도 56. 王槪, 『芥子園畵傳』의 〈至聖先師孔子〉, 淸, 1880 540

도 57. 〈大成至聖文宣先師孔子之像〉, 明版 『闕里誌』 1, 木刻版畫 540

도 58. 『聖賢像讚』의 〈至聖先師孔子〉, 1878년 540

도 59. Isidore-Stanislaus-Henri Herman, 〈Confucius〉, 1784년, 銅版畵, 26.9x18.4cm, 『China on Paper』 541

도 60. Danielem Horthemels, 〈Confucius〉,1687년, 銅版畵, 32.1x21.3cm, 『China on Paper』 541

도 61. 〈孔丘及顔曾思孟神位圖〉, 淸代刻, 65x28cm, 『北京圖書館藏畵像拓本匯編』 6 541

도 62. 〈萬世師表〉, 淸代刻, 106x56.5cm, 하버드옌칭도서관 541

도 63. 〈萬世師表〉, 淸代刻, 62x129.5cm, 고판화박물관 541

도 64. 王振鵬, 〈伯牙鼓琴圖〉,元, 絹本水墨, 31.4x92cm, 臺北故宮博物院 542

도 65. 王振鵬, 《孔子聖蹟圖》 표지, 鄧實의 '小傳', 袁桷, 詹希元, 文彭 跋, 1908년, 上海神州國光社 542

도 66. 王振鵬,《孔子聖蹟圖》, 1908年, 上海神州國光社 影印本[내용없음] 325

도 66-1. 王振鵬, 〈尼山禱嗣〉, 《孔子聖蹟圖》, 1908年, 上海神州國光社 543

도 66-2. 〈學琴師襄〉 543

도 66-3. 〈受樂遄行〉 543

도 66-4. 〈圍匡曲解〉 543

도 66-5. 〈東門胎誚〉 543

도 66-6. 〈臨河返駕〉 543

도 66-7. 〈刪述六經〉 543

도 66-8. 〈楚封見沮〉 543

도 66-9. 〈西狩泣麟〉 544

도 66-10. 〈漢高崇祀〉 544

도 67-1. 〈伯牙鼓琴圖〉(도 61) 세부 544

도 67-2. 〈學琴師襄〉 (도 66-2)세부 544

도 68-1. 『書傳大全』 「黼扆」 544

도 68-2. 王圻 王思義 輯, 『三才圖會』 54卷 「器用」 12卷 什器類 544

도 69-1. 王振鵬本(1321-1327) 병풍 545

도 69-2. 朱見浚本(1506) 병풍 545

도 69-3. 彩色本(16세기) 병풍 545

도 69-4. 朱胤栘本(1548) 병풍 545

도 69-5. 孔聖家語圖本(1589) 병풍 545

도 69-6. 民社本 병풍 545

도 70-1. 〈圍匡曲解〉(도66-4)의 세부 546

도 70-2. 〈西狩泣麟〉(도 66-9)의 세부 546

도 70-3. 〈東門貽誚〉(66-5)의 세부 546

도 70-4. 〈臨河返駕〉(도66-6)의 세부 546

도 70-5. 〈楚封見沮〉(도66-8) 세부 546

도 70-6. 〈刪述六經〉(66-7)의 세부 546

도 71-1. 〈孔子燕居像〉, 紙本淡彩, 33.3x24.3cm, 臺北故宮博物院 547

도 71-2. 〈顏回半身像〉 547

도 72. 仇英, 〈孔子燕居像〉, 絹本彩色, 29.2x35.7cm, 미국 세인트루이스 아트 뮤지엄 547

도 73. 傳 李公麟, 〈孔子燕居像〉, 絹本彩色, 74.5x46cm, 日本 幽玄齋 547

도 74. 傳 馬遠, 〈孔子魯國奇器故事圖〉, 南宋, 絹本彩色, 75x43cm, 日本 幽玄齋 547

도 75-1. 〈函三爲一〉, 『程氏墨苑』, 1606년 548

도 75-2. 〈函三爲一〉의 墨 548

도 76. 丁雲鵬, 〈函三爲一〉, 『方氏墨譜』, 1589년 548

도 77. 〈三敎圖〉, 明, 絹本彩色, 115x27cm, 미국 넬슨 아킨스 박물관 548

도 78. 丁雲鵬, 〈三敎圖〉, 紙本彩色, 115.6x55.7cm, 北京故宮博物院 548

도 79. 陳洪綬, 〈三敎圖〉, 明, 絹本彩色, 130.2x45.7cm, 中國 江蘇省 無錫市博物館 549

도 80. 〈三聖圖〉, 『性命圭旨』, 1615년 이전 549

도 81. 〈三敎圖〉, 明, 紙本彩色, 58.3x86.4cm, 미국 프리어 갤러리 오브 아트 549

도 82. 〈侑坐之器〉, 『方氏墨譜』, 1589년 549

도 83. 〈敧器示戒〉, 『養正圖解』 1594년 549

도 84. 〈侑坐之器〉, 『程氏墨苑』, 1606년 549

도 85. 〈五彩人物圖壺〉, 16세기 550

도 86. 〈孔子觀敧器圖〉, 明. 絹本彩色, 99.5x59cm, 曲阜 550

도 87. 〈孔子觀敧器圖〉, 1786년. 紙本淡彩, 39.6x100.8cm, 한림대학교박물관 550

도 88. 〈金人〉, 『方氏墨譜』, 1589년 550

도 89. 〈金人示戒〉, 『養正圖解』 1594년 550

도 90. 〈金人圖〉, 『程氏墨苑』, 1606년 550

도 91. 仇英, 〈銘金人圖〉 《孔子聖蹟圖》, 1538년 550

도 92. 〈金人銘背〉, 民社本 《孔子聖蹟圖》, 1934년 550

도 93. 〈金人示愼〉, 《聖蹟全圖》, 1686년 550

도 94-1. 朱熹의 〈史記世家〉1, 正統飜刻本 《孔子聖蹟圖》 551

도 94-2. 朱熹의 〈史記世家〉2, 正統飜刻本 《孔子聖蹟圖》 551

도 94-3. 朱熹의 〈史記世家〉 3, 正統飜刻本 《孔子聖蹟圖》 551

도 94-4. 張楷의 序, 正統飜刻本 《孔子聖蹟圖》 551

도 95-1. 吉府重刊本(朱見浚本) 《孔子聖蹟圖》 跋文, 1506년 551

도 95-2. 〈夾谷却萊〉,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1

도 95-3. 〈歸田謝過〉,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2

도 95-4. 〈女樂文馬〉,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2

도 95-5. 〈受樂遄行〉,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2

도 95-6. 〈觀器論道〉 1,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2

도 95-7. 〈觀器論道〉 2,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2

도 95-8. 〈尼山禱嗣〉,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2

도 95-9. 〈麒麟玉書〉,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3

도 95-10. 〈二龍五老〉,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3

도 95-11. 〈鈞天降聖〉,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3

도 95-12. 〈命名榮貺〉,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3

도 95-13. 〈化行中都〉,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3

도 95-14. 〈禮隳三都〉,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3

도 95-15. 〈季康幣迎〉,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4

도 95-16. 〈跪受赤虹〉,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4

도 95-17. 〈圍匡曲解〉, 吉府重刊本(朱見浚本), 1506년 554

도 96-1. 〈先聖小像〉, 正統飜刻本 《孔子聖蹟圖》 554

도 96-2. 〈先聖小像〉, 嘉靖本(朱胤栘本),1548년 554

도 97-1. 〈學琴師襄〉, 正統飜刻本 554

도 97-2. 〈學琴師襄〉, 嘉靖本(朱胤栘本),1548년 554

도 98. 〈次乘靈公〉, 正統飜刻本 554

도 99. 〈次乘靈公〉, 彩繪本, 1465-1505년, 絹本彩色, 66.2×41.4cm, 曲阜孔俯[내용없음] 328

도 99-1. 〈次乘靈公〉1, 彩繪本, 1465-1505년, 絹本彩色, 66.2x41.4cm, 曲阜孔俯 555

도 99-2. 〈次乘靈公〉2, 彩繪本, 1465-1505년 555

도 100. 〈圍匡曲解〉, 正統飜刻本 555

도 101. 〈圍匡曲解〉, 彩繪本, 1465-1505년 555

도 102-1. 〈載官乘田〉 세부, 彩繪本, 1465-1505년 555

도 102-2. 〈在齊聞韶〉 세부, 彩繪本, 1465-1505년 555

도 102-3. 〈誅邪兩觀〉 세부, 彩繪本, 1465-1505년 555

도 102-4. 〈受樂遄行〉 세부, 彩繪本, 1465-1505년 555

도 102-5. 〈禮衰去衛〉 세부, 彩繪本, 1465-1505년 555

도 102-6. 〈學琴師襄〉 세부, 彩繪本, 1465-1505년 555

도 103. 〈先師遺像〉, 《孔聖家語圖》 (吳嘉謨本), 1589년 556

도 104. 〈先聖小像〉, 《聖蹟全圖》, 1686년 556

도 105. 〈先聖小像〉, 顧沅本, 1826년 556

도 106. 〈尼山致禱〉, 嘉靖本(朱胤栘本), 1548년 556

도 107. 〈尼山致禱〉, 彩繪本, 1465-1505년 556

도 108. 〈禱嗣尼丘〉, 《孔聖家語圖》 (吳嘉謨本), 1589년 557

도 109. 〈禱嗣尼丘〉, 《聖蹟全圖》, 1686년 557

도 110. 〈尼丘禱嗣〉, 顧沅本, 1826년 557

도 111. 〈受樂遄行〉, 《孔聖家語圖》 (吳嘉謨本), 1589년 557

도 112. 〈受樂遄行〉, 《聖蹟全圖》, 1686년 558

도 113. 梁箕星, 〈孔聖登岱〉 《萬古奇觀帖》, 紙本彩色, 38x30cm, 한국 삼성리움미술관 558

도 114. 〈聖蹟之圖〉, 萬曆石刻本(何出光本), 1592년 558

도 115. 孔在憲, 〈聖蹟之圖〉, 1904년, 국학연구원 558

도 116. 〈合葬於防〉, 淸, 탁본, 33x46cm, 하버드옌칭도서관 558

도 117. 〈論人五儀〉, 淸 558

도 118. 〈論穆公覇〉, 民社本, 1934년 559

도 119. 〈手植檜〉, 『孔氏祖庭廣記』, 『孔氏祖庭廣記』, 蒙古 乃馬眞后 元年(1242년) 559

도 120. 〈手植檜〉 《聖蹟全圖》, 1686년 559

도 121. 〈二龍五老〉, 正統飜刻本 559

도 122. 〈二龍五老〉, 彩繪本(1465-1505) 559

도 123. 〈二龍五老〉, 民社本, 1934년 559

도 124. 〈二龍五老〉, 同治本(1874) 559

도 125. 〈鈞天降聖〉, 正統飜刻本 560

도 126. 〈鈞天降聖〉, 彩繪本(1465-1505) 560

도 127. 〈鈞天降聖〉, 淸, 탁본 560

도 128. 〈鈞天降聖〉, 民社本, 1934년 560

도 129. 〈訪樂萇弘〉, 《孔聖家語圖》 (吳嘉謨本), 1589년 560

도 130. 〈訪樂萇弘〉, 《聖蹟全圖》, 1686년 560

도 131. 〈訪樂萇弘〉, 顧沅本, 1826년 560

도 132. 〈在齊聞韶〉, 正統飜刻本 561

도 133. 〈在齊聞韶〉, 彩繪本(1465-1505) 561

도 134. 〈訪樂萇弘〉, 民社本, 1934년 561

도 135. 〈在齊聞韶〉, 《孔聖家語圖》 (吳嘉謨本), 1589년 561

도 136. 〈在齊聞韶〉, 《聖蹟全圖》, 1686년 561

도 137. 〈在齊聞韶〉, 顧沅本, 1826년 561

도 138. 〈季康幣迎〉, 正統飜刻本 562

도 139. 〈季康幣迎〉, 彩繪本(1465-1505) 562

도 140. 〈季康幣迎〉, 《孔聖家語圖》 (吳嘉謨本), 1589년 562

도 141. 仇英, 〈問疾圖〉, 絹本彩色, 1538년 562

도 142. 〈作歌邱陵〉, 同治本(1874) 562

도 143. 〈孔子延醫〉, 民社本, 1934년 562

도 144. 趙憲, 〈先師廟〉, 1574년, 『重峯先生文集卷』 3, 疏 563

도 145-1. 傳 金弘道, 〈孔子敧器〉 《中國故事人物圖》, 絹本彩色, 128.8x32.7cm, 국립중앙박물관 563

도 145-2. 〈孔子敧器〉 세부 563

도 146-1. 金弘道, 〈愼言人圖〉, 1773년, 紙本水墨, 114.8x57.6cm, 국립중앙박물관 563

도 146-2. 金弘道, 〈愼言人圖〉세부 563

도 147. 〈孔子坐像〉, 金中淸本, 1614년 유입, 167.5x79.3cm, 국학진흥원 564

도 148. 〈孔子坐像〉, 姜善餘本, 1628년 유입, 탁본, 112x68cm, 충남 청양군 백제문화체험박물관 564

도 149. 〈孔子坐像〉, 紹修書院本 유리건판사진, 1927-1935년 564

도 150. 〈孔子坐像〉, 紹修書院本 유리건판사진, 1927-1935년 564

도 151. 〈孔子坐像〉, 魯城 闕里祠本 565

도 152. 〈孔子坐像〉, 100.9x69.5cm, 絹本彩色, 驪州鄕校本 565

도 153. 金振汝, 〈權尙夏肖像〉,1719년, 絹本彩色, 91x31cm, 제천의병전시관 565

도 154. 金振汝 외, 〈申銋肖像〉, 《己亥耆社帖》의 1719년, 絹本彩色, 43.6x32.2cm, 국립중앙박물관 565

도 155-1. 金振汝,〈俎豆禮容〉 《孔子聖蹟圖》, 1700년, 絹本彩色, 32x57cm,국립중앙박물관 566

도 155-2. 〈問禮老聃〉, 金振汝本, 1700년 566

도 155-3. 〈晏嬰沮封〉, 金振汝本, 1700년 566

도 155-4. 〈退修詩書〉, 金振汝本, 1700년 566

도 155-5. 〈夾谷會齊〉, 金振汝本, 1700년 566

도 155-6. 〈誅少正卯〉, 金振汝本, 1700년 566

도 155-7. 〈適衛擊磬〉, 金振汝本, 1700년 566

도 155-8. 〈宋人伐木〉, 金振汝本, 1700년 566

도 155-9. 〈子路問津〉, 金振汝本, 1700년 567

도 155-10. 〈靈公問陳〉, 金振汝本, 1700년 567

도 156. 《孔夫子聖蹟圖》 표지와 속표지, 1742년, 紙本淡彩, 39.6x57.3cm, 국립중앙박물관 567

도 157. 《孔夫子聖蹟圖》 표지, 1742년, 紙本淡彩, 35.7x27.3, 규장각 567

도 158. 《孔夫子聖蹟圖》, 李箕彦跋文, 국박본 568

도 159. 《孔夫子聖蹟圖》, 李箕彦跋文, 규장각본 568

도 160. 《孔夫子聖蹟圖》, 孔在憲本 표지, 1905년 568

도 161-1. 『書經大全』의 木鐸 568

도 161-2. 『三才圖會』의 木鐸 568

도 161-3. 『樂學軌範』의 木鐸 569

도 161-4. '鐸'의 단면도(『古文物稱謂圖典』) 569

도 162. 〈儀封仰聖〉 《孔夫子聖蹟圖》, 규장각본 569

도 163-1. 〈儒服儒行〉 규장각본 현 상태 569

도 163-2. 〈儒服儒行〉 규장각본 수정 후 569

도 164-1. 〈貴黍賤桃〉 규장각본 현 상태 569

도 164-2. 〈貴黍賤桃〉 규장각본 수정 후 569

도 165. 국박본과 규장각본의 공자 얼굴 비교 571

도 166-1. 〈適衛擊磬〉 571

도 166-2. 〈紫文金簡〉 572

도 166-3. 〈楛矢貫準〉 572

도 166-4. 〈聖門四科〉 573

도 166-5. 〈孝經傳曾〉 573

도 166-6. 〈商羊知雨〉 574

도 166. 국박본과 규장각본의 병풍 비교 574

도 167-1. 〈禮見南子〉와 〈金人銘背〉(좌측이 국박본, 우측이 규장각본) 574

도 167-2. 〈讀易有感〉 575

도 167-3. 〈夢奠兩楹〉 575

도 167-4. 〈題季札墓〉 575

도 167-6. 〈楛矢貫準〉 576

도 167-6. 〈杏壇禮樂〉 576

도 167. 국박본과 규장각본의 세부 비교 576

도 168-1. 〈宋人伐木〉, 규장각본 576

도 168-1-2. 〈宋人伐木〉, 민사본, 1934년 576

도 168-2. 〈讀易有感〉, 규장각본 577

도 168-2-1. 〈讀易有感〉, 민사본, 1934년 577

도 168-3. 〈萍實通謠〉, 국박본 577

도 168-3-1. 〈萍實通謠〉, 민사본, 1934년 577

도 168-4. 〈商羊知雨〉, 국박본 577

도 168-4-1. 〈商羊知雨〉, 민사본, 1934년 577

도 168-5. 〈漢高祀魯〉, 국박본 577

도 168-5-1. 〈漢高祀魯〉, 민사본, 1934년 577

도 168-6. 〈眞宗祀魯〉, 국박본 578

도 168-6. 〈眞宗祀魯〉, 민사본, 1934년 578

도 168-7. 〈紫文金簡〉, 국박본 578

도 168-7-1. 〈紫文金簡〉, 민사본, 1934년 578

도 168-8. 〈觀周明堂〉, 국박본 578

도 168-8-1. 〈觀周明堂〉, 민사본, 1934년 578

도 169-1. 〈紫文金簡〉 세부 578

도 169-2. 〈觀周明堂〉 세부 579

도 169-3. 〈金人銘背〉 세부 579

도 169. 공재헌본, 국박본, 민사본의 세부 차이 579

도 170. 車奎範, 〈先聖小像〉 《孔夫子聖蹟圖》, 1924년 579

도 171. 속표지, 車奎範本(1924년) 579

도 172. 〈尼山致禱〉, 車奎範本(1924년) 579

도 173-1. 〈命名榮貺〉, 차규범본(1924년) 580

도 173-2. 〈命名榮貺〉, 공재헌본 580

도 174-1. 〈學琴師襄〉, 車奎範本(1924년) 580

도 174-2. 〈學琴師襄〉, 孔在憲本 580

도 175-1. 〈大夫師事〉, 車奎範本(1924년) 580

도 175-2. 〈大夫師事〉, 孔在憲本 580

도 176-1. 〈琴吟盟壇〉, 車奎範本(1924년) 581

도 176-2. 〈琴吟盟壇〉, 孔在憲本 581

도 177. 〈觀周明堂〉, 車奎範本(1924년) 581

도 178. 〈作歌邱陵〉, 車奎範本(1924년) 581

도 179-1. 王振鵬本 581

도 179-2. 正統飜刻本 581

도 179-3. 彩色本 581

도 179-4. 孔聖家語圖本(1589년) 582

도 179-5. 民社本(1934년) 582

도 179-6. 규장각본(1742년) 582

도 179-7. 同治本(1874년) 582

도 179-8. 同治本의 英譯本 582

도 179-9. 車奎範本(1924년) 582

도 179. 각 판본별 〈漢高祀魯〉의 사당 모습 비교 582

도 180. 釋奠儀에 사용된 禮器圖 582

도 181-1. 〈魯司寇像〉 《闕里誌》 (1546년) 583

도 181-2. 〈聖像〉 《魯城闕里誌》 (1859년) 583

도 181-3. 〈孔子肖像〉(19세기), 絹本彩色, 28.5x12cm, 동아대박물관 583

도 181-4. 〈魯司寇像〉 《先聖闕里圖》 (1905년) 583

도 181-5. 〈聖像〉 《先聖闕里圖》 (1905년) 583

도 181-6. 〈聖像〉, 車奎範本(1924년) 583

도 181. '魯司寇像'과 '聖像' 비교 583

도 182. 伸冕休 跋文, 鄭殷采本 《孔夫子聖蹟圖續修五倫行實》, 1919년 584

도 183. 金炳學 序文, 《五倫行實圖》, 1859년 584

도 184-1. 〈子路問津〉, 1919년 간행본, 鄭殷采本 584

도 184-2. 〈子路問津〉, 1922년 간행본, 鄭殷采本 585

도 185. 〈五老二龍鈞天樂圖〉, 1919년 간행본, 鄭殷采本 585

도 186. 〈射矍相圃〉, 紙本淡彩, 29.1x49.3cm, 일본 오구라문고 586

도 187. 〈名子榮貺〉, 紙本淡彩, 29.1x49.3cm, 캐나다 로얄 온타리오미술관 586

도 187-1. 〈名子榮貺〉의 세부 586

도 188. 〈退修詩書〉, 온타리오본 586

도 189. 〈觀鄕人事〉, 온타리오본 586

도 189-1. 〈觀鄕人事〉의 세부 586

도 190. 安敎煥, 《聖蹟眞像圖》 표지 587

도 191. 安敎煥, 《聖蹟眞像圖》 속표지 587

도 192. 安敎煥, 〈先聖小像〉, 《聖蹟眞像圖》, 1937년, 25.2x32.2cm, 녹동서원 587

도 192-1. 〈先聖小像〉과 한글설명문, 安敎煥本 587

도 193. 〈退學詩禮〉, 安敎煥本(1937년) 587

도 193-1. 〈退學詩禮〉와 한글설명문(1937년) 587

도 194. 〈禮見南子〉, 安敎煥本(1937년) 588

도 194-1. 〈禮見南子〉와 한글설명문(1937년) 588

초록보기

 孔子는 春秋時代 末期에 활동했는데 魯나라에서 잠시 大司寇라는 벼슬을 했으나 곧 사직했으며 55세에 자신의 道와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國家와 君主를 찾아 13년 동안이나 돌아다녔다. 그러나 생애는 불우했지만 儒家思想을 정립하였고, 詩書禮樂易春秋 등의 古代文獻을 정리하여 후대에 전해주었으며 사립학교를 세워 당시 특권층의 전유물이었던 교육을 누구에게나 받을 수 있도록 해서 ‘萬世師表’의 상징이 되었다. 孔子聖蹟圖는 孔子의 가르침과 사상의 함의를 世人들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에 儒家思想을 선전하고 孔子를 기념하는 일종의 보급된 읽을거리로 채택되었다. 이렇게 孔子聖蹟圖가 성행한 이유는 孔子에 대한 흠모와 존경심이 바탕이 되었고 그의 가르침이 국가체제를 유지하는데 효율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孔子는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로 그의 사상과 지혜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그의 微言大義는 六經에 실렸으며 孔子의 가르침을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그림으로 제작되었다. 그림은 글자를 모르는 사람들까지도 孔子의 사르침을 접할 수 있는 시각언어였다.

孔子聖蹟圖는 孔子의 生涯를 연속적인 그림과 글로 엮은 傳記畵集이다. 孔子聖蹟圖에서는 그림이 중심이 되고 문자는 그림을 설명하기 위한 보충자료에 불과하다. 孔子聖蹟圖에 포함된 그림은 초창기에는 元代 王振鵬의 경우 20圖로 제작되었다가 明代 萬曆本에서는 112圖까지 추가되었다. 孔子聖蹟圖는 특히 明代부터 특히 성행하였으며 그 여파는 淸代에도 지속되었다.

최초의 孔子聖蹟圖는 元代의 王振鵬에 의해 설명문과 讚詩로 구성된 20圖로 제작되었다. 王振鵬의《孔子聖蹟圖》는 神州國光社에서 1908년에 출판한 影印本 10圖와 朝鮮의 金振汝가 1700년에 채색으로 摹寫한 채색본 10圖가 전한다. 明代에는 書籍出版의 활성화와 함께 여러 本의 孔子聖蹟圖가 제작되었는데 그 출발은 張楷였다. 張楷는 1444년에 王振鵬의 그림에 9事蹟을 더해 29事蹟의《孔子聖蹟圖》를 제작했는데 안타깝게도 張楷의 《孔子聖蹟圖》는 현존하지 않는다. 何廷瑞는 弘治10年(1497)에 張楷 刻本에 9事蹟을 더한 38事蹟을 제작했으나 弘治本 역시 현존하지 않는다.

한편 明의 吳嘉謨는 1589년에 標題와 說과 讚詩로 구성된 40圖의《孔聖家語圖》를 제작했다.《孔聖家語圖》에는 4字의 標題가 적혀 있어서 標題가 적혀 있지 않은 張楷本과 何廷瑞本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何出光은 1592년에 標題와 說 형식으로 된 112圖의 石刻《孔子聖蹟圖》를 제작했는데, 이 萬曆本은 이후 聖蹟圖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萬曆本은 何出光이 1591년에 曲阜 孔廟에 흩어져 있던 약간 폭의 木刻 聖蹟圖가 손상된 부분이 많아 이를 안타깝게 여겨 손상되기 쉬운 木刻 대신 견고한 石刻으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다음 해인 1592년 10월에는 按察副使 張應登이 가세하여 何出光이 제안한 그림에 없는 事蹟을 추가해 총 112圖를 완성했다. 萬曆石刻本 《孔子聖蹟圖》는 木刻보다 보존이 더 오래가지만 목각인쇄보다 광범위하게 전파되지는 못한다. 그래서 明末淸初에 다시 木刻으로 복제되었는데 이 萬曆木刻本 《孔子聖蹟圖》역시 損傷을 많이 입어 孔廟에는 현재 101폭만이 남아 있는데 원래는 105도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에 孔子像이 언제 전래되었는 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단언하기 힘들다. 三國時代에 儒學이 도입되고 國學이 설립된 이후 孔子像을 안치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정확한 년도를 상고하기는 어렵다. 孔子像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717년(聖德王 16)에 唐나라에 들어갔던 大監 守忠이 文宣王과 十哲 및 72弟子圖를 바쳤으므로 大學에 安置했다고 알려져 있다. 高麗時代에도 중국을 통한 孔子像의 유입과 제작은 계속되어 國學에 ‘孔子와 72弟子像’을 塑像과 畫像으로 모셨다. 한국의 孔子像은 性理學者인 安珦은 1289년에 元에 가서 朱子書를 손수 베끼고 孔子와 朱子의 畵像을 그려서 가져옴으로써 본격화되었고 孔子塑像의 제작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朝鮮時代의 孔子聖蹟圖는 중국 使行에 다녀온 使臣들을 통해 유입된 孔子聖蹟圖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가장 이른 시기에 유입된 孔子聖蹟圖는 조선 중기의 문신 沈連源이 1539년에 進香使가 되어 明나라에 갔을 때 중국 황제(世宗)로부터 하사받은 것이다. 그러나 沈連源은 그것을 公的으로 刊行하지 않고 집안의 가보로만 소장해 두었으며 이것은 鄭殷采가 1919년에 《孔夫子聖蹟圖績修五倫行實圖》를 간행할 때 模本이 되어 비로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標題와 說과 讚詩로 구성된 鄭殷采本은 河廷瑞本(1497) 계통이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孔子聖蹟圖는 중국의 작품을 바탕으로 조선에서 제작했는데 金振汝가 1700년에 그린 작품과 李箕彦의 跋文이 적힌 1742년本 두 종류가 현존한다. 金振汝本은 모두 10圖로 絹本彩色의 뛰어난 작품이며 중국에서 萬曆本이 나오기 전까지 가장 큰 흐름을 유지하던 說과 贊詩 形式을 따르고 있다. 御眞 圖寫에 참여한 畫師가 그린 작품인 만큼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인물묘법과 설채가 아름다운 秀作이다.

李箕彦跋文本은 標題와 說형식(萬曆本)을 갖춘 작품으로 원래는 上下卷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奎章閣과 國立中央博物館에 각각 下卷만 남아 있고 上卷에 들어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6점이 흩어진 상태로 성균관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李箕彦跋文本 이후 한동안 孔子聖蹟圖는 제작되지 않았는데 그 원인은 興宣大院君(1821-1898)이 1871년에 단행한 書院撤廢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한때 제작되지 않던 孔子聖蹟圖가 흥선대원군의 실각(1873년) 이후에 봇물처럼 쏟아져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조선말 일제 강점기에는 수많은 儒敎運動團體가 등장하여 孔子를 宗敎 敎主로 삼고 儒敎를 종교화하려고 했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그 목적을 위해 孔子를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교육용 교재가 필요했고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孔子聖蹟圖가 제작되었다. 그 결과 1904년에 孔在憲에 의해 木刻印刷된 뛰어난 《孔夫子聖蹟圖》를 비롯해 鄭殷采本 25圖의 孔子聖蹟圖는 물론 한글본까지 제작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특히 安敎煥의《聖蹟眞像圖》는 당시에 鹿洞書院을 세워 여학생들에게까지 교육의 혜택을 부여하고 孔子의 가르침을 전하고자 했던 선구적인 사상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다.

孔子聖蹟圖는 韓中日 東洋 三國에서 오랫동안 공통적으로 제작되었던 예술작품이자 교육용 교재다. 그동안 孔子聖蹟圖에 대한 연구는 거의 중국과 일본에 치중되어 있어 한국의 사례는 간략하게 언급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고 때로는 여러 가지 오류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그동안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의 孔子聖蹟圖를 중국과 관련해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런 오류를 불식시키는데 기여하리라고 본다. 특히 근대와 일제강점기에 많이 제작된 孔子聖蹟圖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볼모지나 다름없었던 분야에 활발한 논의가 개진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사료된다. 다만 항일기에 여러 방식으로 제작된 孔子聖蹟圖의 종교적 역할과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는 추후의 과제로 남겨두기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