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9
1.1. 연구 배경 및 문제의 제기 19
1.2. 연구의 목적 21
1.3. 연구 문제 및 구성 23
1.4. 연구 범위 및 방법 29
제2장 이론적 배경 32
2.1. 여백 32
2.1.1. 여백의 개념 32
2.1.2. 동서양에서의 여백 35
2.2. 비주얼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 여백의 기능 38
2.2.1. 여백의 조형적 기능 38
2.2.2. 여백의 감성적 기능 41
2.3. 광고에서 여백의 기능 45
2.3.1. 광고에서 여백의 주목성 45
2.3.2. 광고에서 여백의 집중성 46
2.3.3. 광고에서 여백의 전달성 48
2.3.4. 광고에서 여백의 기억성 49
2.3.5. 광고에서 여백의 연상성 50
2.3.6. 광고에서 여백의 심미성 51
2.4. 여백에 관한 선행연구 53
2.5.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 57
2.5.1.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의 개념 57
2.5.2. 시각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자이가르닉 효과 58
2.5.3. 티저광고(Teaser advertising)에서의 자이가르닉 효과 62
2.5.4. 자이가르닉 효과가 표현된 여백디자인 65
2.5.5. 자이가르닉 효과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적 연구 76
2.6. 기억이론에 관한 고찰 79
2.6.1. 기억의 구조 79
2.6.2. 기억의 과정 81
2.7. 회상과 재인 85
2.7.1. 회상과 재인의 개념 85
2.7.2. 회상과 재인의 비교 87
2.7.3. 재인과 회상의 측정 88
2.8. 광고와 기억 89
2.8.1. 광고에서 기억을 향상시키는 방법 89
2.8.2. 광고 효과의 측정 91
2.8.3. 광고와 기억에 관한 선행연구 92
제3장 연구의 설계 및 조사방법 93
3.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93
3.1.1. 연구모형 93
3.1.2. 연구가설의 설정 95
3.1.3. 연구문제의 설정 95
3.2. 조사설계 및 연구방법 95
3.2.1. 설문지의 구성 95
3.2.2. 예비조사 97
3.2.3. 본조사 97
3.2.4. 분석방법 97
제4장 실증분석 98
4.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일반적 특성 분석 98
4.2. 측정 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100
4.2.1. 신뢰성 분석 100
4.2.2. 타당성 분석 101
4.2.3. 상관관계 분석 108
4.2.4. 가설검정 110
4.3. 연구문제의 검증 118
4.3.1. 연구문제 1의 검증 118
4.3.2. 연구 문제 2의 검증 122
4.3.3. 연구문제 3의 검증 126
4.3.4. 연구문제 4의 검증 130
제5장 자이가르닉 효과를 위한 광고표현 전략 135
5.1. 자이가르닉 효과를 위한 광고표현 135
5.1.1. 광고 표현전략 135
5.1.2. 카피와 비주얼의 여백 통한 자이가르닉 효과 136
5.2. 광고여백을 통한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전략 138
5.2.1. 광고의 시작은 고객의 마음읽기다. 138
5.2.2. 광고목표 설정 141
5.2.3. 완성을 강화시키는 구체적인 표현 자이가르닉 효과 142
5.2.4. 자이가르닉 효과의 지워지지 않는 기억 144
5.2.5. 광고여백을 통한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전략 모델 146
5.3. 자이가르닉 효과 모텔을 적용한 광고디자인 교육 사례 147
5.3.1. 자이가르닉 효과 창출을 위한 모델을 적용한 광고디자인 147
5.3.2. 자이가르닉 효과 창출을 위한 모델을 적용한 비주얼커뮤니케이션 포스터 디자인 156
제6장 결론 168
6.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68
6.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172
참고문헌 173
부록 178
설문지-한국어 178
설문지-중국어 190
Abstract 202
〈표 1〉 연구문제 1 23
〈표 2〉 연구문제 2 24
〈표 3〉 연구문제 3 24
〈표 4〉 연구문제 4 25
〈표 5〉 연구의 흐름 28
〈표 6〉 연구 방법 30
〈표 7〉 여백과 비슷한 개념들 34
〈표 8〉 동·서양의 여백은 이해에 대한 비교 37
〈표 9〉 여백에 관한 선행연구 55
〈표 10〉 자이가르닉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77
〈표 11〉 기억 인출의 유형 정의 86
〈표 12〉 재인의 측정방법 89
〈표 13〉 광고효과 측정방법 91
〈표 14〉 광고와 기억의 선행연구 92
〈표 15〉 실험절차 1 ※ 첫째 날 실험 93
〈표 16〉 실험절차 2 ※ 이틀 후 실험(광고에 대한 재인 측정) 94
〈표 17〉 설문지 구성과 측정 척도 96
〈표 18〉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일반적 특성 분석 99
〈표 19〉 변수의 신뢰성 분석결과 100
〈표 20〉 심볼로고 광고효과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1
〈표 21〉 심볼로고 심리형 구매의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2
〈표 22〉 심볼로고 심리형 브랜드 가치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2
〈표 23〉 문자 심리형 광고효과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3
〈표 24〉 문자 심리형 구매의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4
〈표 25〉 문자 심리형 브랜드 가치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4
〈표 26〉 형태 심리형 광고효과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5
〈표 27〉 형태 심리형 구매의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5
〈표 28〉 형태 심리형 브랜드 가치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6
〈표 29〉 여백 심리형 광고효과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6
〈표 30〉 여백 심리형 구매의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7
〈표 31〉 여백 심리형 브랜드 가치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07
〈표 32〉 심볼로고 심리형의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108
〈표 33〉 문자 심리형의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108
〈표 34〉 형태 심리형의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109
〈표 35〉 여백 심리형의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109
〈표 36〉 심볼로고 심리형 광고효과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110
〈표 37〉 심볼로고 심리형 광고효과와 브랜드 가치의 영향 관계 분석 111
〈표 38〉 심볼로고 심리형 브랜드 가치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111
〈표 39〉 문자 심리형 광고효과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112
〈표 40〉 문자 심리형 광고효과와 브랜드 가치의 영향 관계 분석 113
〈표 41〉 문자 심리형 브랜드 가치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113
〈표 42〉 형태 심리형 광고효과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114
〈표 43〉 형태 심리형 광고효과와 브랜드 가치의 영향 관계 분석 115
〈표 44〉 형태 심리형 브랜드 가치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115
〈표 45〉 여백 심리형 광고효과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116
〈표 46〉 여백 심리형 광고효과와 브랜드 가치의 영향 관계 분석 116
〈표 47〉 여백 심리형 브랜드 가치와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117
〈표 48〉 가설 검증결과 117
〈표 49〉 심볼로고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 데이터 118
〈표 50〉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 데이터 119
〈표 51〉 형태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 데이터 120
〈표 52〉 여백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 데이터 121
〈표 53〉 심볼로고 심리형 자이가르닉 재인 데이터 122
〈표 54〉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재인 데이터 123
〈표 55〉 형태 심리형 자이가르닉 재인 데이터 124
〈표 56〉 여백 심리형 자이가르닉 재인 데이터 125
〈표 57〉 심볼로고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과 재인 데이 126
〈표 58〉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과 재인 데이터 127
〈표 59〉 형태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과 재인 데이터 128
〈표 60〉 여백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과 재인 데이터 129
〈표 61〉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전달성 데이터 131
〈표 62〉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주목성 데이터 132
〈표 63〉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연상성 데이터 132
〈표 64〉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기억성 데이터 133
〈표 65〉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 광고효과 차이 비교 134
〈표 66〉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실습 내용 148
〈표 67〉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실습 내용 149
〈표 68〉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실습 내용 150
〈표 69〉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실습 내용 151
〈표 70〉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실습 내용 152
〈표 71〉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실습 내용 153
〈표 72〉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실습 내용 154
〈표 73〉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실습 내용 155
〈표 74〉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57
〈표 75〉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58
〈표 76〉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59
〈표 77〉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60
〈표 78〉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61
〈표 79〉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62
〈표 80〉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63
〈표 81〉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내용 164
〈표 82〉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실습 내용 165
〈표 83〉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66
〈표 84〉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내용 167
〈그림 1〉 MUJI 포스터 'Norito Shinmura' 39
〈그림 2〉 안상수의 'Bomb. fishes'와 영화 포스터 '메이즈 러너' 39
〈그림 3〉 다나카 잇코 '일본무용' 40
〈그림 4〉 홍위(洪衛) 'Shanshui China' 41
〈그림 5〉 허젠핑(좌), 크리스 로(중앙), 나카무라 마코토(우) 42
〈그림 6〉 자오칭 43
〈그림 7〉 사토 고이치 44
〈그림 8〉 사노 겐지로 44
〈그림 9〉 ARMANI 립스틱과 Shiseido 향수 광고 포스터 46
〈그림 10〉 Volkswagen 자동차 광고 포스터 47
〈그림 11〉 Renault S.A. Megane 자동차 광고 포스터 48
〈그림 12〉 Olay 광고 포스터 49
〈그림 13〉 LEGO 광고 포스터 51
〈그림 14〉 MUJI 광고 포스터 52
〈그림 15〉 규모의 변화가 여백과의 비례에 따라 달라지는 효과 53
〈그림 16〉 다나카 이코 '일본 무용'(좌), 애플사 심볼(중앙), 잡지 표지 (우) 59
〈그림 17〉 안전 운전 공익 광고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59
〈그림 18〉 Comex 도료의 시리즈 광고 60
〈그림 19〉 Kale Nutri 광고 포스터 61
〈그림 20〉 Creative Ode 광고 포스터 61
〈그림 21〉 1913년 담배 브랜드 '카멜(Camel)'의 최초의 티저 광고 62
〈그림 22〉 Bluetin 핸드백 광고 63
〈그림 23〉 네덜란드 우유 광고 63
〈그림 24〉 LG 기업 광고 사례 64
〈그림 25〉 라코스트 광고 64
〈그림 26〉 BMW의 공기 역학적 성능 개선에 대해 티저 광고 64
〈그림 27〉 자이가르닉 효과 광고 표현 65
〈그림 28〉 한입 베어 듯한 문 "Apple" 로고, Microsoft "Mouse" 로고 65
〈그림 29〉 Coca-Cola와 올림픽 합작 광고 66
〈그림 30〉 여백에서 제외된 로고의 맥도날드 광고 66
〈그림 31〉 맥도날드, 아우디, 메르세데스 벤츠, 폴크스바겐 심볼로고 광고 67
〈그림 32〉 WWF 심볼로고, EHF 심볼로고 67
〈그림 33〉 J&B 위스키 인쇄광고 '크리스마스' 편(좌), Clear 샴푸 광고(우) 68
〈그림 34〉 M & M 광고 (좌), McDonald's Big Mac 광고(우) 69
〈그림 35〉 'D_VID', 'ELIZ__ETH', 'RO_ERT', 'VICT_RIA' 70
〈그림 36〉 나이키 광고 70
〈그림 37〉 형태가 여백으로 보여주는 포스바겐(좌), Coca-Cola 광고(우) 71
〈그림 38〉 맥도날드 광고 71
〈그림 39〉 National Geographic의 인쇄 광고와 Melbourne Food(좌) and... 72
〈그림 40〉 skip 세제광고(좌), Ariel 세제광고(우) 73
〈그림 41〉 2012 런런올림픽 포스터 74
〈그림 42〉 '더 랍스터'의 티저 포스터 74
〈그림 43〉 앱솔루트 보드카의 각국 광고 75
〈그림 44〉 스페인의 이베리아(IBERIA) 항공 광고 75
〈그림 45〉 다중기억모델 79
〈그림 46〉 기억 체계 및 흐름도 80
〈그림 47〉 기억의 삼단계 81
〈그림 48〉 정보사용자의 기억 체계 82
〈그림 49〉 정보수용과정에서 지각과 인지 83
〈그림 50〉 정보사용자의 정보처리단계와 인지부하 구조 83
〈그림 51〉 회상과 재인의 실험 모형 94
〈그림 52〉 연구의 제안 모형 1, 2, 3, 4 94
〈그림 53〉 심볼로고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 비교 118
〈그림 54〉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 비교 119
〈그림 55〉 형태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 비교 119
〈그림 56〉 여백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 비교 120
〈그림 57〉 종류별 자이가르닉 회상 결과 비교 121
〈그림 58〉 심볼로고 심리형 자이가르닉 재인 비교 122
〈그림 59〉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재인 비교 123
〈그림 60〉 형태 심리형 자이가르닉 재인 비교 123
〈그림 61〉 여백 심리형 자이가르닉 재인 비교 124
〈그림 62〉 종류별 자이가르닉 재인 결과 비교 125
〈그림 63〉 심볼로고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과 재인의 비교 126
〈그림 64〉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과 재인의 비교 127
〈그림 65〉 형태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과 재인의 비교 128
〈그림 66〉 여백 심리형 자이가르닉 회상과 재인의 비교 129
〈그림 67〉 종류별 자이가르닉 회상과 제인 결과 비교 130
〈그림 68〉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전달성 차이 비교 131
〈그림 69〉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주목성 차이 비교 131
〈그림 70〉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연상성 차이 비교 132
〈그림 71〉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기억성 차이 비교 133
〈그림 72〉 종류별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광고효과 차이 비교 134
〈그림 73〉 오렌지주스 광고와 프랑스의 속옷회사(ROSE) 광고 137
〈그림 74〉 STP 전략 139
〈그림 75〉 SWOT 전략 140
〈그림 76〉 광고 전략적 토대 상황분석 140
〈그림 77〉 광고 목표 설정 141
〈그림 78〉 자이가르닉 효과의 속성 142
〈그림 79〉 자이가르닉 효과의 속성이 내제된 4가지 표현전략 143
〈그림 80〉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광고의 소비자 반응 및 태도 144
〈그림 81〉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광고의 소비자 반응 및 태도 145
〈그림 82〉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광고 전략 모델 146
〈그림 83〉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광고디자인 실습 개요도 147
〈그림 84〉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모델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실습 개요도 156
오늘날의 정보시대에 문자 및 그래픽으로 가득 찬 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은 정보의 가속화로 인해 오히려 광고의 아름다움과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고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여백의 활용은 광고 메시지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디자이너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광고 레이아웃 속성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광고디자이너의 작업 영역에서 '여백'의 활용은 수용자의 기억에 영향을 주어 브랜드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광고 여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형상과 배경의 요소, 문자와 레이아웃 등 시각적 언어로 구성하는 평면디자인 요소로의 조형론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형과 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광고에서 나타나는 자이가르닉 현상의 여백효과 사례를 통해 광고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미전달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지면 광고를 연구대상으로 광고에 적용된 여백의 자이가르닉 효과의 심리적 가치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네 가지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인 심볼로고 심리형 활용 방안, 문자 심리형 활용 방안,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을 제기하며 이 네 가지 활용 방안에 따른 광고의 기억 효과와 구매의도, 브랜드 가치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네 가지 활용 방안에 따라 회상, 재인, 회상과 재인의 비교, 그리고 네 가지 활용 방안에 따른 광고의 주목성, 전달성, 연상성, 기억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21년 3월 5일부터 6일까지 2일 동안 예비조사를 실행하였는데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지 일부 표현을 수정 보완하여 3월 10일부터 18일까지 9일 동안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SPSS 23.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설 검증의 경우, 첫째, 심볼로고 심리형, 문자 심리형, 형태 심리형 그리고 여백 심리형의 광고효과와 구매의도, 그리고 브랜드 가치를 모두 단일차원으로 측정하였다.
둘째, 심볼로고 심리형 활용 방안의 가설 검증결과, '광고효과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과 '광고효과가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 그리고 '브랜드 태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은 모두 채택하였다.
셋째, 문자 심리형 활용 방안의 가설 검증결과, '광고효과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4와 '광고효과가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5, 그리고 '브랜드 태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6은 모두 채택하였다.
넷째,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의 가설 검증결과도 마찬가지로 '광고효과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7과 '광고효과가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8, 그리고 '브랜드 태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9는 모두 채택하였다.
다섯째,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의 가설 검증결과도 마찬가지로 '광고효과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0과 '광고효과가 브랜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1, 그리고 '브랜드 태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2는 모두 채택하였다.
연구 문제의 경우, 첫째, 심볼로고 심리형, 문자 심리형, 형태 심리형,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의 회상에서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인 광고 6의 회상 정확률은 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인 광고 8의 정확률은 55.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네 가지 활용 방안에서 심볼로고 심리형 활용 방안, 문자 심리형 활용 방안이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과 여백형 심리형 활용 방안보다 평균 정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반면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과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 간의 회상 평균 정확률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세 가지 활용 방안이 모두 회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회상 효과가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볼로고 심리형, 문자 심리형, 형태 심리형,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의 재인에서 문자 심리형 활용 방안인 광고 3의 재인 정확률은 7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인 광고 8의 정확률은 51.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네 가지 활용 방안에서 문자 심리형 활용 방안이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과 여백형 심리형 활용 방안보다 재인 평균 정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과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 간의 재인 평균 정확률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네 가지 활용 방안이 모두 재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회상 효과가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볼로고 심리형, 문자 심리형, 형태 심리형,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의 회상과 재인 차이 비교에서 광고 6은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광고 7는 그 뒤에 이었다. 광고 5는 차이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광고 8은 그 뒤에 이었다. 따라서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과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 간의 회상과 재인 간의 차이가 있지만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 심리형 활용 방안의 회상과 재인 간의 차이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가지 활용 방안의 회상과 재인 간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자 심리형 활용 방안의 회상과 재인의 정확률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차이도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그중에서 문자 심리형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의 기억 효과가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이가르닉 효과의 네 가지 활용 방안에서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의 전달성, 주목성, 연상성, 기억성이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의 광고효과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형태 심리형 활용 방안이다. 문자 심리형의 광고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광고디자인에서 여백 심리형 자이가르닉 활용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는 수용자의 주목을 높이는 동시에 광고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백 심리형 활용 방안을 활용하여 수용자의 상상을 불러일으키고 수용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소비자에게 수용되는 신문광고 여백에서 자이가르닉 효과의 긍정적인 표현전략을 수립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한 연구결과는 신문광고에 적용된 자이가르닉 효과 표현 광고가 수용자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 유형 그룹별 효과 차이를 입증하였다. 이는 기업의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기억 속에 브랜드 또는 제품을 각인하는 광고 여백 표현을 제시하여 소비자를 설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높아지고 브랜드가치를 증가하는 광고 전략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표현 전략은 여백에 관한 디자인의 원리를 심리학의 원리로 확장하여 광고디자인 분야에서 여백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여백은 형태와의 상호관련에 의해 유기적으로 관여하며, 지면의 일부만을 채우고도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간결함과 무한한 공간감은 정서적 감동을 전달하여 광고디자인 전체를 살리게 된다. 결론적으로 광고디자인에서 여백은 단순한 빈공간의 바탕이 아닌 조형요소의 본질적 주체이며 관련적 매개라는 것을 밝혔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