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8
1. 서론 10
2. 인공지능 발전 및 교육 방향의 시사점 12
2.1.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12
2.2. 인공지능 교육 방향의 시사점 13
3. 인공지능 교육 방향 17
3.1. 주요국가 인공지능 전략 19
3.2. 주요국가 인공지능 교육 26
3.2.1. 미국 26
3.2.2. 중국 29
3.2.3. 영국 32
3.2.4. 독일 35
3.2.5. 캐나다 38
3.2.6. 일본 42
3.3. 국내 인공지능 교육 46
3.3.1. 인공지능 정책 46
3.3.2.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2015) 53
3.3.3. 차세대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56
3.4. 국내 인공지능 교재 59
4. 인공지능 교육 방향 제안과 교내 현행교재 분석 63
4.1. 주요국가의 인공지능 교육 분석 및 제안 63
4.2. 제안사항 측면의 국내 현행 인공지능 교과서 검토 72
5. 결론 80
참고문헌 82
표 2.1. 인공지능과 관련된 질문 16
표 3.1. 주요국가 인공지능 주요 전략과 내용 25
표 3.2. 영국의 컴퓨팅 교육과정 34
표 3.3. 인공지능 관련 학제적 수업을 위한 교육 내용의 예 36
표 3.4. KI 캠퍼스의 인공지능 수업을 위한 강의 내용 38
표 3.5. 액추아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체제 40
표 3.6. 주요국가의 인공지능교육과 활용 교육 44
표 3.7. AI 인재양성과 국민교육 48
표 3.8. 전국민 AI·SW 교육 확산 방안 50
표 3.9. 인공지능 시대 교육정책 방향과 핵심과제 52
표 3.10.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요소 53
표 3.11. 중학교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요소 54
표 3.12. 고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요소 54
표 3.13. 5영역. 인공지능과 융합 56
표 3.14. 하위 영역 2. 인공지능 57
표 3.15.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영역 및 내용 요소 60
표 3.16. 중학교 인공지능 교육 영역 및 내용 요소 60
표 3.17. 고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영역 및 내용 요소 61
표 4.1. 주요국가 인공지능 교육 특징 65
표 4.2. 바람직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제안 67
표 4.3. 학교급별 인공지능과 사회 세부영역 내용 요소와 수행 기대 76
그림 2.1. 인공지능 기술의 성장 13
그림 2.2. 인공지능 연구 평면도 14
그림 2.3. 인공지능 3대 동력의 영향 15
그림 3.1. 정부 AI 준비 지수, 2020 18
그림 3.2. 주요국가 인공지능 전략 18
그림 3.3. AI4K12의 AI 교육과정 모델 28
그림 3.4. 인민대 부속 고등학교의 인공지능 교육과정 체계 31
그림 3.5.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 47
그림 4.1. 페이지 주소가 변경되었어요 73
This paper starts with important directional factors of the AI education considering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progress in Al-based society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 to the factors, then the current strategies of AI and the corresponding education policies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analyzed to suggest the concrete strategies for desired AI education in the future. Finally, recent Korean AI textbooks are reviewed with proper comments whether it is compatible with the suggestions..
The research begins with the defi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history. In addition several important factors induced from current progress of AI technology are pointed out to examine the AI stategies and corresponding educational policies of several major countries. The countri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high AI readiness index in 2020, which are US, UK, and Germany. Also, Canada, Japan, and China are included because they have initially announced their AI strategy. Along with the countries, we review the domestic AI educational policy.
From the review the paper suggests the desired AI education directions to make it successful and effective. At first, it is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AI itself and the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focused to well harmonized with AI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a basic literacy education policy for AI is needed. It should include the ethical use of AI and its social impact.
Secondly, the required and convergence courses for effective AI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reflecting the levels of achievement capability.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e core elements of AI education, classify them hierarchically according to school levels, and properly materialize them. In addition, it should be preceded to develop standards and teaching materials for AI textbooks. Also, the career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AI education, and prepare qualified instructors and mentors.
Then the paper reviews current AI textbooks in Korea in terms of the suggestions. As the result, almost all suggestions are well matched in the textbooks except several problems that should be carefully fixed. In the future, proper on-line pages should be linked with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and the path to the higher AI education such as university level and the subdivisions of standard textbooks must also be provided.
Even though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policies for AI, efficient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and prepared instructors and mentors are not directly related with AI textbooks, the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in the future.
We believe that the suggestions in the paper will be of great help not only to Korea but also to emerging countries to consider AI education. For better AI education in the future, continuous research is necessary that reflects AI technological and social progress as in the paper.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