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5
I. 서론 17
1. 연구 목적 17
2. 연구 방법 20
II. 하틀리의 생애와 〈인디언 환상〉의 제작배경 25
1. 하틀리의 생애와 초기 작업 경향 25
2. 모더니즘과 미국 원시주의 36
III. 모던아트와 원시성 44
1. 아메리카 원주민 모티브의 차용과 상상적 재구성 45
2. 직물적 구성과 장식성 53
3. 원색과 색면구성 61
IV. 정신성의 탐색과 형태의 상징성 67
1. 신비주의적 상징적 기호와 표현 67
2. 미국적 풍광과 초월성 75
V. 〈인디언 환상〉 이후 85
1. 에세이 「레드맨 의식」 86
2. 아메리카 원주민의 풍경과 미국의 미학 91
VI. 결론 96
참고문헌 99
참고도판 108
ABSTRACT 137
도판 1. 마스던 하틀리, 〈인디언 환상〉, 1914. 108
도판 2. 하틀리, 〈독일 장교의 초상〉, 1914. 109
도판 3. 하틀리, 〈폭풍우 구름, 메인주〉, 1906-07. 109
도판 4. 조반니 세간티니, 〈알프스에서의 죽음〉, 1896-99. 110
도판 5. 하틀리, 〈우주〉, 1908-09. 110
도판 6. 앨버트 핀캠 라이더, 〈달빛 바다〉, 1870-90. 111
도판 7. 하틀리, 〈어두운 산 1번〉, 1909. 111
도판 8. 하틀리, 〈정물화〉, 1912. 112
도판 9. 하틀리, 〈부채가 있는 정물화〉, 1912. 112
도판 10. 하틀리, 〈음악적 테마 2번 (바흐 전주곡과... 112
도판 11. 조르주 브라크, 〈J. S. 바흐에 대한 오마주〉, 1911-12. 112
도판 12. 하틀리, 〈베를린 초상〉, 1913. 113
도판 13. 하틀리, 〈아메리카 인디언 상징〉, 1914. 113
도판 14. 하틀리, 〈인디언 구성〉, 1914-15. 113
도판 15. 하틀리, 〈회화 50번〉, 1914-15. 113
도판 16. 거트루드 카세비어, 〈레드맨〉, c.1900. 114
도판 17. 하틀리, 〈정물화 1번〉, 1912. 114
도판 18. 뉴욕 헤럴드지 1913년 2월 15일 기사에 실린 로버트 챈러,... 114
도판 19. 조셉 스텔라, 〈브루클린 다리〉, 1919-20. 115
도판 20. 올레 보름의 호기심 캐비닛; 『보미아눔 박물관』의 권두 삽화, 1655. 115
도판 21. 하틀리, 〈인디언 항아리〉, 1912. 116
도판 22. 아코마 부족의 항아리, c.1895. 116
도판 23. 테스크 푸에블로 부족의 '비의 신' 조각, c.1902. 116
도판 24. 가브리엘레 뮌터, 〈성 조지가 있는 정물화〉, 1911. 116
도판 25. 에드워드 커티스, 〈피간 족 티피〉, c.1910. 117
도판 26. 커티스, 〈수우족 추장〉, c.1905. 117
도판 27. 커티스, 〈헤드 헌터의 땅에서〉, 1914. 117
도판 28. 커티스, 〈알러트 베이의 조각된 기둥〉, c.1914. 117
도판 29. 폴 고갱, 〈마리아를 경배하며〉, 1891. 118
도판 30. 고갱, 〈시장〉, 1892. 118
도판 31. 하틀리, 〈배열-상형문자, 회화 2번〉, 1914. 119
도판 32. 하틀리, 〈배〉, 1915. 119
도판 33. 고대 이집트 비석; 〈태양을 숭배하는 우자레네 부인〉,... 119
도판 34. 일본 불상, 연대 미상. 119
도판 35. 〈도 1〉의 세부. 120
도판 36. 만돌라 모양 안에 묘사된 그리스도. 120
도판 37. 하틀리, 〈상징 4번〉, c.1913-14. 120
도판 38. 파울 클레, 〈인간의 나약함〉, 1913. 120
도판 39. 하틀리, 〈정물화 (옥수수)〉, 1917. 121
도판 40. 《20세기 미술의 원시주의: 근대적인 것과 부족적인... 121
도판 41. 호피 족의 카치나 인형. 121
도판 42. 하틀리, 〈메인주 풍경화〉, 1908. 122
도판 43. 마리온 볼크, 〈사바토스 러그〉, c.1901. 122
도판 44. 마르셀 뒤샹,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2번〉, 1912. 122
도판 45. 하틀리, 〈엘 산토스〉, 1919. 122
도판 46. 나바호 직물; 〈추장의 담요〉, 1865-70. 123
도판 47. 나바호 직물; 〈입는 담요〉, 1860-70. 123
도판 48. 나바호 직물; 〈입는 담요〉, 1865-75. 123
도판 49. 하틀리, 〈배〉, 1911-12. 124
도판 50. 폴 세잔, 〈수욕도〉, 1900-1906. 124
도판 51. 앙리 마티스, 〈가지가 있는 정물화〉, 1911. 124
도판 52. 하틀리, 〈초상 배열〉, 1914. 124
도판 53. 〈도 1〉과 〈도 13〉의 세부. 125
도판 54. 콥트 직물; 〈나무 형태가 있는 여덟 개의 꼭짓점... 125
도판 55. 켈리키언의 직물앨범; 〈여덟 개의 꼭짓점이 있는... 125
도판 56. 하틀리, 〈전사들〉, 1913. 126
도판 57. 하틀리, 〈추상: 파랑, 노랑, 녹색〉, c.1913. 126
도판 58. 로베르 들로네, 〈블레리오에 대한 오마주〉, 1914. 126
도판 59. 하틀리, 〈추상〉, c.1914. 126
도판 60. 바이에른 유리 회화; 〈성 삼위일체〉, 19세기. 127
도판 61. 수우족의 파플레쉬, 1880-85. 127
도판 62. 〈도 1〉의 세부. 127
도판 63. 〈도 13〉과 〈도 14〉의 세부. 127
도판 64. 하틀리, 〈음악적 테마 (동양적 심포니)〉, 1912-13. 128
도판 65. 하틀리, 〈회화 48번〉, 1913. 128
도판 66. 〈도 1〉의 세부. 129
도판 67. 〈도 1〉의 세부. 129
도판 68. 하틀리, 〈회화 1번〉, 1913. 129
도판 69. 바실리 칸딘스키, 〈구성 4번〉, 1912, 『청기사 연감』.... 129
도판 70. 바이에른 유리 회화; 『청기사 연감』에 수록된 그림. 130
도판 71. 형태와 색채의 관계를 연구했던 바실리 칸딘스키... 130
도판 72. 하틀리, 〈리처드 롤의 이동〉, 1932-33. 130
도판 73. 야콥 뵈메의 신비주의적 도식, 1776. 130
도판 74. 하틀리, 〈랍투스〉, 1913. 131
도판 75. 하틀리, 〈일리아스터 (파라켈수스)〉, 1932. 131
도판 76. 하틀리, 〈아메리카 인디언 상징의 추상적 배열〉, c.1914. 131
도판 77. 하틀리, 〈뉴멕시코 풍경〉, 1919. 132
도판 78. 하틀리, 〈베를린 시리즈 1번〉, 1913. 132
도판 79. 〈도 1〉의 세부. 132
도판 80.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마스던 하틀리〉, 1911(좌),... 132
도판 81. 프란츠 마르크, 〈흰 소〉, 1911. 133
도판 82. 하틀리, 〈베를린 시리즈 2번〉, 1914. 133
도판 83. 〈도 14〉의 세부. 133
도판 84. 1914년 9월, 엘제 라스커 쉴러가 하틀리에게 보낸 엽서와 그림. 134
도판 85. 하틀리, 〈바닷가재 어부〉, 1940-41. 134
도판 86. 하틀리, 〈아로요 혼도-발데즈〉, 1918. 135
도판 87. 하틀리, 〈푸에블로 산〉, 1918. 135
도판 88. 하틀리, 〈서부의 불꽃〉, 1920. 135
도판 89. 하틀리, 〈인디언 묘지, 뉴멕시코〉, 1924. 136
도판 90. 하틀리, 〈뉴멕시코 2번〉, c.1919. 136
본 논문은 미국 미술가 마스던 하틀리(Marsden Hartley, 1877-1943)의 〈인디언 환상 Indian Fantasy〉(1914)에 관한 연구이다. 〈인디언 환상〉은 하틀리가 본격적으로 유럽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았던 베를린 시기(1913-1915)에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하틀리가 '아메리카(Amerika)' 회화라 불렀던 4점 중 하나로, 그는 이 작품에 미국인으로서 미국적 정체성을 담고자 했다. 이에 주목하여 하틀리가 유럽 모더니즘 미술의 영향아래에서 미국적 정체성을 정의했던 방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인디언 환상〉은 20세기 초에 미국 미술이 유럽의 선진적 미술에 열등감을 가졌던 시대적 배경이 반영되었다. 하틀리는 재현적 경향에 머물러 있는 전통적 회화에서 벗어난 새로운 미국 미술의 정립을 위해 유럽 모더니즘 양식의 수용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유럽 미술과 차별화 될 수 있는 미국적 회화를 탐색했다. 하틀리가 〈인디언 환상〉에 사용한 아메리카 원주민 모티브는 유럽 모더니스트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원시주의(Primitivism)에 대한 반응이자 미국성(Americanness)을 드러낼 수 있는 소재였다. 그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에서 발견한 조형성과 정신성을 〈인디언 환상〉에 나타내었다.
하틀리는 미국인이지만 〈인디언 환상〉을 제작할 당시에 실제 아메리카 원주민을 만난 적이 없었기에 파리의 트로카데로 민속 박물관(Musée d'Ethnographie du Trocadéro)과 베를린 민속 박물관(Berlin Museum für Völkerkunde)에서 접했던 아메리카 원주민의 공예품을 참고하였다. 그는 본인의 상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와 모더니즘 양식을 접목시켜 〈인디언 환상〉을 구상했다. 따라서 〈인디언 환상〉의 화면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공예품에서 발견되는 원시적 양식과 서구 모더니즘의 입체파와 표현주의 화풍이 융합되었다.
〈인디언 환상〉는 마치 인디언 예술처럼 의미심장하고 신비스러운 기호와 도식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하틀리가 평소에 관심을 두었던 원시주의, 신비주의(Mysticism), 그리고 미국의 정신을 강조한 초월주의 (Transcendentalism)가 접목된 것이다. 특히 하틀리는 평생 존경하던 랄프 왈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 1803-1882)과 월트 휘트먼(Walt Whitman, 1819-1892)의 초월주의 문학과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에머슨과 휘트먼이 20세기의 물질주의와 자본주의로 물들여진 미국을 치유하고 인간의 고귀함을 위해 신성한 자연을 예찬한 것에 주목했다. 하틀리는 아메리카 원주민을 미국의 신성한 자연으로 간주하여 〈인디언 환상〉을 물질문명으로 손상되지 않은 초월성이 깃든 미국적 풍광으로 나타내고자 했다.
〈인디언 환상〉은 이후에 하틀리가 미국적인 뿌리를 탐색하고 새로운 미학을 제시하는 선례가 되었다. 그는 〈인디언 환상〉을 제작한 이후 1918년에 미국 뉴멕시코에서 푸에블로(Pueblo) 부족을 만나 그들의 존재와 그들이 살아가는 땅, 뉴멕시코의 풍경을 주제로 미국 미학을 정립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 시기에 제작된 하틀리의 글과 회화는 〈인디언 환상〉 이후로 발전된 미국 백인 미술가로서 하틀리의 원시주의적 입장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인디언 환상〉은 유럽 모더니즘의 수용과 동시에 그것의 모방에서 벗어나려는 미국 미술가의 고민이 반영된 작품이다. 하틀리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와 미학을 활용하여 가장 미국적인 미술로서 미국적 의미를 일깨움으로써 자신의 독자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의 생각은 〈인디언 환상〉 이후, 특히 말년에 그의 고향인 메인주에서 미국의 지역성과 토착성을 토대로 새로운 미국 미학을 탐색하려는 생각으로 발전되었다. 따라서 하틀리의 〈인디언 환상〉은 그가 미국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기틀을 마련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