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6
1. 연구 배경 16
2. 연구 필요성 22
제2절 연구 목적 및 구성 26
1. 연구 목적 및 질문 26
2. 논문 구성 30
제2장 이론적 논의 33
제1절 전통에 대한 논의 33
1. 전통 담론의 형성과 포클로리즘(folklorism) 33
2. 전통과 문화관광이 공유하는 접점 38
3. 전통의 재맥락화 과정 속 역학관계 41
제2절 문화적 실천에 대한 논의 46
1. 실천 이론 46
2. 실천공동체 이론 50
3.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 57
4. 문화적 실천 분석으로서 ANT 적용 가능성 72
제3절 축제에 대한 논의 83
1. 우리나라 축제의 역사적 흐름 84
2. 전통축제에 대한 이해 87
3. 이해관계자에 대한 이해 98
제4절 연구대상에 대한 이해 117
1. 문화적 전통이 지속되는 옛 고을 117
2. 문화적 전통이 지속되는 민속마을의 현재 122
3. 성읍민속마을 관련 선행연구 128
4. 성읍민속마을에 대한 이해 131
제3장 연구 설계 140
제1절 연구 방법 및 연구 질문 140
1. 문화기술적 사례연구(Ethnographic Case Study) 140
2. 사례 선정하기 147
3. 분석틀 149
4. 연구 질문 152
제2절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53
1. 자료 수집 방법 153
2. 자료 분석 방법 161
3. 타당도 166
제4장 연구 결과 169
제1절 전통의 지속과 변화: 민속마을 지정과 전통축제의 탄생 169
1. 성읍마을의 역사적 배경 169
2. 성읍민속마을의 형성과 변화 178
3. 재구성된 마을의 역학과 공동체의 위기 200
제2절 '전통의 발명' 담론 해체: 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실천 과정 223
1. 실천공동체로서 문화적 실천 224
2. 전통축제의 재맥락화 과정 243
제5장 종합적 논의 293
제1절 전통축제의 재맥락화 과정에 대한 논의 293
1. 전통축제 재맥락화 과정의 변화 294
2. ANT, 번역의 4단계 의미 298
3. 블랙박스 해체의 의미 305
제2절 문화적 실천에 대한 논의 309
1. 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실천과 공동체의 의미 309
2. 전통축제 이해관계자들의 역학적 관계 313
제6장 결론 319
제1절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19
1. 이론적 함의 319
2. 정책적 제언 321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331
참고문헌 334
부록 364
부록 1. 연구참여자를 위한 설명문 364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370
부록 3. 심층 면담을 위한 반구조화 질문지 372
부록 4. 면담 기록지 및 연구 노트 373
ABSTRACT 375
〈표 2-1〉 ANT 번역의 4단계 66
〈표 2-2〉 이론적 비교 분석 72
〈표 2-3〉 관광 분야 국외 ANT 적용 연구 78
〈표 2-4〉 문화 분야 국내 ANT 적용 연구 79
〈표 2-5〉 축제 분야 ANT 적용 연구 81
〈표 2-6〉 지속가능한 문화관광을 위한 이해관계자 유형 및 역할 104
〈표 2-7〉 축제 및 문화유산 이해관계자의 유형 105
〈표 2-8〉 학자별 축제 이해관계자의 유형 도출 108
〈표 2-9〉 축제 관계자의 관점에 따른 성공요인 구분과 평가요소 110
〈표 2-10〉 축제의 성공 요인 113
〈표 2-11〉 옛 고을 단위의 지역 및 문화적 전통자원 119
〈표 2-12〉 국내 역사지구 유형 123
〈표 2-13〉 중요민속문화재 민속마을 및 축제 현황 124
〈표 2-14〉 성읍민속마을 선행연구 128
〈표 2-15〉 성읍민속마을 전통문화 자원 현황 134
〈표 2-16〉 26회 제주성읍마을 전통민속 재연축제(2019년) 138
〈표 3-1〉 문화기술지와 사례연구의 특징 141
〈표 3-2〉 연구에 활용된 ANT 분석 절차 150
〈표 3-3〉 자료 수집 방법 155
〈표 3-4〉 심층 인터뷰 대상자의 특성 159
〈표 3-5〉 심층 인터뷰 질문 160
〈표 3-6〉 Lincoln and Guba의 타당도 개념 및 기법 166
〈표 4-1〉 제주특별자치도 성읍마을의 역사·문화·환경 연혁 172
〈표 4-2〉 성읍민속마을 인구 및 상가 현황 180
〈표 4-3〉 성읍민속마을 용도별 시설물 현황 182
〈표 4-4〉 제2차 관광개발기본계획(2002-2011) 목표 및 전략 210
〈표 4-5〉 전통축제 주최 변화 246
〈표 4-6〉 전통축제 명칭 변경의 흐름 247
〈표 4-7〉 전통축제 주최 및 내용 변화 250
〈표 4-8〉 2019년 제주성읍마을 전통민속재연축제 261
〈표 4-9〉 성읍민속마을 투자계획 및 투자실적 274
〈표 4-10〉 성읍민속마을 담당 지자체 공무원 및 업무 현황 278
〈표 4-11〉 세부사업 소요예산(안) 282
〈표 4-12〉 전통축제 재맥락화 과정 번역의 4단계 291
〈표 5-1〉 분석 지표 및 주요 행위자의 비교·분석 302
〈표 5-2〉 행위자 분석지표 303
〈표 6-1〉 민속마을 전통문화의 지속가능한 주민참여형 세부과제(안) 325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32
[그림 2-1] 문화적 실천 모델 52
[그림 2-2] 문제제기(problematization)와 의무통과점(OPP) 67
[그림 2-3] 지역축제 이해집단의 개념적 틀 100
[그림 2-4] 지역축제 이해관계자 분류 102
[그림 2-5] 이해관계자들의 유형 및 구분 107
[그림 3-1] 분석틀 151
[그림 4-1] 성읍리 지명의 유래 170
[그림 4-2] 성읍민속마을 용도별 시설물 현황(성내외) 181
[그림 4-3] 축제 행사장 도면 185
[그림 4-4] 축제 행사장 배치도 186
[그림 4-5] 성읍민속마을보존회 조직도(2021년 기준) 192
[그림 4-6] 성읍민속마을 지정 전·후의 문제제기 202
[그림 4-7] 전통축제 형성의 관심끌기 226
[그림 4-8] 축제위원회 조직도 254
[그림 4-9] 마을 주민들의 소속 체계 및 프로그램 256
[그림 4-10] 전통축제에 동원된 비인간 행위자 262
[그림 4-11]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조직도 279
[그림 5-1] 전통축제 재맥락화 과정의 종합 결론 297
[그림 5-2] 전통축제 블랙박스 해체 305
[그림 5-3] 전통축제 이해관계자 유형 범주화 315
[그림 6-1] 민속마을 전통문화 보존·활용의 정책적 제언 321
[그림 6-2] 민속마을 전통문화 활용을 위한 추진방안 330
[사진 1-1] 성읍민속마을 영장소리 및 장례의례 과정 재현 16
[사진 3-1] 보조연구원과 동행한 연구자 인터뷰 사진 164
[사진 4-1] 공청회 자료집 사진 177
[사진 4-2] 성읍민속마을 유형자원 183
[사진 4-3] 마을 주민들 문화적 실천의 축제의 장 258
[사진 4-4] 성읍의 전통축제 안내 책자 289
본 연구는 마을 주민들의 기억으로 민속마을의 역사를 '다시쓰기(rewriting)'하여 현재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국가가 규정한 전통 속에서 자신들의 삶을 주체적으로 자리매김하고자하는 민속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실천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인 전통 담론의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본 연구는 존재론적 전환을 토대로 인간과 비인간 대상의 경계를 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행위자의 개념을 확장한 이론을 근거로(Latour, 1988, 1991) 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실천을 통해 '전통의 발명' 담론의 해체 과정을 주요한 연구문제로 삼았다. 이와 같은 전통의 발명은 '보존'의 문제와 '활용'이라는 문화관광적 현실과 연계되어 있다.
연구대상 지역은 제주의 성읍민속마을이다. 제주전통마을로서의 성읍민속마을은 오랜 역사를 지녔고, 다양한 사람들의 다층적 기억이 있으며, 마을의 성립과 발전, 변화, 시대적 역경과 극복의 과정이 남아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성읍민속마을의 지정 전·후, 다양한 층위 속에서 마을 주민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변화했는지에 대한 과정을 대표적인 마을 행사인 전통축제의 사례를 통해 그들의 문화적 실천을 밝힐 수 있었다.
연구 방법으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Ethnographic Case Study)'를 활용하였다.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 과정은 ANT를 적용한 하위 분석단위로 연구 방법을 설계하였다. ANT의 탐구적 도구(tool)로서 Callon(1986)이 제시한 번역의 4단계와 블랙박스의 개념을 통해 전통축제의 재맥락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공시적 관점에서 ANT의 보완으로 마을 주민들의 실천이 유지되는 과정적 흐름을 실천공동체 이론으로 해석하였다.
첫째, 전통축제의 재맥락화 과정의 최종 네트워크를 살펴본 결과, 전통축제는 인간행위자 간의 상호작용 뿐 만 아니라 비인간 간의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지식이 창발(emergence)되었고, 대상이 발현(emerge)되었다. 이 과정에서 매개(mediate)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인 시간, 공간, 유·무형 전통자원, 공동체, 규범, 제도, 이해관계자, 미디어 등이 연결이 되었다. 복잡한 상호과정 속에서 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실천 패턴이 형성되고 자기조직화(self-organizing)되었다. 결국 마을 주민들은 역사적 과정 속에서 스스로 구조를 갖추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냄으로써 정교하게 전통축제가 재맥락화 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공시적 관점에서 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실천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들의 실천은 국민국가의 민족주의와 문화관광 상품화의 관광개발 사이에서 선택한 실천이었다. 실천공동체로서의 민속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실천은 소비주의와 관광주의에 이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변화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민속마을의 역사 속 부재하였던 마을 주민들의 집합적 기억들의 부분을 나열하고 연결하여 비인간 행위자들의 역할들을 관계 속에서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었다. 성읍민속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실천은 성읍의 현재 살아있는 역사를 재구성함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전통문화의 현상, 문화적 정체성 그리고 근대화 과정 속 존재하는 역사적 실천의 주체자들에 대한 이해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전통이 국가주도로 전유되는 현 상황에서 전통의 관변화에 대한 성찰적 대안을 제시하는 실천적 성과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