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4
ABSTRACT 17
I. 서론 22
1. 연구의 목적 22
2. 선행연구 검토 25
3. 연구의 방법 28
II. 한국 고대 문화의 회화적 특징 31
1. 고구려 회화의 특징 31
1) 인물의 표현 31
2) 회화의 기법 37
3) 복식의 특징[원문불량;p.24] 43
2. 백제 회화의 특징 46
3. 신라와 가야 회화의 특징 52
1) 신라의 회화[원문불량;p.31] 52
2) 가야의 회화 57
III. 고대 회화의 여인상과 복원 사례 59
1. 고대 회화의 여인상 59
1) 회화 속 여인상의 원류 59
2) 고대 회화의 여인상 63
2. 백제 여인상 복원 사례 76
3. 표준영정 지정 사례 83
IV. 무령왕릉 출토 유물의 문양 및 장신구 100
1. 백제의 문양과 복식 100
1) 삼국시대 문양과 백제의 조형성 100
2) 백제의 복식 120
2. 백제의 장신구 127
1) 冠帽 127
2) 金製 釵(뒤꽂이)·銀簪(은비녀) 129
3) 頸飾(목걸이) 130
4) 釧(팔찌) 132
5) 飾履(신) 134
3. 무령왕릉의 출토 유물 136
1) 金製 冠飾 137
2) 耳飾 139
3) 帶金具 146
4) 大刀 148
5) 銅盌 150
6) 銅鏡 152
V. 백제 왕비초상 추정 제작의 실제 155
1. 백제 왕비초상 관련 모사의 목적과 재료 155
1) 모사의 의미와 목적 155
2) 모사복원의 재료 161
2. 頭枕과 足座의 모사 복원 171
1) 두침과 족좌의 도상적 특징 171
2) 두침·족좌의 현상 173
3) 두침·족좌의 모사복원 186
3. 왕비초상의 추정제작 194
1) 초상 제작의 양식 및 재료 195
2) 초상 제작의 과정 200
3) 초상제작의 결과 및 의의 217
VI. 결론 218
참고문헌 225
〈표1〉 영정·동상(재)제작 심의절차 84
〈표2〉 시대별 표준영정 87
〈표3〉 여인의 표준영정 91
〈표4〉 용문양 105
〈표5〉 봉황문양 107
〈표6〉 백제 복식 관련 『삼국사기』 기록 124
〈표7〉 백제의 공복제도 126
〈표8〉 무기안료와 유기안료의 차이점 162
〈표9〉 무령왕비 두침과 족좌 현상모사 복원 결과물 191
〈표10〉 무령왕비 두침과 족좌 디지털 복원 결과물 192
〈표11〉 김은희 '비옵니다'展 작업과정 및 전시장 풍경 193
〈표12〉 추정 제작 문양 참고자료 213
〈그림1〉 덕흥리 벽화고분 앞방 동쪽 천장 34
〈그림2〉 덕흥리 고분벽화 앞방 서쪽 천장의 선인들 36
〈그림3〉 안악3호분 대행렬도(모사도) 37
〈그림4〉 덕흥리 고분벽화 묘주와 휘장 장식 40
〈그림5〉 안악3호분 묘주 부인과 휘장 장식(모사도) 40
〈그림6〉 쌍영총 묘주 부부와 휘장 장식(모사도) 41
〈그림7〉 강서대묘 산악도 42
〈그림8〉 안악3호분 벽화(좌)와 덕흥리 고분벽화(우)의 인물 복식 45
〈그림9〉 무령왕릉 출토 銅托銀盞 47
〈그림10〉 동탁은잔 뚜껑 연화문 47
〈그림11〉 山水鳳凰文塼 48
〈그림12〉 山水山景文塼 48
〈그림13〉 무령왕비 두침 정면 도면 50
〈그림14〉 무령왕릉 출토 왕비 두침 문양 (部分) 51
〈그림15〉 영주 순흥 고분벽화(복원) 53
〈그림16〉 영주 순흥 어숙묘 연화문(좌), 여인상(중), 도면(우) 55
〈그림17〉 경주 155호분 출토 천마도 56
〈그림18〉 고아동 벽화고분 천정의 연화문 58
〈그림19〉 武氏家門 사당의 열녀도 61
〈그림20〉 傳 顧愷之 〈女士箴圖〉(부분) 62
〈그림21〉 다카마쓰고분(高松塚) 여인 군상(동벽) 64
〈그림22〉 高松塚 여인 군상(서벽) 65
〈그림23〉 高松塚 여인 군상 (일본 우표) 65
〈그림24〉 永泰公主墓 宮女圖 67
〈그림25〉 안악3호분 부인상 69
〈그림26〉 안악3호분 부인상(얼굴) 69
〈그림27〉 덕흥리 벽화고분 여주인공 牛車 및 시녀도 71
〈그림28〉 수산리 고분벽화 여인 군상(복원도) 72
〈그림29〉 호류지(法隆寺) 백제관음상 74
〈그림30〉 금동보살반가상 74
〈그림31〉 충남 보령 도미부인사우의 도미부인상 75
〈그림32〉 백제 귀부인상(복원) 77
〈그림33〉 마한 여인 복원 과정 78
〈그림34〉 마한의 여인상(복원) 79
〈그림35〉 고대 압독국 여인상(복원) 79
〈그림36〉 무용총벽화의 시녀 80
〈그림37〉 삼국 시대 얹은머리(복원) 81
〈그림38〉 무령왕비 복원 포스터 사례 82
〈그림39〉 이순신 표준영정(제1호) 86
〈그림40〉 무령왕 표준영정(제99호) 86
〈그림41〉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 초상(좌: 노국대장공주 초상 확대) 94
〈그림42〉 천왕천녀도(부분) 95
〈그림43〉 무령왕 흉상 96
〈그림44〉 구형왕비 표준영정(제63호) 98
〈그림45〉 무왕비 표준영정(제72호) 98
〈그림46〉 동탁은잔 잔받침 인면조 문양... 106
〈그림47〉 나주 신촌리 9호분 출토 환두대도 봉황문 106
〈그림48〉 왕비 두침 상면 적외선 사진(甲/乙) 107
〈그림49〉 나주 신촌리 출토 환두대도 손잡이의 어문 109
〈그림50〉 무령왕릉 동제잔 어문 109
〈그림51〉 무령왕릉 대금구 두꺼비 문양 110
〈그림52〉 쌍영총 벽화의 두꺼비 문양 110
〈그림53〉 무령왕릉 출토 방격규구신수문경의 神獸 111
〈그림54〉 나주 신촌리 금동관의 수목문 112
〈그림55〉 무령왕릉 출토 이식의 심엽형 문양 112
〈그림56〉 무령왕비 금제관식의 연화(국보 제155호) 113
〈그림57〉 공주 공산성 출토 연화문 수막새 115
〈그림58〉 나주 복암리 출토 금제장식 인동문 115
〈그림59〉 무령왕 금제관식의 인동문(국보 제154호) 115
〈그림60〉 무령왕 환두대도 칼집의 격자문 116
〈그림61〉 무령왕비 두침의 귀갑문 117
〈그림62〉 무령왕 환두대도 손잡이의 거치문 118
〈그림63〉 무령왕비 금구슬의 원문 118
〈그림64〉 무령왕 대금구 귀형문 119
〈그림65〉 동탁은잔 뚜껑의 운문 119
〈그림66〉 무령왕릉 동탁 은잔 뚜껑 삼산문 120
〈그림67〉 평양 부근 고분출토 透刻草花文 금동관 실측도 128
〈그림68〉 무령왕릉출토 金製 釵 130
〈그림69〉 무령왕릉출토 金製頸飾 131
〈그림70〉 무령왕릉 출토 무령왕비 은팔찌 133
〈그림71〉 무령왕릉 출토 飾履 135
〈그림72〉 무령왕릉 출토 무령왕 금제 관식 137
〈그림73〉 무령왕릉 출토 무령왕비 금제 관식 138
〈그림74〉 무령왕릉 출토 무령왕 이식 142
〈그림75〉 무령왕릉 이식과 비교자료... 143
〈그림76〉 무령왕릉 출토 무령왕비 이식 145
〈그림77〉 무령왕릉 대금구와 비교자료... 147
〈그림78〉 百濟(型) 大刀의 環頭 비교... 149
〈그림79〉 무령왕릉 銅盌과 비교자료... 151
〈그림80〉 무령왕릉 출토 의자손수대동경 153
〈그림81〉 의자손수대동경의 문양 153
〈그림82〉 무령왕릉 유물발견 배치도(좌-무령왕, 우-무령왕비) 172
〈그림83〉 발굴 당시의 무령왕비의 두침 174
〈그림84〉 발굴 당시의 무령왕의 두침 174
〈그림85〉 무령왕(상, 복제품)과 무령왕비(하)의 두침 175
〈그림86〉 무령왕비 두침 실측도 176
〈그림87〉 연꽃무늬와 어룡무늬 177
〈그림88〉 두침의 飛天(세부) 177
〈그림89〉 비천의 탄생 과정 178
〈그림90〉 무령왕비 두침의 魚龍 179
〈그림91〉 발굴 당시 무령왕비의 족좌 182
〈그림92〉 무령왕비 발받침 장식 182
〈그림93〉 무령왕(상)과 무령왕비(하)의 족좌(국보 제165호) 백제시대 184
〈그림94〉 무령왕 족좌 실측도 185
〈그림95〉 무령왕 두침 응급 처리 전 187
〈그림96〉 무령왕 두침 응급 처리 후 187
〈그림97〉 무령왕비의 두침 응급 처리 전 188
〈그림98〉 무령왕비의 두침 응급 처리 후 188
〈그림99〉 무령왕 족좌(정면) 응급 처리 후 189
〈그림100〉 무령왕 족좌(후면) 응급 처리 후 189
〈그림101〉 무령왕 족좌(좌우측) 응급 처리 후 190
〈그림102〉 윤두서 〈자화상〉 197
〈그림103〉 남구만초상 198
〈그림104〉 2017년 몽골 울란바토르 패션쇼' 한국의 전통복식부터 현대복식까지' 200
〈그림105〉 권진순 작 200
〈그림106〉 오방색 202
〈그림107〉 호분으로 바탕하기 203
〈그림108〉 먹으로 바탕하기 203
〈그림109〉 석청으로 바탕하기 203
〈그림110〉 초 내리기 203
〈그림111〉 기조색 올리기 204
〈그림112〉 호분 칠하기 205
〈그림113〉 얼굴표현 1 206
〈그림114〉 얼굴표현 2 206
〈그림115〉 오각형의 금박편 배열 207
〈그림116〉 오각형의 금박편 바늘구멍 207
〈그림117〉 금박 관식 표현과정(1) 209
〈그림118〉 금박 관식 표현과정(2) 209
〈그림119〉 금박 관식 표현과정(3) 209
〈그림120〉 금박 관식 표현과정(4) 209
〈그림121〉 금박 관식 표현과정(5) 209
〈그림122〉 금박 관식 표현과정(6) 210
〈그림123〉 금박 관식 표현과정(7) 210
〈그림124〉 금박 관식 표현과정(8) 210
〈그림125〉 이중 의습선 211
〈그림126〉 귀갑무늬, 구슬 211
〈그림127〉 참고 문양 위치 212
〈그림128〉 고분올리기 214
〈그림129〉 고분 부분과 금니 칠한 부분 비교 214
〈그림130〉 왕비관식 정면 모양 표현 215
〈그림131〉 인동무늬와 봉황무늬 215
〈그림132〉 백제 왕비초상 완성작 216
한국 고대 삼국 중 백제는 중국과 일본 등과의 교역을 통해 활발한 문화활동을 영위했다. 특히 武寧王-聖王-威德王代의 6세기 백제는 일본 문화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만큼 문화 융성의 시기였다. 그 정점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1971년 훼손되지 않은 채 발견된 武寧王陵의 발굴이라 하겠다.
백제 무령왕릉은 2021년 현재로 발굴 50주년을 맞았다. 발굴된 4,600여 점의 유물은 백제는 물론이고 우리 역사 전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심어 주기 충분한 양과 학술적 가치를 함축하고 있다. 특히, 왕과 왕비의 頭枕과 足座는 고대 백제인들의 사후 관념을 확인하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왕비의 두침에는 다양한 문양과 장식이 화려하게 치장되어 있어서 이 분야 연구자들에게 좋은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여기에 주목하여 두침과 족좌의 고색추정복원모사가 이루어졌고, 추후 다양한 활용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백제 왕비초상을 추정 제작하는 본 연구는 그와 함께 두침과 족좌의 모사복원 과정과 이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의 창작에 주목하였다. 그 방법으로 백제의 여인상을 모색하기 위해 여러 선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백제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함을 발견하고 이를 보완해 나가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따라서 백제 왕비의 肖像을 창작하여 백제 女人像 연구의 촉발을 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고대 인물의 像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료를 망라하여 분석·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삼국시대의 고구려·백제·신라 그리고 가야의 회화문화재 특징을 파악하고 회화 기법에서부터 인물 표현과 복식 등의 표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나아가 고대의 여인상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남아 있는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백제 왕비초상을 추정하기 위해 당시 여인상의 복원 사례를 검토해 보고, 회화 속의 여인상은 어떠하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정 제작한 백제 왕비의 초상이 標準影幀으로 지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 표준영정으로 지정된 초상들에 대해 개관하였다.
무령왕릉의 출토유물은 백제의 귀걸이·목걸이·팔찌·관식 등 다양한 장신구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성과 복식 관련 문헌 기록 등을 보충해 주는역할을 함과 동시에 백제문화의 다양성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삼국시대 문양과 백제의 조형성을 검토해 보고 백제의 복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백제 왕비의 초상은 구체적으로 어떤 형상일까? 이를 위해 본문에서 다루어 온 문양이나 장식물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왕비의 초상을추정·제작하였다. 그에 앞서 회화문화재의 모사복원이 갖는 의미와 이에 따른 재료, 왕비의 두침과 족좌의 도상적 특징과 현상을 알아보고 적외선촬영을 바탕으로 한 고색추정복원모사를 디지털 방식으로 재현한 결과를 나타냈다.
왕비의 초상 제작은 묘주를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무령왕릉의 武寧王과 王妃로 선정하여 남아 있는 유물을 연구한 근거로 백제왕비의 초상을 제작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나, 자료 수집의 한계가 있는 가운데 왕비초상을 제작하는 일은 많은 부분이 추정으로 진행하는 수밖에 없었다. 특히 초상화는 사실적 시각에 의한 외형적 특징도 중요하지만 우리 전통회화의 인물화에서 특히 중요시하는 인물 내면의 정신세계까지 끌어내 표현하는 傳神論에 충실해야 한다. 또한 고대 인물의 표현이므로 그 시대정신을 읽고 문화와 역사성도 함께 반영해야 함도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전통 회화 속에서의 인물화 표현기법들을 이해하고 고대뿐만 아니라 고려 불화, 조선 시대의 인물 표현법을 기조로 하여 전통과 외래 미술의 장·단점을 적절히 혼용하여 백제 왕비초상 추정 제작에 반영하였다. 초상 제작에 필요한 재료 중 바탕재는 紙千年이라 하여 내구성이 뛰어나 오랫동안 변하지 않는 3합 장지로 전주 한지를 사용하였고, 색 재료로는광물성·식물성·동물성의 천연·인공 원료의 염료나 안료·순금분을 아교를 이용하여 고착시키는 전통채색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백제 역사의 한 시대를 풍미했을 고귀한 한 여성의 이미지를 시각화하고자 하는 일은 우리의 과거를 되살리는 기회가 될 것이며, 역사 속의 인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고대 역사에 대한 관심과 문화재를 대하는 우리의 인식을 새롭게 해 줄 광의적 의미로의 교육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