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Abstract 13
I. 서론 17
1. 연구 목적 17
2. 선행 연구 21
3. 연구 방법 27
II. 생애와 사상 32
1. 서예사적 배경 32
2. 가계와 생애 38
3. 학맥과 금석학 연구 43
III. 청나라 문인들과의 교유 52
1. 김정희의 燕行 52
2. 청나라 문인들과의 서신교류 63
3. 학문과 자료교환 82
1) 서신을 통한 학술정보교환 82
2) 서예와 금석학 자료의 유입 88
IV. 간찰서풍의 시기별 변천 93
1. 제1기: 연행 이전(출생~24세) 93
2. 제2기: 연경 이후~유배 이전(24~55세) 102
3. 제3기: 제주도~북청유배시기 (55~67세) 119
4. 제4기: 과천시기(67~71세) 127
V. 김정희 간찰서풍의 특징과 진위문제 138
1. 法古創新 138
2. 以碑入帖 140
3. 對比的 表現 142
4. 隨時應變 144
5. 眞僞問題 147
VI. 후대에 미친 영향 155
VII. 결론 163
參考文獻 168
부록 175
附錄1. 경주김씨 한다리[大橋里] 김문 약보 175
附錄2. 김정희 연표 176
附錄3. 『완당전집』 에서 언급한 서예명가들과 금서작품과 저술 모임표 180
(그림 1) 朱鶴年, 〈秋史餞別圖〉(李漢福 臨摹) 1940 60
(그림 2) 翁方綱이 金正喜에게 보낸 〈간찰〉... 65
(그림 3) 완원이 김정희에게 보낸 〈간찰〉... 70
(그림 4) 葉志詵이 보낸 〈간찰〉 74
(그림 5) 周達이 김정희에게 보낸... 80
(그림 6) 金漢藎이 쓴 〈淑嬪崔氏諡冊文〉 1756 94
(그림 7) 金頤柱가 쓴 〈先府君家狀〉 1760 95
(그림 8) 金魯敬이 쓴 〈간찰〉 1836 96
(그림 9) 金魯永이 쓴 〈詩文〉 97
(그림 10) 김정희가 생부에게 올린 〈간찰〉 1793(8세) 98
(그림 11) 朴齊家가 쓴 〈詩文〉 100
(그림 12) 김정희가 연행직전에 쓴 〈간찰〉 29.5x114cm 개인소장 101
(그림 13) 김정희와 옹방강의 〈필담〉 1810(25세)... 103
(그림 14) 金正喜가 翁樹崑에게 보낸 〈간찰〉... 105
(그림 15) 翁方綱의 〈趙松雪蘭亭十三跋〉 105
(그림 16) 김정희의 〈『阮堂小牘』 數日〉 유배이전 34.6x42.8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107
(그림 17) 김정희의 〈『완당소독』 所患〉 유배이전... 109
(그림 18) 김정희가 杜羅郵堂에게 보낸 〈간찰〉 1822(37세)... 110
(그림 19) 김정희가 慈仁縣監에게 보낸 〈간찰〉 1827(42세)... 112
(그림 20) 김정희의 〈『완당소독』 大監〉... 113
(그림 21) 楊維楨의 〈跋張雨自書詩帖〉 中國 吉林省博物館소장 113
(그림 22) 김정희가 남책에게 보낸 〈간찰〉 1828(43세)... 115
(그림 23) 김정희가 둘째 아우에게 보낸 〈간찰〉 1828(43세)... 116
(그림 24) 王獻之의 〈奉別帖〉 東晉 上海博物館소장 116
(그림 25) 김정희가 王進士에게 보내는 〈간찰〉 1840(55세) 29.8x42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117
(그림 26) 王珣의 〈伯遠帖〉 東晉 25.1x17.2cm 北京故宮博物院소장 117
(그림 27) 김정희의 〈『완당척독』 新元〉 1842(57세)... 120
(그림 28) 김정희의 〈『완당척독』 年後〉 1844(59세)... 121
(그림 29) 김정희의 〈『완당척독』 福伊〉 1845(60세)... 123
(그림 30) 김정희의 〈『완당척독』 聖孫〉 1847(62세) 124
(그림 31) 김정희의 〈『완당척독』 間連〉 1848(63세) 124
(그림 32) 김정희가 66세 때 쓴 〈간찰〉 1851(66세) 124
(그림 33) 김정희가 용산본가에 보낸 〈간찰〉 1849(64세)... 126
(그림 34) 김정희가 민태호에게 보낸 〈간찰 杏庭〉 과천시기... 128
(그림 35) 김정희가 이상적에게 보낸 〈간찰 今已〉 과천시기 28x54cm 과천추사박물관소장 129
(그림 36) 김정희가 친척에게 보낸 〈간찰 楸馭〉 과천시기... 130
(그림 37) 김정희가 權敦仁에게 보낸 〈간찰 古人〉 1855(70세추정)... 131
(그림 38) 김정희가 이상적에게 보낸 〈간찰 雨是〉... 132
(그림 39) 김정희가 이상적에게 보낸 〈간찰 雪積〉 1852 24.5x77cm 과천추사박물관소장 133
김정희는 한국의 서예를 대표하는 거장으로 '추사체'라고 하는 독창적인 서체를 창조하여 국내외의 학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수십 년 동안 청대 학자들과 경학·고증학·금석학등에 대한 학술교류를 통해 학문적인 명성은 일찌기 중국에서도 널리 알려졌으며, 오늘날 그의 학문과 서예는 중국과 일본에 이르기까지 업적을 크게 인정받고 있다. 그가 남긴 작품은 매우 다양하다. 현판, 대련, 간찰 등 다양한 형식이 있고, 글씨는 대자·소자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 오체를 총망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간찰만을 가지고 김정희의 서풍을 연구했다. 간찰을 선택한 이유는 김정희의 글씨가 위작이 많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가급적 진품을 가지고 그의 글씨를 연구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물론 간찰에도 위작이 존재하고 있지만 다른 서체에 비해 적은 편이다. 또한 김정희의 간찰연구는 그와 수십 년 동안 서신교류를 했던 청대의 문인학자들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또한 그를 통해 김정희 서예의 깊은 측면을 이해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김정희 간찰은 그의 서예를 대표하는 예서와 행서로 쓴 대형 현판과 대련 등에 비해 규모가 작고 예술적인 표현보다는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한 것이라는 판단하에 서예작품의 행렬에서 사람들에게 소외되어왔고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기반해서 필자는 김정희의 간찰 서풍 분석을 통해 기존의 김정희 글씨에 대한 관점에 대하여 수정을 가하고자 했다. 김정희의 간찰은 풍부하고 독특한 품격을 갖추고 있으며 오히려, '추사체' 가운데 가장 본질적인 예술정신을 포함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간찰 글씨는 간략하지만, 그 안에는 천 가지 면목을 갖추고 있다."고 평한 사람들이 많다. 간찰은 정감과 심리변화가 매우 커서 표현되는 서풍의 양식도 매우 다양하다. 김정희의 간찰에 있어서도 그러한 특징이 나타나 있으며, 간찰을 쓸 때의 심경이 서사의 상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있다. 오히려 그의 기타 작품에서 구비하지 못한 형태와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김정희의 간찰이야말로 '추사체'를 이해할 있는 寶庫라 할 수 있다.
간찰 작품은 가히 김정희 글씨의 진면목을 분명하게 볼 수 있으며, 또한 김정희가 비학으로 전향하여 취법하였던 실질적 변화를 볼 수 있다. 간찰 중에 도약성을 띠고 있는 강렬한 대비는 한편으로는 김정희의 고도의 서사기법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으며, 또 한편으로는 그의 지극히 풍부한 정감을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절주감을 불러일으키는 筆劃과 字法의 극대비의 율동은 김정희의 실제생활 가운데에서 일어나는 喜怒哀樂 및 파란만장했던 삶을 적나라하게 펼쳐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김정희의 잔존작에는 위작이 많이 섞여 있기 때문에 그의 실질적인 예술정신에 먹구름이 끼어있다. 필자는 '추사체'의 진실을 밝혀내고자 그가 남긴 간찰을 선택했고 그것을 중심으로 서풍의 특징에 대하여 종합적인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김정희의 간찰을 4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간찰서풍의 특징과 함께 추사체가 형성되고 완성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 속에서 김정희 간찰의 특징 4가지('법고창신', '이비입첩', '대비적 표현', '수시응변')를 간취해 낼 수 있었다. 이것은 김정희의 간찰에 나타나는 서풍의 특징이자, 지금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김정희 글씨의 진위문제에 있어서도 준거로 활용될 수 있다. 처음으로 김정희 글씨의 진위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된 이 학위논문이 진정한 '추사체'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하고, 작품의 진위를 가리는 기준으로 참고될 수 있기를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