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문제 12

II. 이론적 배경 14

1. 다문화교육 14

가. 다문화와 한국의 다문화 사회 14

나. 다문화교육의 개념 16

다. 다문화교육 목표 20

라. 다문화교육에서 교사 역할 22

2. 다문화 인식 24

가. 다문화 인식의 개념 24

나. 다문화 인식 구성요소 28

3. 다문화 교육역량 29

가. 다문화 교육역량 개념 29

나. 다문화 교육역량 구성요소 32

4. 다문화 태도 35

가. 다문화 태도 개념 35

나. 다문화 태도 구성요소 38

5. 선행연구 고찰 40

III. 연구방법 44

1. 연구 대상 44

2. 연구모형 46

3. 조사도구 46

가. 다문화 인식 측정도구 47

나. 다문화 교육역량 측정 도구 47

다. 다문화 태도 측정 도구 48

4. 자료 분석 방법 49

5. 연구 윤리 51

IV. 연구결과 52

1. 기술통계분석 52

가. 측정 변인별 평균 및 표준편차 52

나. 측정 변인 간의 상관관계 53

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측정 변인 간의 차이 분석 55

2.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60

가.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개방성의 매개효과 검증 62

나.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수용성의 매개효과 검증 64

다.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공존성의 매개효과 검증 65

V. 요약, 결론 및 제언 68

1. 요약 68

2. 결론 및 제언 70

참고문헌 73

설문지 82

ABSTRACT 87

표목차

〈표 III-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44

〈표 III-2〉 연구대상자의 비형식적 다문화 관련 경험 45

〈표 III-3〉 다문화 인식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분석결과 47

〈표 III-4〉 다문화 교육역량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분석결과 48

〈표 III-5〉 다문화 태도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분석결과 49

〈표 IV-1〉 다문화 인식의 하위요인별 기술통계량 52

〈표 IV-2〉 다문화 교육역량의 하위요인별 기술통계량 53

〈표 IV-3〉 다문화 태도의 하위요인별 기술통계량 53

〈표 IV-4〉 측정 변인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54

〈표 IV-5〉 중등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다문화 인식 차이 분석 55

〈표 IV-6〉 중등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다문화 교육역량 차이 분석 57

〈표 IV-7〉 중등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다문화 태도 차이 분석 58

〈표 IV-8〉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61

〈표 IV-9〉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개방성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62

〈표 IV-10〉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수용성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64

〈표 IV-11〉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공존성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66

그림목차

[그림 II-1] 다문화교육 4가지 차원의 개념 17

[그림 III-1] 연구 모형 46

[그림 III-2] Baron과 Kenny(1986)의 검정절차 50

[그림 III-3] Sobel tset(소벨 테스트) 검증 공식 50

[그림 IV-1]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61

[그림 IV-2]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개방성의 매개효과 검증 63

[그림 IV-3]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수용성의 매개효과 검증 64

[그림 IV-4] 다문화 태도 하위요인 공존성의 매개효과 검증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