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3

Ⅰ. 서론 15

1. 연구 목적과 의의 15

2. 연구의 방법 17

3. 선행연구 19

Ⅱ. 본론 23

1. 훔퍼딩크의 생애와 작품 23

1.1.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의 일반적 특징 25

2. 서곡 분석과 등장인물의 주요 선율 분석 38

2.1. 서곡의 구조 및 선율 분석 38

2.2. 등장인물의 주요 선율 및 사실주의적 표현 67

3. 등장인물 중 "마녀"의 사실주의적 음악 표현과 특징 83

3.1. 마녀의 주요 선율 83

3.2. 성악 및 반주부 표현기법 분석 111

Ⅲ. 결론 172

참고 문헌 175

표목차

〈표 1〉 1막 서곡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38

〈표 2〉 2막 서곡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45

〈표 3〉 3막 서곡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50

〈표 4〉 1막 A 부분 54

〈표 5〉 1막 B 부분 55

〈표 6〉 1막 C 부분 56

〈표 7〉 2막 A 부분 56

〈표 8〉 2막 B 부분 57

〈표 9〉 3막 A 부분 57

〈표 10〉 3막 B 부분 58

〈표 11〉 사실주의 59

〈표 12〉 사실주의 60

〈표 13〉 반음계주의 61

〈표 14〉 반음계주의 62

〈표 15〉 친절한 마녀 동기(동기 1) 63

〈표 16〉 과자집 소개 동기(동기 2) 64

〈표 17〉 마녀의 속마음 동기(동기 3) 65

〈표 18〉 동기의 결합 66

〈표 19〉 《헨젤과 그레텔》 3막 대표곡 83

〈표 20〉 1. Knusper Knusper Knäuschen(바스락 바스락 바스락)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85

〈표 21〉 2. Hi, hi, hi hi!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88

〈표 22〉 3. Schokolade, Torten, Marzipan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92

〈표 23〉 4. Ich will ihn füttern und nudeln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95

〈표 24〉 5. Hokus pokus, Hexenschuss!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98

〈표 25〉 6. Nun Gretel, sei vernünftig und nett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101

〈표 26〉 7. Hurr hopp hopp hopp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105

〈표 27〉 8. Auf! wach auf, mein Jüngelchen 구조 분석 및 주요 선율 107

악보목차

〈악보 1〉 마디 1-9 1막 서곡 A 부분 선율 39

〈악보 2〉 마디 36-39, 마디 55-60 1막 서곡 B 부분 선율 40

〈악보 3〉 마디 68-72, 마디 88-97 1막 서곡 C 부분 선율 41

〈악보 4〉 마디 126-135 1막 서곡 A' 부분 선율의 확장 42

〈악보 5〉 마디 167-177 1막 서곡 C' 부분 선율의 변화 43

〈악보 6〉 마디 236-248 1막 서곡 Coda 선율 사용 및 종지 44

〈악보 7〉 마디 4-9 2막 서곡 A 부분 선율 46

〈악보 8〉 마디 31-34 A 부분의 발전 47

〈악보 9〉 마디 39-40 B 부분 시작 47

〈악보 10〉 마디 49-52 B 부분 선율의 발전 48

〈악보 11〉 마디 64-71 A' 부분의 시작 49

〈악보 12〉 마디 1-6 3막 서곡 A 부분 선율 51

〈악보 13〉 마디 12-17 반주와 함께 등장하는 선율 51

〈악보 14〉 마디 45-48 B 부분으로 연결되기 위한 전조 52

〈악보 15〉 마디 49-55 B 부분의 새로운 선율 52

〈악보 16〉 마디 62-67 Coda 부분 53

〈악보 17〉 1막 마디 47-60 반항적인 선율 67

〈악보 18〉 1막 마디 73-84 헨젤의 투덜거리는 모습 68

〈악보 19〉 2막 마디 229-239 동생에게 용감한 모습을 보이는 헨젤 69

〈악보 20〉 3막 마디 1018-1020, 1032-1033, 1040-1041 그레텔을 걱정하는 헨젤 70

〈악보 21〉 1막 마디 17-23 그레텔의 민요적 선율 71

〈악보 22〉 2막 마디 92-99 숲속에서 흥얼거리는 그레텔의 노래 72

〈악보 23〉 1막 마디 61-72 그레텔의 차분한 선율 73

〈악보 24〉 1막 마디 87-96 단호하게 헨젤을 다그치는 그레텔 74

〈악보 25〉 마디 477-479 마녀의 웃음소리 선율 75

〈악보 26〉 마디 506-508 친절한 마녀 동기 선율 75

〈악보 27〉 마디 598-606 마녀의 속마음 동기 선율 76

〈악보 28〉 마디 783-792 세 가지 동기의 결합 사용 77

〈악보 29〉 1막 마디 370-378 엄마의 감정표현 78

〈악보 30〉 1막 마디 489-494 아빠의 낙천적 성격 표현 79

〈악보 31〉 3막 마디 1333-1340 아빠의 민요선율 표현 80

〈악보 32〉 2막 마디 326-336 모래 요정의 선율 81

〈악보 33〉 3막 마디 73-82 이슬요정의 선율 82

〈악보 34〉 마디 381-385 마녀의 첫 노래 바스락 표현 동기 선율 85

〈악보 35〉 마디 449-452 바스락 표현 동기 선율 2 86

〈악보 36〉 마디 421-431 헨젤과 그레텔의 선율 87

〈악보 37〉 마디 477-479 마녀의 웃음소리 선율 89

〈악보 38〉 마디 529-531 발전된 마녀의 웃음소리 선율 89

〈악보 39〉 마디 506-508 친절한 마녀 동기 선율 90

〈악보 40〉 마디 532-534 마녀의 과자집 소개 동기 선율 91

〈악보 41〉 마디 555-562 마녀의 과자집 소개 동기 변형 93

〈악보 42〉 마디 579-588 반주부의 친절한 마녀 동기 사용 94

〈악보 43〉 마디 598-606 마녀의 속마음 동기 선율 96

〈악보 44〉 마디 607-611 마녀의 속마음 동기 선율 2 97

〈악보 45〉 마디 632-635 과자집 소개 동기 사용 97

〈악보 46〉 마디 649-658 마녀의 주문 선율 99

〈악보 47〉 마디 666-670 마녀의 주문 선율의 변형 100

〈악보 48〉 마디 783-792 세 가지 동기의 결합 사용(반주부) 102

〈악보 49〉 마디 815-823 세 가지 동기의 결합 사용(성악 선율) 103

〈악보 50〉 마디 833-838 발전된 마녀의 웃음소리 104

〈악보 51〉 마디 844-848 마녀들의 파티 동기 105

〈악보 52〉 마디 860-864 마녀들의 파티 동기 변형 106

〈악보 53〉 마디 876-878 사실주의 표현 106

〈악보 54〉 마디 917-930 바스락 표현 선율 사용 108

〈악보 55〉 마디 984-990 바스락 표현과 마녀의 주문 선율 사용 109

〈악보 56〉 마디 1004-1017 동기들의 연속사용 110

〈악보 57〉 마디 382-385 바스락 꾸밈음 표현 111

〈악보 58〉 마디 382-385 총보 112

〈악보 59〉 마디 449-454 바스락 16분음표 표현 113

〈악보 60〉 마디 445-452 총보 113

〈악보 61〉 마디 477-479 마녀의 웃음소리 114

〈악보 62〉 마디 477-479 목관 파트와 현악기 파트 총보 115

〈악보 63〉 마디 529-531 목관 파트와 현악기 파트 총보 2 116

〈악보 64〉 마디 563-573 반주의 웃음소리 표현 117

〈악보 65〉 마디 565-572 오케스트라의 웃음소리 표현 118

〈악보 66〉 마디 601-607 오케스트라의 웃음소리 표현 2 119

〈악보 67〉 마디 642-648 오케스트라의 웃음소리 표현 3 120

〈악보 68〉 마디 657-663 마녀의 가사에 대한 현악기 표현 121

〈악보 69〉 마디 657-663 마녀의 가사에 대한 목관악기 표현 122

〈악보 70〉 마디 657-663 마녀의 가사에 대한 사실적 표현 123

〈악보 71〉 마디 685-694 완전히 멈춰진 몸의 모습 표현 124

〈악보 72〉 마디 871-877 마녀들의 파티의 흥겨움 표현 125

〈악보 73〉 마디 879-884 마녀의 날아다니는 모습 표현 126

〈악보 74〉 마디 461-468 헨젤과 그레텔의 불안한 심리 표현 127

〈악보 75〉 마디 469-476 헨젤과 그레텔의 불안한 심리 표현 2 128

〈악보 76〉 마디 555-562 과자집 소개 동기 129

〈악보 77〉 마디 559-566 마녀의 속마음 표현 130

〈악보 78〉 마디 649-656 마녀의 주문 131

〈악보 79〉 마디 664-677 반음계를 통한 신비로움 표현 132

〈악보 80〉 마디 675-680 하행 반음계를 통한 주문 변화 133

〈악보 81〉 마디 1048-1051 피아노 반주와 오케스트라 반주의 비교 133

〈악보 82〉 마디 1046-1050 헨젤과 그레텔의 심정 표현 134

〈악보 83〉 마디 1051-1054 마녀가 오븐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 표현 135

〈악보 84〉 마디 1060-1063 반음 진행을 통한 곡의 전환 136

〈악보 85〉 마디 506-512 동기 1(친절한 마녀 동기) 등장 137

〈악보 86〉 마디 504-510 동기 1(친절한 마녀 동기) 등장 총보 138

〈악보 87〉 마디 517-524 동기 1 호모포닉적 사용 139

〈악보 88〉 마디 580-586 동기 1 폴리포닉적 사용 140

〈악보 89〉 마디 734-741 동기 1 박자 변환 141

〈악보 90〉 마디 815-820 동기 1 성악 선율 사용 142

〈악보 91〉 마디 1012-1017 동기 1 새로운 선율과 결합 사용 143

〈악보 92〉 마디 532-540 동기 2(과자집 소개 동기) 등장 144

〈악보 93〉 마디 532-539 동기 2 현악파트의 악상 및 아티큘레이션 145

〈악보 94〉 마디 540-548 동기 2 사용 146

〈악보 95〉 마디 557-564 동기 2의 폴리포닉적 사용 147

〈악보 96〉 마디 565-572 동기 2 목관악기 사용 148

〈악보 97〉 마디 630-635 동기 2를 통한 마녀의 복잡한 심리 표현 149

〈악보 98〉 마디 756-760 동기 2 Eb Major 진행 150

〈악보 99〉 마디 766-770 동기 2의 반진행을 통한 극적 효과 151

〈악보 100〉 마디 771-776 동기 2의 확장사용과 사실주의적 사용 152

〈악보 101〉 마디 826-830 9/8박자로 변형된 동기 2 153

〈악보 102〉 마디 1023-1026 동기 2의 Bb Major 진행 154

〈악보 103〉 마디 1032-1033, 마디 1039-1041 같은 선율에 따른 동기 2 사용 비교 155

〈악보 104〉 마디 598-606 동기 3(마녀의 속마음 동기) 등장 156

〈악보 105〉 마디 608-614 동기 3 폴리포닉적 사용 157

〈악보 106〉 마디 696-671 마녀의 직접적인 속마음 표현 158

〈악보 107〉 마디 702-706 동기 3의 음색 변화 159

〈악보 108〉 마디 707-712 저음부로 향하는 동기 3의 진행 160

〈악보 109〉 마디 742-747 동기 3의 변형 2 161

〈악보 110〉 마디 777-781 장면 전환에서 사용되는 동기 3 162

〈악보 111〉 마디 782-786 동기 3의 저음악기 사용 163

〈악보 112〉 마디 815-820 동기 3 164

〈악보 113〉 마디 696-671 동기 3과 동기 1의 결합 165

〈악보 114〉 마디 742-747 동기 3과 동기 1의 결합 166

〈악보 115〉 마디 783-792 각 동기들의 순차적 결합 167

〈악보 116〉 마디 815-820 악기군에 따른 동기의 결합 168

〈악보 117〉 마디 821-823 마녀의 콧노래 속 동기의 결합 169

〈악보 118〉 마디 826-830 동기 1과 동기 2의 결합 170

〈악보 119〉 마디 1018-1020 마녀와 헨젤의 대비되는 감정표현 171

〈악보 120〉 마디 1024-1026 마녀의 거짓말 표현 171

초록보기

This study examines Humperdink's fairy tale(Märchenoper) opera 《Hänsel und Gretel》 with a focus on realistic expression of overture, main melodies of characters and Witch's (Knusperhexe) characters. Even though the fairy tale opera is primarily written for young children with a basis on German traditional folktale and familiar stories, the opera not only contains a purity of a fairy tale but also the weighted energy of Wagner's style since Humperdink was heavily influenced by his music.

Also, this opera features many realistic expressions in each character'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in the way the story unfolds. Humperdink clearly wanted to satire the societal atmosphere through this opera in the form of realism which was prevalent in Europe during this period. This opera marked a breakthrough of German opera which has been in prolonged depression since Wagner.

Prior to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masterpiece, I examine Hunperdink's life, his musical style, background behind creation of the opera, a story of the opera, as well as understanding each characters of this opera.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each character's main melody to find the psychology and personality of each character.

Lastly,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stic expressions of the Witch character's thru the musical structure, melody and vocal expression function.

As a result, overture of each act expresses character's conditions in each scene and effectively implies how the story will unfold thru musical materials such as rhythm, melody, harmony and text. Humperdink uses realistic technique and chromatic scale in creating this realism opera which was the predominant form of opera during this time. Under the influence of Wagner's style, he uses Leitmotiv, which has motive 1, 2, 3 to make this fairy tale opera easier to understand.

The Witch character is an effective tool which Humperdink applies for his realism opera. 《Hänsel und Gretel》 is a fine example that is ever more valid in this day and age where only a fine, ambiguous line exists between good and evil, truth and lies."

I sincerely wish for this thesis to contribute to the academia as well as to those who simply wants to enjoy the masterpiece, 《Hänsel und Gretel》. Moreover, I wish to see many more succeeding thesis on 《Hänsel und Gretel》 and other operas, international and do me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