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8

1.1. 연구의 배경, 목적 및 의미 8

1.1.1. 연구의 배경 8

1.1.2. 연구의 목적 및 의미 11

1.2. 중국 및 해외 연구 현황 12

1.2.1. 해외 연구 현황 12

1.2.2. 중국 국내 연구 현황 15

1.2.3. 기존 연구 현황의 부족 16

1.3. 논문 연구의 내용 17

1.4. 논문 연구의 방법과 방향 18

1.4.1. 관련 지표의 선정 18

1.4.2. 기본 실증 데이터의 수집 및 축적 19

1.4.3. 모형의 구축 19

1.4.4. 결과에 대한 분석 연구 19

제2장 이론적 기초 21

2.1. 효율성 이론 21

2.1.1. 효율성의 의의 21

2.1.2. 항공사 효율의 의미 22

2.2. 데이터 포락 분석법의 기본 원리 22

2.2.1. DEA 방법의 개요 22

2.2.2. 전통적인 DEA 모형 24

2.2.3. DEA 방법의 장점 25

제3장 한중일 항공사 운영 현황 27

3.1. 항공사의 관련 이론 27

3.1.1. 항공사의 소개 27

3.1.2. 항공사의 분류 28

3.1.3. 항공사 연맹 29

3.1.4. 항공사의 경영 특징 31

3.2. 한·중·일 항공사 경쟁 구도 37

3.3. 한·중·일 항공사의 운영 규모 상황 38

3.3.1. 비행대 규모 38

3.3.2. 항로 네트워크 배치 상황 41

3.3.3. 수송량 상황 45

3.4. 한·중·일 항공의 서비스 품질 상태 48

3.4.1. 항공편 정상률 48

3.4.2. 여객불만 상황 51

3.5. 한·중·일 항공 경제적 효익 상황 52

제4장 실증분석 56

4.1. 투입, 산출지표의 선택 56

4.2. 샘플 데이터 출처 및 설명 57

4.3. 한·중·일 항공업의 효율 및 다목적분석 58

4.3.1. DEA 방법 모형 58

4.3.2. 한·중·일 항공업계 효율의 실증 분석 60

제5장 결론 및 전망 65

5.1. 연구의 결론 65

5.2. 연구의 제안 65

5.3. 연구의 한계 및 전망 67

참고문헌 69

부록 72

〈부록 1〉 2018년 한·중·일 항공업계 효율투입산출데이터정보 72

〈부록 2〉 2018년 한·중·일 15개 항공사의 효율성 73

〈부록 3〉 2018년 한·중·일 15개 항공사 순수 기술 효율 분석표 74

Abstract 75

표목차

〈표 1〉 한·중·일 항공업의 효율 투입과 산출 지표 체계 56

〈표 2〉 2018년 한·중·일 항공업계 효율투입산출데이터정보 57

〈표 3〉 투입산출지표 상관계수 검증결과 58

〈표 4〉 2018년 한·중·일 15개 항공사의 효율성 62

〈표 5〉 2018년 한·중·일 15개 항공사 순수 기술 효율 분석표 64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흐름도 20

〈그림 2〉 한국 시장 성장 39

〈그림 3〉 한국 항공 비행대 40

〈그림 4〉 한·중·일 효율치 비교 61

초록보기

세계 경제의 고속 성장과 주민들의 소비 증가로 이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항공업에 대한 의존도도 높아지고 있어 항공 운송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항공 운송 시장의 개방 추세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항공사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항공사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는 학자들의 관심의 초점이 되었고, 보다 목적적 합한 조치를 어떻게 활용하여 항공사 자체의 효율성을 높이고, 외부의 경쟁과 도전에 보다 잘 대처하는가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투입산출 지표를 선정하여 자료포락분석(DEA)을 통해 한·중·일 주요 항공사의 운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운영효율성 평가를 바탕으로 항공사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관련 요인을 탐색하고 항공사의 전략수립 및 향후 운영에 실질적인 활용하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본 논문은 한·중·일 15개 항공사의 2018년 데이터를 MaxDEA-8Pro 소프트웨어를 통해 DEA-BCC 분석을 실시하여 각 항공사의 운영 효율성, 즉 기술효율성, 순수 기술효율성 및 규모효율성을 측정하였다. 한국의 항공사가 기술효율성과 순수 기술효율성 및 규모효율성 등 전 분야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 항공사가 그 뒤를 이었으며 중국 항공사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일본과 한국 항공사는 3가지 효율성의 수준이 비슷한 반면 중국 항공사는 순수 기술효율성의 차이가 적다는 것을 제외하면 기술효율성과 규모효율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