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9
2. 선행연구 고찰 11
3.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3
II. 본론 14
1. 설문 조사 및 방향 제시 14
2. 이론 과정 20
1) 아쟁의 유래 20
2) 아쟁의 종류 21
3) 악기의 구조와 명칭 22
4)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27
5) 악기 관리 및 보관 방법 36
3. 실습 과정 37
1) 악기 조율 방법 37
2) 산조아쟁의 연주 주법과 부호 39
3) 음악 용어와 부호 42
4) 연습곡 및 연주곡 43
III. 결론 93
참고문헌 95
부록 97
Abstract 118
〈사진 1〉 산조아쟁 앞판. 23
〈사진 2〉 산조아쟁 뒤판. 23
〈사진 3〉 산조아쟁 활. 24
〈사진 4〉 대아쟁 앞판. 25
〈사진 5〉 대아쟁 뒤판. 25
〈사진 6〉 대아쟁 돌괘. 25
〈사진 7〉 대아쟁 개나리 활. 26
〈사진 8〉 대아쟁 나일론 활. 26
〈사진 9〉 대아쟁 초상 26
〈사진 10〉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1. 28
〈사진 11〉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2. 28
〈사진 12〉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3. 29
〈사진 13〉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4. 29
〈사진 14〉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5. 30
〈사진 15〉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6. 30
〈사진 16〉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7. 31
〈사진 17〉 산조아쟁의 연주 자세 8. 31
〈사진 18〉 활의 부분 명칭. 33
〈사진 19〉 활 쓰임의 명칭 33
〈사진 20〉 검지를 뻗어서 활 잡는 방법, 옆면. 34
〈사진 21〉 검지를 뻗어서 활 잡는 방법, 윗면. 34
〈사진 22〉 엄지와 검지로 활을 움켜쥐는 방법, 옆면. 35
〈사진 23〉 엄지와 검지로 활을 움켜쥐는 방법, 윗면. 35
〈사진 24〉 산조아쟁 각 현의 음계. 45
〈사진 25〉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1-활. 46
〈사진 26〉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2-활. 48
〈사진 27〉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3-활. 50
〈사진 28〉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4-활. 51
〈사진 29〉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5-활. 53
〈사진 30〉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 6-활(1). 55
〈사진 31〉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 6-활(2). 55
〈악보 1〉 산조 조현법 38
〈악보 2〉 창작곡 조현법 39
〈악보 3〉 산조아쟁 음역 39
〈악보 4〉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1. 46
〈악보 5〉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2. 48
〈악보 6〉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3. 49
〈악보 7〉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4. 51
〈악보 8〉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5. 53
〈악보 9〉 아르코 스케일 연습곡6. 54
〈악보 10〉 피치카토 스케일 연습곡1. 57
〈악보 11〉 피치카토 스케일 연습곡2. 58
〈악보 12〉 피치카토 스케일 연습곡3. 60
〈악보 13〉 피치카토 스케일 연습곡4. 61
〈악보 14〉 피치카토 스케일 연습곡5. 63
〈악보 15〉 피치카토 스케일 연습곡6. 64
〈악보 16〉 개방현 연습곡, 꼭꼭숨어라 67
〈악보 17〉 개방현 연습곡, 새야새야 68
〈악보 18〉 개방현 연습곡, 아리랑 69
〈악보 19〉 개방현 연주곡, 홀로아리랑 70
〈악보 20〉 개방현 연주곡, Amaging Grace 72
〈악보 21〉 왼손 주법 '라' 연주곡, 학교종 73
〈악보 22〉 왼손 주법 '라' 연주곡, 봄나들이 74
〈악보 23〉 왼손 주법 '라'·'레' 연주곡, 똑같아요 75
〈악보 24〉 왼손 주법 '라', '레' 연주곡, 할아버지의 낡은 시계 76
〈악보 25〉 부호 표기된 연주곡, 산도깨비 반주 선율 78
〈악보 26〉 부호 표기된 연주곡, 산도깨비 선율 80
〈악보 27〉 부호 표기된 연주곡,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82
〈악보 28〉 부호 표기된 연주곡, Nella Fantasia 84
〈악보 29〉 부호 표기된 연주곡, 비익련리 86
〈악보 30〉 꺾는 부호 표기된 연주곡, 꽃날 88
〈악보 31〉 꺾는 부호 표기된 연주곡, 청춘 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the basic practice of Sanjo-Ajaeng in elementary school Gugak Orchestra. The direction of teaching learning research is presented in two ways: a theoretical process that allows learners to perceive the underlying theory of Ajaeng and a practical process that allows learners to actively play musical instruments. The theoretical process consisted of Ajaeng's origin, structure and name of the instrument, Ajaeng's playing posture, bow usage, and instrument management methods to recognize the history of Ajaeng and its theoretical elements before directly dealing with Ajaeng. The practice process was composed of elements for directly handling the instrument such as how to tune the instrument, tuning method, basic codes and music terms of Sanjo-Ajaeng, performance technique, and practice songs & instrumental songs.
For the elementary Gugak orchestra, the current pieces of Gugak orchestra are a lot used including the tonality of Eb key and Ab key, which is perceived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Based on this, the tuning methods for creative songs were presented. Also, the performance technique and music terms of Sanjo-Ajaeng were presented, so the individual skills could be enhanced based o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bility. The scale practice piece was produced by this researcher himself and focused on step-by-step learning skills. In addition, two pieces that students want to play themselves were included in the survey, referring to the answers.
In music, the instrument performance is a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to develop artistic sensitivity and aesthetic discernment, and also to communicate mutually. Through the activity of directly performing instruments and delivering the sensitivity of the performance to others in sound, the learners could perform the creative self-directed learning, and also get to know the deep sensitivity.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 study of instructor Sanjo-Ajaeng will help guide and play practice pieces step by step based on Ajaeng's basic education, and that the activation of Gugak education will further develop and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nurturing younger student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