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4
1. 서론 17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7
1.1.1. 연구 배경 17
1.1.2. 연구 목적 19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0
1.2.1. 연구 범위 20
1.2.2. 연구 방법 22
1.3. 선행연구 23
1.3.1. 중국 전통민가 보존 활용의 발전 실태 23
1.3.2. 전통 건축 보존 및 활용에 관련 연구 24
1.3.3. 쑤저우 전통 민가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연구 26
1.4. 연구 흐름도 29
2. 한·중 연구 사례 분석 및 쑤저우 전통 민가 관련 이론 고찰 30
2.1. 관련 개념 30
2.1.1. 쑤저우 전통 민가 30
2.1.2. 문화재 보호단위 32
2.1.3. 보호 건축 32
2.1.4. 보존 및 활용 33
2.2. 한·중 연구 사례 분석 33
2.2.1. 한국 사례 33
2.2.2. 중국 사례 47
2.2.3. 소결론 51
2.3. 쑤저우 전통민가의 성립 배경 53
2.3.1. 자연생태와 경제 환경 54
2.3.2. 장인 제도와 기예의 존속 70
2.3.3. 사회 관념과 이데올로기의 영향 78
3. 쑤저우 전통 민가의 현황 90
3.1. 쑤저우 전통 민가의 특성 90
3.1.1. 평면배치 특징 90
3.1.2. 민가건축의 공간분석(마당, 천정(天井), 대청) 105
3.1.3. 내·외부 공간의 형태 특징 (마두장, 문루, 지붕) 110
3.1.4. 민가 건축의 색채와 특성 127
3.1.5. 구조와 세부 부재 특징 130
3.2. 쑤저우 전통 민가의 가치 139
3.2.1. 역사적 가치 139
3.2.2. 예술적 가치 140
3.2.3. 문화적 가치 140
3.2.4. 기술적 가치 141
3.3. 쑤저우 전통 민가의 보존 및 활용 현황 141
3.3.1. 관련 정책 법규 141
3.3.2. 보호단위로 지정되지 않은 전통민가 개괄 145
3.3.3. 현 보존방식에 대한 사고 149
4. 쑤저우 전통 민가 보존 및 활용 방안 159
4.1. 쑤저우 전통 민가 보존 및 활용의 기본방향 159
4.1.1. 쑤저우 미래 도시 배치 발전 전략 159
4.1.2. 보존과 활용의 영향 요소 162
4.1.3. 보존과 활용의 원칙 179
4.2. 보존과 활용의 유형 181
4.2.1. 쑤저우 전통 민가의 분류 기준 181
4.2.2. 쑤저우 전통민가 보존 및 활용방안의 분류 187
4.3. 쑤저우 전통민가의 보존 및 활용방안 193
4.3.1. 진정성 193
4.3.2. 생활 특성 198
4.3.3. 신업태 보존활용 204
4.3.4. 타지역 보존활용 217
5. 결론 222
참고문헌 227
ABSTRACT 231
〈그림 2-1〉 평강도 32
〈그림 2-2〉 숭정전 평면측정도 35
〈그림 2-3〉 안채 주요입면 38
〈그림 2-4〉 건재고택의 배치도 39
〈그림 2-5〉 건재고택의 평면도 39
〈그림 2-6〉 노안당 보수 후 평면도 42
〈그림 2-7〉 노락당 보수 후 평면도 43
〈그림 2-8〉 가옥 평면도 45
〈그림 2-9〉 양반가 평면도 46
〈그림 2-10〉 도가택 마당 48
〈그림 2-11〉 도가택 실내 48
〈그림 2-12〉 부의창 48
〈그림 2-13〉 부의창 마당 48
〈그림 2-14〉 횡점 명·청나라의 궁원 49
〈그림 2-15〉 이리 영상 마을 50
〈그림 2-16〉 남목 서산동촌 경수당 장창 집게판 57
〈그림 2-17〉 홍송 서산동촌 경수당 조화창 58
〈그림 2-18〉 동산 육 골목고촌지수와 당벽돌조각 59
〈그림 2-19〉 주장명 원교 위의 석조 60
〈그림 2-20〉 동화교강 왕재마루 62
〈그림 2-21〉 평강로 64
〈그림 2-22〉 산당가 64
〈그림 2-23〉 저우좡 수항 65
〈그림 2-24〉 전통민가 외부공간관계 66
〈그림 2-25〉 서산당리 인본당 통나무 투각 걸개 76
〈그림 2-26〉 현교항 홍택평면도 80
〈그림 2-27〉 육 골목 혜화당비롱 85
〈그림 2-28〉 동리계성가옥 89
〈그림 3-1〉 일명양암 세칸식 민가 92
〈그림 3-2〉 전통 민가의 3가지 전형적인 평면배치 93
〈그림 3-3〉 유원 평면도 97
〈그림 3-4〉 망사원 평면도 97
〈그림 3-5〉 사검당 평면도 98
〈그림 3-6〉 사검당 정청 100
〈그림 3-7〉 청검당 전청 105
〈그림 3-8〉 청검당 방화벽 105
〈그림 3-9〉 홍균 고택마당 107
〈그림 3-10〉 동산 사검당 천정 107
〈그림 3-11〉 〈주역(周易)〉수괘(需卦) 112
〈그림 3-12〉 화교 골목 동루 입면 113
〈그림 3-13〉 쑤저우 人 자형 산장 115
〈그림 3-14〉 망사원 관음 두산장 116
〈그림 3-15〉 망사원 관음두 산장 117
〈그림 3-16〉 쑤저우 전통민가 벽돌 121
〈그림 3-17〉 쑤저우 벽돌의 주요 부재 형태 122
〈그림 3-18〉 전통 민가건축 용마루 형태 126
〈그림 3-19〉 민가 내·외부의 색채 이미지 128
〈그림 3-20〉 리프팅 구조와 관통 구조 비교 131
〈그림 3-21〉 원형 주춧돌 132
〈그림 3-22〉 忠王府 대문 134
〈그림 3-23〉 장창에 있는 목판화 135
〈그림 3-24〉 유원(留園)내 장창 136
〈그림 3-25〉 횡풍창 137
〈그림 3-26〉 비어 있는 고 건축물 상황 147
〈그림 3-27〉 전통 민가의 현대 생활 시설 상태 148
〈그림 3-28〉 桐芳 골목 단지 150
〈그림 3-29〉 定慧 골목 단지 150
〈그림 3-30〉 전통적인 생활방식 안내도 153
〈그림 3-31〉 현대적 생활방식 안내도 154
〈그림 3-32〉 東花橋 단지 汪씨 주택 상태 157
〈그림 4-1〉 평강 게이트하우스 164
〈그림 4-2〉 상하이 스쿠먼 신천지 165
〈그림 4-3〉 장쑤성 문화재 보호 비석 (潘世恩 가옥 ) 166
〈그림 4-4〉 王曉慧 예술관 북문 입면 168
〈그림 4-5〉 鈕家 골목의 옛 모습 171
〈그림 4-6〉 문화재 보호규칙에 기초한 쑤저우 전통민가의 분류 185
〈그림 4-7〉 현재 문재 및 대책에 따른 쑤저우 전통 민가 분류 186
〈그림 4-8〉 보존 및 활용방안 유형의 구분 기준 188
〈그림 4-9〉 山塘거리 玉涵堂 건물의 효과도 195
〈그림 4-10〉 大石頭 골목 24번지 秦씨 주택 효과도 197
〈그림 4-11〉 大石頭 골목 24번지 秦씨 주택 평면도 197
〈그림 4-12〉 지봉 및 기둥 사이에 고정 강화 작업 199
〈그림 4-13〉 콘크리트 재료로 교체함 199
〈그림 4-14〉 전통 민가의 소화전 200
〈그림 4-15〉 지붕 자동 스프링클러 시스템 200
〈그림 4-16〉 옛 벽돌로 창문을 만드는 사례 201
〈그림 4-17〉 花間堂 호텔 창문 형태 202
〈그림 4-18〉 평강 게스트하우스 객실 창문의 적용 형태 203
〈그림 4-19〉 董씨 義莊 남쪽에 보존하는 건물의 효과도 205
〈그림 4-20〉 새로운 업태에 따라 개조한 건물 외관 207
〈그림 4-21〉 鮑傳德莊祠 리모델링 전 208
〈그림 4-22〉 鮑傳德莊祠 리모델링 후 208
〈그림 4-23〉 鮑傳德莊祠 리모델링 디자인 총 평면도 208
〈그림 4-24〉 花間堂 기능별 효과도 209
〈그림 4-25〉 리모델링 후 지붕 구조 210
〈그림 4-26〉 내부공간의 리모델링 전 후 대비 211
〈그림 4-27〉 쑤저우 평강 게스트하우스 실내 진열 212
〈그림 4-28〉 花間堂 호텔 레스토랑 212
〈그림 4-29〉 丁씨 가옥의 기존마당 213
〈그림 4-30〉 리모델링 후의 마당 213
〈그림 4-31〉 丁씨 주택의 마당 214
〈그림 4-32〉 스테인리스 연꽃 214
〈그림 4-33〉 王曉慧 예술관 마당 유리천장 215
〈그림 4-34〉 潘씨 주택 1층 평면도 215
〈그림 4-35〉 王曉慧 예술관 주간효과 216
〈그림 4-36〉 王曉慧 예술관 마당 조명효과도 216
〈그림 4-37〉 花間堂 남쪽 마당 주간효과 216
〈그림 4-38〉 花間堂 남쪽 마당 조명효과도 216
〈그림 4-39〉 花間堂 중로 마당 주간효과 216
〈그림 4-40〉 花間堂 중로 마당 조명효과도 216
〈그림 4-41〉 丁씨 주택 새 위치도 221
〈그림 4-42〉 丁씨 주택 공사 전 장소 221
〈그림 4-43〉 丁씨 주택의 옛 모습 221
〈그림 4-44〉 丁씨 주택 공사 후 효과도 221
쑤저우는 중국의 유명한 역사 문화 도시이다. 쑤저우 전통 민가 건축은 중국 민가 건축 유산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대량의 문화재 보호 단체와 관리 보장 건축물이 도시 구석구석에 위치해 있다. 근래 전통 민가 건축은 잇따라 보호와 개발을 받았으나 수량이 많고 분산되어 있는 특징 때문에 부분 전통 민가는 오랫동안 수리를 받지 못한 채 소실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쑤저우 도시 발전 갱신 과정 중 대량으로 현존하는 전통 민가 건축이며, 연구의 목적은 국정과 쑤저우에 맞고 경제 발전 규칙에 부합하며 포스트 공업 시대의 도시 발전 상황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쑤저우 전통 민가 건축의 보호 및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 보호 및 개조 과정 속의 전략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대량의 보호 단위에 포함되지 않은 많은 전통 민가가 직면한 새로운 문제에 대한 실현 가능한 보존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현재 중국 도시 전체의 상태는 여전히 공업화 중간 단계에 있지만 쑤저우는 경제 발전이 비교적 빠른 주요 도시로서 도시 갱신 진행 과정의 충격으로 사회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미 점차 포스트 공업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 과정 중에서 어떻게 더 많은 전통 민가 건축으로 하여금 알맞은 보존과 활용을 얻고 도시 발전의 흔적을 보류하며 도시 발전의 문맥을 이어나가게 할 것인지는 이미 중국 문화유산 보호 사업 중에서 중요하고 긴박한 연구 과제가 되었다. 특히 구도시의 개조 및 도시 갱신과 함께 전통 민가 건축 보호와 활용의 의의 및 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며, 비록 이미 대량의 실천 프로그램과 운영 경험이 축적되었지만 여전히 이를 지도할 수 있는 완전한 이론 체계가 부족한 상황이다.
민가는 물질적 매개체로서 인간과 사회 환경, 자연환경 등 각종 요소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는다. 본 논문은 문헌 열람과 현장 조사에 기반을 두어 이미 완공되거나 부분적으로 복구되고 있는 민가 공사 프로젝트에 대해 현장 방문과 전면적인 조사 및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비교 방법을 통해 다른 국가 혹은 도시의 관련 성공 사례의 경험을 총결집하여 쑤저우 전통 민가에 더 실용적인 보존 및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 다음, 실측법을 이용해 전형적인 전통 민가에 대해 현장에서 측량 및 기록을 진행하며 모형을 만들어 원형을 재현하고 민가의 전형적인 배치형태, 스타일 특징을 분석한다. 또한 거시적인 민가 외부 공간 형태에서부터 중관적인 건축 색채, 미시적인 전형적 구조물의 특징까지 전통 민가 건축의 큰 나무틀과 그 조성 공예, 장식 예술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다. 실천 및 이론의 기초 위에서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법을 채택해 실제로 전통 민가 속에 들어가 쑤저우 주민과 교류하고 직접 전통 민가의 주거생존환경을 체험하며 생활상을 촬영하고 현재 민가의 보존 현황을 총정리하여 문제점들을 발견하고, 역사 문화, 예술 및 미학, 과학 기술과 공예, 사회 등 방면에서 쑤저우 전통 민가 보존의 가치와 민가 활용 방안 간의 내부적 관계 그리고 기본적 방향에 대해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전통 민가 보존 활용의 몇 가지 분류 방식을 종합적으로 비교하고 현지 전통 민가의 현실 상황과 결합하여 쑤저우 전통 민가에 적용되는 분류 방식 및 유형 구분에 대해 분석한다. 4가지 유형의 새로운 분류 방식을 제시하였으며, 쑤저우 전통 민가 분류 보존 및 활용에 적용되는 새로운 형식을 다시 구축하여 '진정성 보존 활용', '생활성 보존 활용', '신업태 보존 활용'과 '타 지역 보존 활용'의 네 가지 보존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쑤저우 전통 민가 건축의 보존 및 활용이 쑤저우 전통 문화 보호와 도시 건설에 주는 중요한 의의를 논증하였고 미래 중국 주요도시의 민가 건축 유산의 활용 방안에 있어 활용성과 일반화를 좀 더 갖춘 경험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와 탐색이 중국 민가 유산, 특히 전통 생활과 공간의 보호 및 최적화에 의견과 건의를 제공하여 신 농촌의 건설 및 도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