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요약
목차
I. 서론 9
1. 연구 동기와 연구 목적 9
2.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11
3. 연구사 검토 12
II. 예비적 고찰 : 영웅서사 속 여성 인물 유형 17
1. 사조영웅전(射雕英雄傳) 21
가. 영웅 - 곽정(郭靖) 22
나. 정신적 스승(현로) - 이평(李萍), 한소영(韓小瑩) 24
다. 관문 수호자 - 영고(瑛姑) 26
라. 전령관- 한소영(韓小瑩) 28
마. 변신자재자 - 화쟁(華箏) 29
바. 그림자 - 매초풍(梅超風) 30
사. 협력자 - 황용(黃蓉), 포석약(包惜弱), 목염자(穆念慈), 정요가(程瑤迦), 손불이(孫不二), 한소영(韓小瑩), 화쟁(華箏) 31
아. 장난꾸러기/익살꾼 - 곡낭자(曲娘子) 37
2. 신조협려(神鵰俠侶) 38
가. 영웅 - 양과(楊過) 39
나. 정신적 스승(현로) - 소용녀(小龍女) 41
다. 관문 수호자 - 영고(瑛姑) 43
라. 전령관 - 손 노파(孫老婆) 44
마. 변신자재자 - 곽부(郭芙) 45
바. 그림자 - 이막수(李莫愁), 홍능파(洪凌波), 구천척(裘千尺) 46
사. 협력자 - 곽양(郭襄), 황용(黃蓉), 육무쌍(陸無雙), 정영(程英), 공손녹악(公孫綠萼), 소용녀(小龍女), 손 노파(孫老婆), 곽부(郭芙) 48
아. 장난꾸러기/익살꾼 - 곡낭자(曲娘子) 54
3. 의천도룡기(倚天屠龍記) 55
가. 영웅 - 장무기(張無忌) 57
나. 정신적 스승(현로) - 은소소(殷素素) 59
다. 관문 수호자 - 왕난고(王難姑) 60
라. 전령관- 기효부(紀曉芙) 61
마. 변신자재자 - 주지약(周芷若) 62
마. 그림자 - 멸절사태(滅絶師太), 반숙한(班淑嫻), 금화파파(金花婆婆), 정민군(丁敏君) 64
바. 협력자 - 조민(趙敏), 아리(阿離), 아소(阿昭), 황삼여인(黃杉女人), 양불회(楊不悔), 기효부(紀曉芙), 주지약(周芷若), 사홍석(史紅石) 69
아. 장난꾸러기/익살꾼 - 사홍석(史紅石) 74
III. 협력자 : 남성 주인공과의 애정 관계를 중심으로 77
1. 순정(純情) :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은 사랑 78
가. 황용(黃蓉) 78
나. 화쟁(華箏) 83
다. 정요가(程瑤迦) 87
2. 격정(激情) : 목숨을 던지는 희생적 사랑 89
가. 소용녀(小龍女) 90
나. 곽양(郭襄) 93
다. 육무쌍(陸無雙) 96
라. 정영(程英) 98
마. 공손녹악(公孫綠萼) 100
바. 곽부(郭芙) 103
3. 온정(溫情) : 연민에서 시작된 애틋한 사랑 105
가. 조민(趙敏) 106
나. 아리(阿離) 111
다. 아소(阿昭) 115
라. 주지약(周芷若) 119
IV. 주인공 - 역할 부여자로서의 면모를 중심으로 126
1. 황용(黃蓉): 기존 질서의 수용과 남성 주인공을 통한 과업 수행 128
가. 남장변복 모티프 128
나. 유교적 이데올로기와 여성의식 131
다. 역할 부여자 양상 132
2. 소용녀(小龍女): 세상과의 단절과 과업의 부재 134
가. 남장변복 모티프 134
나. 유교적 이데올로기와 여성의식 135
다. 역할 부여자 양상 137
3. 조민(趙敏): 입신양명 욕망과 남성 주인공을 통한 대리만족 137
가. 남장변복 모티프 138
나. 유교적 이데올로기와 여성의식 140
다. 역할 부여자 양상 141
V. 결론 및 제언 145
참고문헌 148
ABSTRACT 151
작가 김용은 1924년에 태어나 2018년 향년 94세로 사망했다. 그는 1955년에서 1970년까지 15년간 작품 생활을 했고 총 15편의 작품을 남겼다. 대다수의 작품은 신문연재 형태로 발표되었으며 당시 '김용 신드롬' 이라 불릴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가 첫 작품을 발표한지 60년 이상이 지난 지금도 그의 작품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저자는 중국에서 생활하면서 김용의 영향력을 실감하고 김용 작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동 연구는 김용 작품 속 영웅으로 불리는 인물은 왜 모두 남성일까, 여성 인물은 왜 남성 주인공의 보조적 역할만 하는걸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동 연구를 통해 여성 인물들이 작품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그 역할의 의미와 의의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김용의 초기 작품인 『사조영웅전』, 『신조협려』, 『의천도룡기』이 세 작품을 합쳐 『사조삼부곡』이라 부른다. 본고는 그의 15편 작품 중 『사조삼부곡』의 세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에서 김용의 작품은 『영웅문』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소개되었다. 1985년 당시 고려원에서 출판되었는데 정식 판권 출판물은 아니었다. 이후 2003년 김영사에서 김용과 정식 판권 계약을 하고 세 작품, 총 24권의 책을 순차적으로 출간하였다. 본고는 김영사가 출판한 한글 번역본 『사조삼부곡』을 기본 자료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의 II장에서는 『사조삼부곡』이 영웅서사시의 성격을 다분히 띠고 있다고 보고 예비적 고찰의 의미로 각 작품의 줄거리를 간단히 소개하는 한편 작품에 등장하는 전체 여성 인물들을 보글러의 영웅서사에 등장하는 8개 인물 유형을 기준으로 분류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후기 작품으로 갈 수록 여성 인물이 점점 많아지고 무협소설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정신적 스승과 그림자에 해당하는 여성 인물들은 상대적으로 적으며 반대로 가장 많은 수의 인물들이 협력자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협력자는 단순 조력자도 있지만 다수가 남성 주인공과 애정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III장에서는 협력자 중 남성 주인공과 애정 관계에 있는 인물로 범위를 좁혀 이들의 관계 양상 및 사랑에 대한 가치관을 분석하였다. 『사조영웅전』에는 3명의 여성 인물이 곽정과 애정 관계에 있고 순수하고 시종일관 변하지 않는 순정의 애정 양상을 보인다. 『신조협려』에는 총 6명의 여성 인물이 양과와 애정 관계에 있고 이들은 생사와 예교, 시간을 뛰어넘는 격정의 애정 양상을 보인다. 『의천도룡기』에는 총 4명의 여성 인물이 장무기와 애정 관계에 있고 이들을 연민을 바탕으로 한 온정의 애정 양상을 보여 주었다.
본고의 IV장은 다시 분석의 범위를 좁혀 이들 애정 관계에 있는 여성 인물 중 남성 주인공이 최종 선택한 대상 즉 여성 주인공을 역할 부여자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이 여성 영웅이라는 가정하에 이들이 자신의 과업을 수행하는 변천의 방식으로 남성 주인공에게 역할을 부여하는 양상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여성 주인공들에게 남장변복 모티프가 나타나는 지그리고 그녀들이 유교적 이데올로기와 여성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또 그것이 역할 부여자의 양상으로 연결되는지 살펴보았다. 황용과 조민에게는 남장변복 모티프와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찾아 볼 수 있었으며 그것이 역할부여 양상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조삼부곡』의 시대적 배경 및 집필 시기를 고려했을 때 작품 속 여성 인물들이 상대적으로 남성 주인공의 보조적 인물로 그려지는 것은 작품의 태생적인 한계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 인물들의 역할을 다양한 층위로 심도있게 살펴볼 수 있었던 것은 동 연구의 의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김용 무협소설의 여성 인물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주인공과의 애정 관계와 그 양상은 작품을 더 재미있고 역동적으로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 주인공들은 남성 주인공의 최대 협력자이자 배우자로써 그들이 영웅으로 성장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