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0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3

II. 본론 15

1. 서도선법의 개념 및 용례 15

2. 허튼타령 아쟁선율분석 18

1) 느린허튼타령 18

2) 중허튼타령 28

3) 잦은허튼타령 36

3. 경기대풍류의 아쟁조현법 43

1) 연주자별 아쟁조현법 43

2) 경기대풍류의 조성에 따른 아쟁조현법 45

III. 결론 48

참고문헌 50

Abstract 52

부록악보 54

〈부록악보1〉 느린허튼타령 54

〈부록악보2〉 중허튼타령 55

〈부록악보3〉 잦은허튼타령 57

표목차

〈표 1〉 느린허튼타령의 종지형과 단락 18

〈표 2〉 느린허튼타령 제 1단락의 리듬형태 21

〈표 3〉 느린허튼타령 제 2단락의 리듬형태 23

〈표 4〉 느린허튼타령 제 3단락의 리듬형태 26

〈표 5〉 느린허튼타령 아쟁선율 분석 27

〈표 6〉 중허튼타령의 종지형과 단락 28

〈표 7〉 중허튼타령 제 1단락의 리듬형태 31

〈표 8〉 중허튼타령 제 2단락의 리듬형태 34

〈표 9〉 중허튼타령 아쟁선율 분석 35

〈표 10〉 잦은허튼타령의 종지형과 단락 36

〈표 11〉 잦은허튼타령 제 1 단락의 리듬형태 38

〈표 12〉 잦은허튼타령 제 2단락의 리듬형태 41

〈표 13〉 잦은허튼타령 아쟁선율 분석 41

〈표 14〉 허튼타령의 아쟁선율 분석 42

〈표 15〉 연구자가 제시하는 경기대풍류 아쟁조현법 47

보례목차

〈보례 1〉 서도민요의 선법구조 16

〈보례 2〉 느린허튼타령 제 1-4마디 19

〈보례 3〉 느린허튼타령 제 1단락의 음조직 19

〈보례 4〉 느린허튼타령 제 1단락의 선법 20

〈보례 5〉 느린허튼타령 제 5-8마디 21

〈보례 6〉 느린허튼타령 제 2단락의 음조직 22

〈보례 7〉 느린 허튼타령 제 2단락의 선법 22

〈보례 8〉 느린허튼타령 제 9-12마디 24

〈보례 9〉 느린허튼타령 제 3단락의 음조직 24

〈보례 10〉 느린허튼타령 제 3단락의 선법 25

〈보례 11〉 중허튼타령 제 1-12마디 28

〈보례 12〉 중허튼타령 제 1단락의 음조직 29

〈보례 13〉 중허튼타령 제 1단락의 선법 30

〈보례 14〉 중허튼타령 제 13- 24마디 32

〈보례 15〉 중허튼타령 제 2단락의 음조직 33

〈보례 16〉 중허튼타령 제 2단락의 선법 34

〈보례 17〉 잦은허튼타령 제 1마디-12마디 36

〈보례 18〉 잦은허튼타령 제 1단락의 음조직 37

〈보례 19〉 잦은허튼타령 제 1단락의 선법 38

〈보례 20〉 잦은허튼타령 제 13마디- 24마디 39

〈보례 21〉 잦은허튼타령 제 2단락의 음조직 40

〈보례 22〉 잦은허튼타령 제 2단락의 선법 41

초록보기

경기대풍류에서 아쟁이 편성되어 연주되기 시작한 시기는 1960년대 후반으로, 현재 아쟁은 활대를 사용하거나 줄을 뜯는 연주기법을 사용하며 경기대풍류 선율에 풍부함을 더하는 중요한 악기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학술적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며, 타 악기와의 선율 비교분석이 주를 이룬다. 앞서 발표된 선행연구 두 편에서는 경기대풍류의 악곡 중에서 특히 허튼타령(느린·중·잦은)에서 아쟁이 타 악기의 선율을 차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선율로 연주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어떠한 구조로 독자적인 선율양상을 보이는 지에 대한 분석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독자적으로 구성된 허튼타령 아쟁선율의 음악적 특징을 학문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주자별로 상이한 경기대풍류의 아쟁조현법에 대해 조사하고 합리적인 조현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허튼타령의 아쟁선율을 종지형태에 따라 단락별로 구분하여 음조직, 선법, 시김새, 리듬의 순서로 분석하였고, 경기대풍류에서 쓰이는 아쟁조현법을 조사하여 각 조성에 따른 효과적인 조현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허튼타령은 '라'음이 주음인 라음계(라·도·레·미·솔)로 구성되어있으며, '레'음과 '솔'음은 격하게 떠는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주음인 '라'음에서 '미'음으로 5도 상행 하는 선율진행이 다수 나타났는데, 이러한 양상들은 서도선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로, 허튼타령은 라음계로 구성된 서도선법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허튼타령 아쟁선율의 리듬형은 느린허튼타령 7개, 중허튼타령 4개, 잦은허튼타령 2개로 나타났으며, 곡의 빠르기가 속해짐에 따라 리듬형도 점차 단순해지는 형태로 나타났다.

세 번째, 경기대풍류의 아쟁조현법은 지영희조현법, 한일섭조현법, 김영재조현법, 김무경조현법, 김영길조현법으로 총 5개의 조현법이 조사되었다. 경기대 풍류의 9곡 중 '솔선법'과 '라선법'으로 구성된 긴염불, 반염불, 삼현타령, 허튼타령, 굿거리, 잦은굿거리는 '한일섭조현법'으로 연주하고, '도선법'으로 구성된 당악은 '김영재조현법'으로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인 조현법이라 판단된다.

허튼타령이라는 곡은 본래 고정된 선율로 연주하던 곡이 아니었기 때문에 다양한 해석과 조현법이 구사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현재 아쟁을 배우는 후학들에게서 혼선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허튼타령의 학문적 규명이 처음으로 시도된 만큼 향후 허튼타령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고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아쟁연주자들의 서도선법 연주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는 학문적 바탕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