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 제기 11

제2절 연구의 목적 13

제3절 연구의 방법 14

제4절 연구의 구성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6

제1절 항공서비스학과 16

1. 항공서비스학과의 개념 16

2. 항공서비스학과의 현황 17

3. 항공서비스학과의 선행연구 24

제2절 교육서비스품질 만족 27

1. 교육서비스품질 만족 개념 27

2. 교육서비스품질 만족 요인 29

3. 항공서비스학과 교육서비스교육품질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31

제3절 항공업진출의도 34

1. 항공업진출의도의 개념 34

제3장 연구 설계 37

제1절 연구 모형 및 가설 37

1. 연구 모형 37

제2절 연구가설의 설정 38

1. 교육서비스품질 만족과 항공업진출의도에 관한 연구 38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40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40

제4절 조사 설계 및 분석방법 42

1. 조사 설계 42

2. 설문지구성 43

3. 분석방법 45

제4장 결과 분석 46

제1절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46

제2절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 47

1. 교육서비스품질 만족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47

2. 항공업진출의도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52

3.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 53

제3절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 54

1.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이 지각한 교육서비스품질이 항공업진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55

제5장 결론 59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59

1. 연구결과의 요약 59

2. 연구의 시사점 61

제2절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연구방향 62

참고문헌 64

설문지 70

Abstract 75

〈표 2-1〉 항공서비스관련학과 개설 현황 19

〈표 2-2〉 항공서비스학과 교육과정 분석 26

〈표 2-3〉 교육서비스품질 만족 구성요인 30

〈표 2-4〉 항공서비스학과 교육서비스품질의 개념 34

〈표 3-1〉 조사 설계 42

〈표 3-2〉 설문지 구성 44

〈표 3-3〉 분석 방법 45

〈표 4-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46

〈표 4-2〉 교수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8

〈표 4-3〉 교육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9

〈표 4-4〉 물리적환경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0

〈표 4-5〉 취업지원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1

〈표 4-6〉 학과운영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2

〈표 4-7〉 항공업진출의도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3

〈표 4-8〉 주요 연구변수들의 기술통계량 54

〈표 4-9〉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이 지각한 교육서비스품질 만족이 항공업진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56

〈표 4-10〉 항공서비스학과 2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육서비스품질 만족이 항공업진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58

〈표 4-11〉 항공서비스학과 1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육서비스품질 만족이 항공업진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58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5

〈그림 3-1〉 연구모형 37

초록보기

 급속한 항공산업의 성장에 더불어 항공업에 진출 할 전문인력양성을 목표로 하는 항공서비스학과는 객실승무원의 직업적 선호도 상승과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입시생들의 인기학과로 급부상해오며 지대한 양적성장을 이루어왔다. 하지만 1977년 첫 항공서비스학과가 개설된 이래로 수많은 항공서비스관련학과가 경쟁적으로 개설되며 학과운영에 체계성을 갖추지 못하며 항공업으로의 취업률이 저조하게 되었고 교육서비스품질만족도의 개선 및 전공분야로의 취업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이 필요해졌다. 그리하여 본연구는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이 지각한 교육서비스품질의 만족과 항공업진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 조사대상은 전국의 항공서비스학과에 재학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기법을 이용한 자기기입방식을 통해 300부를 배포·회수하여 연구에 적절하지 않은 34부를 제외한 총 266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방법을 통해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이 지각한 교육서비스품질만족요인 중 교수요인 및 물리적환경요인이 항공업진출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서비스학과 2학년의 경우는 항공업진출의도에 영향을 주었던 교수요인만이 항공업진출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항공서비스학과 2학년들에게는 물리적환경요인이 항공분야로의 진출의지를 높이는데 큰 의미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항공서비스학과 1학년 학생의 경우 항공업진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던 교수요인과 물리적환경요인의 만족도가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1학년 학생들이 교육서비스품질 만족요인에 대한 만족도로 인해 항공업으로 진출하려는 의도가 2학년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들의 항공업진출의도를 높여 전공분야로의 취업의지를 고취시키며 학과운영에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하고, 항공서비스학과 뿐만 다양한 전공분야의 취업진출의도를 높이는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