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0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0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1.3. 선행 연구 검토 12
1.3.1. 한국어 듣기 교육에 관한 연구 12
1.3.2. 한국어 듣기 교육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14
2. 한국어 듣기 자료의 특성과 실제성 18
2.1. 한국어 듣기 교육과 구어의 특성 18
2.2. 한국어 듣기 자료의 특성 및 유형 21
2.3. 듣기 자료의 실제성 25
2.3.1. 실제성의 개념 및 특성 25
2.3.2. 한국어 듣기 자료의 실제성 논의 및 실제성 요소 26
3. 한국어 듣기 교재의 실제성 분석 방법 및 절차 32
3.1. 분석 교재 32
3.2. 분석 기준 및 분석 방법 33
1) 음운적 요소 34
2) 통사적 요소 35
3) 어휘적 요소 37
4) 담화 요소 37
5) 듣기 내용 38
4. 한국어 듣기 교재의 실제성 분석 결과 및 논의 39
4.1. 초급 교재 분석 결과 39
4.1.1. 〈서강 한국어〉 초급 교재 39
4.1.2. 〈이화 한국어〉 초급 47
4.2. 중급 교재 분석 결과 56
4.2.1. 〈서강 한국어〉 중급 교재 56
4.2.2. 〈이화 한국어〉 중급 교재 66
4.3. 고급 교재 분석 결과 75
1) 음운적 요소 76
2) 통사적 요소 77
3) 어휘적 요소 79
4) 담화 요소 80
5) 듣기 내용 81
4.4. 교재 분석 결과 및 제안 83
5. 결론 86
참고문헌 88
Abstract 93
〈그림 1〉 Brown(1994) 듣기 자료의 유형 2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효과적인 듣기 교육을 위하여 한국어 통합 교재 자료의 실제성 정도를 분석하고 향후 듣기 교재 개발에 시사점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실제성은 수업 중에 행해지는 여러 활동, 과제, 자료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실제 담화 상황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으로 실제성이 있는 듣기 자료로 교육할 때 학습자는 실제 상황에서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대화할 수 있다. 이때 듣기 교육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것이 바로 교실에서 사용되는 듣기 교재이다. 듣기 교재는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가 접촉할 수 있는 단일적인 언어 매개이고 연습용 도구이며 듣기 이론과 듣기 교육을 실제로 어떻게 실행하고 진행하는지를 반영한다. 그러므로 듣기 교육에서 실제성 있는 자료는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듣기 교육에서 실제성 있는 자료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 교재의 내 듣기 자료에 실제성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듣기 자료의 실제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듣기 교육과 실제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한국어 듣기 교재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한국어 듣기 교육과 구어의 특성, 한국어 듣기 자료의 특성 및 유형, 듣기의 실제성에 관한 이론을 통하여 연구의 분석 기준과 틀을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교재 선정 기준과 목록을 제시하고 분석 기준과 연구 방법을 밝혔다. 듣기 자료의 실제성 분석 기준은 크게 언어적 요소에 해당되는 음운적 요소, 통사적 요소, 어휘적 요소로, 음운적 요소는 음운 축약, 음운 탈락, 음운 첨가로 세분화되고 통사적 요소는 성분 생략, 조각문, 반복으로 어휘적 요소는 유행어, 비속어, 은어로 세분화된다. 담화적 요소는 머뭇거림, 중복, 담화 표지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듣기 내용은 유형과 장면으로 나누었다.
4장에서는 각각의 분석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제시하고 듣기 자료의 실제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듣기 교육에서 자료의 실제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사용되는 듣기 교재 내 듣기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급, 중급, 고급의 한국어 통합 교재 내 듣기 자료에 반영되어 있는 실제성을 분석함으로써 실제성 있는 듣기 자료를 포함한 듣기 교재의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