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8

2. 연구의 목적 10

3. 선행연구의 검토 11

1) 대한축구협회(1986), 韓國蹴球百年史, 도서출판 라사라 11

2) 강준만 (2006), 축구는 한국이다-한국 축구 124년사, 인물과 사상 12

4. 연구의 과제 13

5. 연구의 방법 14

Ⅱ. 축구의 역사와 대한민국의 축구 도입 15

1. 축구의 역사 15

2. 대한민국의 축구 도입 19

Ⅲ. 조선축구협회의 설립과 조직 23

1. 조선축구협회의 설립 23

1) 설립 배경 23

2) 설립 26

2. 조선축구협회의 조직 28

Ⅳ. 조선축구협회의 활동 34

1. 3도시대항축구대회 34

2. 전(全)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40

3. 전(全) 조선축구선수권대회 55

4. 전(全) 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 64

Ⅴ. 결론 및 제언 75

1. 결론 75

2. 제언 77

참고문헌 78

부록 86

1) 남자 월드컵 대표팀 성적 86

2) 남자 올림픽 대표팀 성적 87

3) 남자 아시안컵 대표팀 성적 88

4) U-20 남자 월드컵 대표팀 성적 88

5) 여자 월드컵 대표팀 성적 89

6) 여자 아시안게임 대표팀 성적 90

7) U-17 여자 월드컵 대표 팀 성적 90

8) 제2회 전(全)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대회 규정 및 경기 결과 91

9) 제3회 전(全)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대회 규정 및 경기 결과 92

10) 제4회 전(全)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대회 기록 93

11) 제5회 전(全)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대회 기록 93

12) 전(全) 조선축구선수권대회 경기 기록 94

13) 제 20회 전(全) 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 대회 규정 및 경기 기록 95

국문초록 96

Abstract 99

표목차

〈표 1〉 문헌자료 목록 14

〈표 2〉 조선아식축구심판협회 회원명단 24

〈표 3〉 조선축구협회 역대 집행부 명단 28

〈표 4〉 3도시대항축구대회 경기기록 39

〈표 5〉 제1회 전(全)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대회 규정 및 경기 결과 43

〈표 6〉 제19회 전(全) 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 대회 규정 및 경기 기록 66

〈표 7〉 제21회 전(全) 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 경기 기록 72

그림목차

〈그림 1〉 구한말 무렵 축구를 하는 사람들의 모습 20

〈그림 2〉 황성기독교청년회 팀과 대한체육구락부 선수들 21

〈그림 3〉 조선축구협회 임원들 33

〈그림 4〉 1938년 제1회 3도시대항축구대회 우승팀 함흥축구단 36

〈그림 5〉 제1회 전(全)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우승기와 우승배 수여식 하는 경성군 45

〈그림 6〉 제4회 전(全) 조선축구선수권대회 우승팀 연희전문 선수단 60

〈그림 7〉 제6회 전(全) 조선축구선수권대회 경기 사진 63

〈그림 8〉 제20회 우승팀 조선철도국(위), 중동중학(아래) 선수들 71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조선축구협회의 설립과 활동이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한축구협회 자료, 대한체육회 잡지, 신문, 단행본, 사진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축구의 역사, 대한민국의 축구 도입과 역사, 조선축구협회의 설립, 조직 및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한민국의 과거 역사 속에는 지금의 축구와 비슷한 '축국(蹴鞠)'이란 형태의 공놀이가 있었으며, 근대 축구가 도입된 시기는 1882년(고종 19년)경으로 인천 제물포에 정박한 영국 군함 플라잉 피시호 승무원들에 의해 최초로 근대 축구가 대한민국에 도입되었다. 근대 축구가 체계적으로 보급되기 시작된 배경을 살펴보면 1904년 외국어학교에서 초빙한 외국인 프랑스 교사 마텔(Marrtel)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축구공을 가지고 와서 학생들에게 축구를 지도하면서 부터였다. 1928년 축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축구 관련 첫 번째 단체인 조선아식축구심판협회가 탄생하여 축구 경기 규칙을 담당하게 되었다. 1933년에는 축구통일기관의 설립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축구인들이 뜻을 모아 조선축구협회를 창립하였고 협회의 창립을 통해 축구의 발전 및 성장이 이루어졌다.

둘째, 조선축구협회의 조직은 1933년 창립 당시 회장 1명, 부회장 1명, 이사 8명 총 10명의 임원으로 구성되었는데 1대 집행부는 협회를 창설 후 정식적인 모임 한 번 갖지 못하고 회장이 사의를 표함으로써 새로운 집행부로 교체했다. 2대 집행부는 여운형 회장을 필두로 대외 경기 주선 및 전 조선축구선수권대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통해 조선축구협회가 축구 단체로 자리를 굳히는 데 힘을 쏟았다. 3대 집행부는 조선체육회가 해체되어 전국규모의 전 조선종합경기대회가 사라지게 될 위기에서 축구 단일 종목으로 인계받아 대회를 지속시켰으며, 대외적으로 조선축구협회의 존재감을 알리는 데 일조하였다. 일제는 지속적으로 조선축구협회를 압박해 왔음에도 축구 활동을 멈출 수 없다는 일념 하에 제4대 집행부를 구성하였지만 일제의 강제 해산 명령에 의해 모든 축구대회가 중단됨에 따라 이에 불복하기 위하여 자진 해산을 결정하였다.

셋째, 조선축구협회는 대회 운영과 관리, 경기 규칙 제정 등의 활동을 통해 축구의 활성화와 보급화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일본축구협회와 지속적으로 교류하여 일제 시책에 협조하는 듯한 위장 전술을 펼치며 일제의 압박 속에서 협회를 오랫동안 존속시키며 3도시대항축구대회, 전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전 조선축구선수권대회, 전 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 등을 주최 및 주관하여 해방 후 대한민국 축구 발전과 대한축구협회 창립에 밑거름이 되어주었다. 또한 조선축구협회 주선으로 일본 대회에 참가했던 조선 축구팀들이 일본팀과의 대결에서 승전보를 전하며 많은 국민에게 일본을 제압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독립운동의 희망을 전해주었다. 조선축구협회는 축구라는 스포츠 경기로 인하여 많은 국민들에게 나라를 빼앗긴 고통 속에서도 즐거움을 안겨 주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일제강점기 조선축구협회의 설립과 활동은 대한민국에서 축구가 도입 및 보급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조선축구협회의 설립 이전에 많은 축구팀이 탄생하고 대회가 진행되었지만, 축구 통일 기관의 부재로 인하여 관리와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조선축구협회가 창립됨으로써 대회 운영과 관리, 경기 규칙 제정 등의 활동을 통해 축구 활성화와 보급화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일본축구협회와 지속적으로 교류하여 일제 시책에 협조하는 듯한 위장 전술을 펼치며 일제의 압박 속에서도 협회를 오랫동안 유지 시켜가며 3도시대항축구대회, 전 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 전 조선축구선수권대회, 전 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 등을 주최 및 주관하여 해방 후 대한민국 축구 발전과 대한축구협회 창립에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상과 같이 조선축구협회는 일제강점기 근대 축구를 널리 보편화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해 큰 역할을 하였으며, 대한민국 축구 발전에 있어서도 큰 족적을 남겼다. 또한 국민들에게 긍정적인 힘을 주었을 뿐 아니라 민족의식과 단합력 또한 길러주었다. 조선축구협회의 설립과 활동이 대한민국 축구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현재 우리나라가 축구 강국으로 성장하는데 이바지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