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7

Ⅰ. 서론 9

1. 연구배경 및 목적 9

2. 선행연구 검토 13

3. 연구대상 및 방법 16

Ⅱ. 로맨스판타지의 정체와 특성 18

1. 로맨스판타지의 정체 18

2. 로맨스판타지의 특성 20

1) 판타지 장르관습에 기반한 세계관 20

2) 여성 주인공의 모험과 성장, 보상 24

3) 다양한 여성 욕망의 재현 29

Ⅲ. 웹소설 〈재혼 황후〉에서 드러난 장르적 특성 32

1. 행복 추구와 정치적 복수담의 전략적 활용 32

2.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성 캐릭터 36

3. 다양한 캐릭터를 활용한 여성 욕망의 소구 43

Ⅳ. 웹소설 〈재혼 황후〉의 웹툰 전환 전략 50

1. 내용적 측면에서 〈재혼 황후〉의 웹툰 전환 전략 51

2. 형식적 측면에서 〈재혼 황후〉의 웹툰 전환 전략 59

1) 교차 향유 유도를 통한 지속적인 가치 창출 모색 59

2) 높은 상호작용성을 활용한 향유 요소 점검 62

3) 고퀄리티 작화를 통한 비주얼 콘텐츠로서의 매력 극대화 72

Ⅴ. 결론 81

참고 문헌 84

ABSTRACT 88

〈표 1〉 네이버 시리즈의 웹소설 장르별 작품 수 11

〈표 2〉 네이버 웹툰의 웹소설 원작 웹툰 장르별 작품 수 11

〈표 3〉 카카오페이지 웹소설 장르별 작품 수 12

〈표 4〉 카카오페이지 노블코믹스 장르별 작품 수 12

[그림 1] 〈소설 네트워크〉의 작품별 장르 구분 화면 비교 33

[그림 2] 〈재혼 황후〉 웹소설의 캐릭터 구도 52

[그림 3] 2021년에 런칭된, 네이버 웹툰 로맨스판타지 작품 1화 댓글 캡쳐 64

[그림 4] 웹소설 〈재혼 황후〉의 댓글 캡쳐 66

[그림 5] 웹툰 〈재혼 황후〉 5화 나비에 표정 캡쳐 67

[그림 6] 웹툰 〈재혼 황후〉 4화 라스타 표정 캡쳐 67

[그림 7] 웹툰 〈재혼 황후〉 5화 베스트 댓글 캡쳐 69

[그림 8] 웹소설 속 퀸의 크기 묘사 70

[그림 9] 웹툰 속 퀸의 크기 묘사 70

[그림 10] 웹툰 〈재혼 황후〉 중·후반 회차 베스트 댓글 캡쳐 71

[그림 11] 웹소설 〈엔딩 후 서브남을 주웠다〉 베스트 댓글 캡쳐 73

[그림 12] 웹소설 〈마른 가지에 바람처럼〉 2화 삽화 74

[그림 13] 웹툰 〈마른 가지에 바람처럼〉 1화 캡쳐 75

[그림 14] 웹툰 〈재혼 황후〉 14회차 이전 나비에의 모습 캡쳐 77

[그림 15] 웹툰 〈재혼 황후〉 15화 이후 나비에의 모습 캡쳐 77

[그림 16] 커뮤니티에서 웹툰 〈재혼 황후〉를 홍보하는 향유자 게시글 캡쳐 78

[그림 17] 〈중매쟁이 아가 황녀님〉 25화 캡쳐 79

초록보기

 본 연구는 IP 비즈니스의 출발점으로 웹소설 IP의 웹툰 전환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로맨스판타지 장르가 급부상하였는데, 이 장르가 무엇이고 어떻게 웹툰화 되고 있는지 대표 콘텐츠인 〈재혼 황후〉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콘텐츠 비즈니스에서 IP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IP를 활용한 모든 사업을 아우르는 종합 엔터테인먼트들이 등장했다. 대표적으로 네이버와 카카오를 꼽을 수 있는데 이들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웹소설이다. 웹소설은 적은 비용으로 IP의 대중성을 검증받을 수 있고 향유자와 즉각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원천 IP로서의 가치가 무궁하다. 다만 웹소설은 마니아적인 콘텐츠이기 때문에 영상이나 게임 등으로 바로 확장하지 않고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보다 대중들과의 접촉면이 넓은 웹툰으로 먼저 전환하여 IP의 대중성을 검증받을 필요가 있다.

이 가운데 웹툰으로 가장 활발하게 전환이 일어나는 웹소설 장르로 로맨스판타지가 급부상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른 장르에 비해 콘텐츠의 숫자가 적은 이 장르가 유독 웹툰으로 전환이 많이 되고 있다는 특이성에 주목하여 이 장르의 특성과 인기 요인이 무엇인지, 또 이것이 어떻게 웹툰화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대표적인 사례인 〈재혼 황후〉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먼저 문헌연구와 현재 나와있는 로맨스판타지 작품들을 토대로 이 장르의 정체 및 특성에 대해 정리했다. 이를 통해 로맨스판타지는 기존의 로맨스와 판타지가 결합하여 탄생한 장르로 다양한 여성 욕망을 재현하는 장르라는 것을 밝혔다. 로맨스판타지의 특성으로는 판타지 장르관습에 기반한 세계관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 여성 주인공의 모험과 성장 서사에 따라 다양한 하위 장르가 뒤따른다는 점, 복합적이고 다양한 여성 욕망을 재현하고 있다는 점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웹소설 〈재혼 황후〉에서 드러나는 장르적 특성에 대해 분석했다. 웹소설은 장르별로 향유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매체이기 때문에 웹소설을 분석할 때는 장르별로 각 관점에 맞게 달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작품은 행복 추구와 정치적 복수담이라는 서사를 완성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판타지 세계관을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근에 많은 콘텐츠에서 유행하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성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는데,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자스민 캐릭터와 비교 분석을 통해 〈재혼 황후〉의 주인공은 자신의 욕망을 찾아가는 캐릭터가 아니라 1화에서부터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는 차별점을 가진 매력적인 캐릭터임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주인공 외에도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개성있는 여러 여성 캐릭터들이 다양한 여성 욕망을 소구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다음으로 이러한 웹소설 〈재혼 황후〉의 웹툰 전환 전략이 무엇인지를 내용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먼저 내용적 측면으로 웹소설 〈재혼 황후〉는 대중성을 지닌 서사 구조와 캐릭터성에, 말초적인 재미를 주는 설정들을 덧붙인 이야기임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은 웹툰 전환에 매우 적합한 부분으로, 이 장점을 그대로 살려 웹툰이 웹소설의 서사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형식적 측면으로는 〈재혼 황후〉가 교차 향유를 유도하여 지속적으로 가치 창출을 모색한다는 점, 웹이라는 공간의 특성상 상호작용이 높다는 것을 활용해 향유 요소를 점검하여 각색에 반영했다는 점, 고퀄리티 작화를 통해 비주얼 콘텐츠로서의 매력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IP 비즈니스의 중심에 웹소설과 웹툰이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장르의 관점으로 전환 전략 분석을 시도한 것은 시의성을 갖는다. 또한, 본고는 로맨스판타지 웹소설 IP의 웹툰 전환 전략을 밝혀내기 위한 하나의 사례분석으로서의 의의가 있다. 다만 작품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기에 추후 추가적인 사례분석이 이뤄진다면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