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Contents
Abstract 7
Introduction 9
Methods and Materials 10
1. Study subjects 10
2.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10
3. Definition of high PP and CHD 12
4. Statistic analysis 12
Results 14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14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high PP 14
3. Correlations among observed variables and PP 15
4. Comparison of CHD odd ratios according to high pulse pressure 15
Discussion 16
Conclusion 19
국문요약 20
References 22
Figure1. Flow diagram outlin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the study design 30
배경
맥압이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인 것이 확인되었지만 많은 임상의들이 그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대표성을 띄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노인에서 맥압과 관상동맥질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6년에서 2018년까지 3년간 시행된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65세 이상 4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맥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로 계산하였으며 높은 맥압은 60mmHG로 정의하였다. 관상동맥질환군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진단받은 대상자로 정하였다. 맥압과 관상동맥질환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들 중 높은 맥압의 빈도는 여성에서 더 높았으며 관상동맥질환의 빈도는 남성에서 더 높았다. 높은 맥압군은 정상 맥압군에 비해서 고령이었고, 높은 수축기 혈압, 낮은 이완기 혈압, 높은 공복 혈당을 가지는 특성이 있었다. 높은 맥압군은 오즈 비 1.361로 관상동맥질환 발생 빈도가 더 높았으며 나이, 성별, 흡연, 음주, 당뇨, 이상지질혈증에 대해서 보정 후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 노인에서 맥압과 관상동맥질환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