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10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17
3. 용어의 정의 18
1)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18
2) 인공지능 활용교육 18
3) AI 교수효능감 19
4) 창의적 교수효능감 19
II. 이론적 배경 20
1. 하브루타 20
1) 하브루타의 개념 및 원리 20
2) 하브루타 토론 방법 22
3) 하브루타 토론 질문유형 26
4) 하브루타의 선행연구 27
5)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31
2. 인공지능 활용교육 34
1) 인공지능 활용교육 34
2) 인공지능 활용교육 선행연구 35
3. AI 교수효능감 37
1) AI 교수효능감 37
2) AI 교수효능감 선행연구 37
4. 창의적 교수효능감 39
1) 창의적 교수효능감 39
2) 창의적 교수효능감 선행연구 40
III. 연구방법 43
1. 연구대상 43
2. 연구설계 44
3. 연구도구 45
1) AI 교수효능감 측정도구 45
2) 창의적 교수효능감 측정도구 46
4. 연구절차 47
5. 프로그램 설계 48
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48
2)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 설계 49
3) 실험 실시 52
6. 자료 분석 62
IV. 연구결과 63
1. 예비교사의 AI 교수효능감 비교 63
1) AI 교수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 64
2) AI 교수효능감 하위요인의 집단 간 차이 66
2. 예비교사의 창의적 교수효능감 비교 74
1)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집단 간의 차이 75
2) 창의적 교수효능감 하위요인의 집단 간의 차이 77
V. 논의 및 결론 84
1. 논의 및 결론 84
2. 시사점 및 의의 88
3. 제한점 및 제언 89
참고문헌 91
Abstract 102
부록 105
〈부록 1〉 AI 교수효능감 설문지 105
〈부록 2〉 창의적 교수효능감 설문지 107
〈부록 3〉 주제에 대한 텍스트 별로 제시한 7개 질문 108
〈부록 4〉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모형의 내용 타당도 문항 116
그림 1. 하브루타 학습 원리 21
그림 2. 하브루타의 단계 23
그림 3. 하브루타의 세 가지 종류의 해석 연습 25
그림 4. 연구절차 47
그림 5.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모형 51
그림 6. 2인 1조로 15개 토론방 화면 55
그림 7. 토론방의 메인화면 예시 56
그림 8. 텍스트에 의해 제시된 7개 질문유형 56
그림 9. 토론 텍스트에 의해 제시된 질문 예시 58
그림 10. AI 교수효능감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66
그림 11. AI에 대한 교수 결과 기대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69
그림 12. AI 개념 인식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70
그림 13. AI 사회적 영향에 대한 태도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71
그림 14. AI에 대한 개인 교수 효능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72
그림 15. AI와의 상호작용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73
그림 16. 창의적 교수효능감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77
그림 17. 창의적 교수수행 효능감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80
그림 18. 창의적 교수전략 효능감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81
그림 19. 창의적 사고 효능감 사전·교정된 사후점수의 변화 8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기반 인공지능 활용교육이 예비교사의 AI 교수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첫째,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AI 교수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K대학에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58명을 실험집단 30명과 비교집단 28명으로 무선 배치하였으며 8주 동안 여덟 개의 인공지능 활용교육에 대한 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인공지능 활용교육에서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의 학생들은 인공지능 활용교육에서 일반적인 온라인 수업 방식을 실시하였다. AI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는 이소율 등(2021)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한 후 사용하였고, 창의적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는 이명숙, 최병연(2016)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한 후 사용하였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에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미완성된 설문지를 제외한 비교집단 24명과 실험집단 24명을 최종분석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공지능 활용교육에서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예비교사의 AI 교수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 교수효능감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AI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인공지능 개념 인식, 인공지능에 대한 개인 교수 효능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창의적 교수효능감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창의적 교수전략 효능감과 창의적 사고 효능감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기반 인공지능 활용교육은 예비교사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여 하브루타 토론이 인공지능 시대에 중요한 창의성을 향상시켰다는데 그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는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 기반 인공지능 활용교육이 예비교사에게 지속적인 질문과 답변을 통한 질 높은 토론을 촉진하여 AI 교수효능감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으며,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을 적용한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 환경에 많은 의의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