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및 주제어 8
I. 서론 9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9
B. 연구방법 및 한계 12
II. 반(反) 생태학적 인간론의 역사 15
A. 플라톤(Plato)의 인간론 15
B.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인간론 19
C.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의 인간론 22
1. 신으로부터 독립한 존재 23
2. 영혼(정신)과 몸(기계장치)의 결합체로서의 인간 24
D.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인간론 28
E. 존 로크(John Locke)의 인간론 30
III. 기독교 전통 가운데 나타난 비(非)생태학적 인간론의 요소 34
A.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의 인간론 34
B.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의 인간론 37
C. 종교개혁자들의 인간론 40
1.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인간론 41
2. 존 칼뱅(Jean Calvin)의 인간론 43
D. 개혁파 정통주의의 인간론 45
IV. 몰트만의 생태학적 인간론 50
A. 인간: 자연과 공존하는 존재 50
1. 인간의 자연화 50
2. 자연에 의존하는 존재 54
B. 인간: 하나님의 형상 58
1. 하나님의 대리자 58
2. 그리스도의 형상 61
3. 사회적 삼위일체에 상응하는 존재 64
C. 인간: 몸(신체성)을 가진 존재 68
V. 결론 72
A. 요약 및 평가 72
B. 제언 76
참고문헌 79
현 인류가 당면한 가장 큰 위기는 환경위기이다. 계속되는 환경위기 가운데 인류는 생존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 환경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에는 수많은 요인이 있지만, 그럼에도 많은 학자들은 그 중심에 왜곡된 인간론이 있다고 말한다. 자연과 다른 피조물을 배제하고, 인간의 지위만을 강조한 인간 중심적 사고는 고대 플라톤의 영육이원론적 사고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차등적 영혼관으로부터 기인하며, 이는 근대의 데카르트, 베이컨, 로크와 같은 사상가들의 때에 꽃을 피웠다.
이원론적이며 인간 중심적인 인간론은 기독교 전통에도 영향을 미쳤다.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는 각각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체계를 바탕으로 자신의 신학체계를 구축해나갔고, 이 과정에서 고대 그리스 전통의 이원론적이며 인간 중심적인 인간론은 기독교 전통에도 자연스럽게 녹아들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인간에 대한 생각은 종교개혁시대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반생태학적인 인간론을 소개하며, 이러한 인간론이 환경위기의 주요한 요인 중 하나임을 밝히고, 더 나아가 몰트만의 인간론을 중심으로 환경위기 시대에 필요한 생태학적 인간론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몰트만은 기존의 영육이원론적이며,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벗어나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인간론을 논한다. 그는 인간과 자연이 서로 공존하도록 창조되었음을 강조하고,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과 몸을 가진 존재로서의 인간에 주목한다. 필자는 이러한 그의 인간론에 주목하여, 현재의 환경 위기 상황 가운데 우리가 추구해야 할 생태학적 인간론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