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6
Ⅰ.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선행연구 검토 12
3. 연구 범위 및 방법 19
Ⅱ. 실존적 주체와 성장시의 만남 22
1. 위기와 불안의 청소년기 22
1.1. 청소년기의 특징과 자아정체성 23
1.2. 자아정체성의 위기와 청소년의 불안 28
2. 실존적 만남을 통한 주체의 완성 33
2.1. 선택과 초월을 통한 성장 34
2.2. 타자에 대한 인식과 수용 35
2.3.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인식 36
3. 성장시를 통한 치유와 성장의 가능성 38
3.1. 시를 통한 건강한 자아의 회복 38
3.2. 시를 통한 내적 성장의 체험 40
3.3. 성장시 탐구를 통한 치유의 성장 43
Ⅲ. 성장시를 통한 아픔의 직면과 공감 47
1. 반(反)성장의 불안과 위기 47
1.1. 억압된 세계에서의 위기와 불안 48
1.2. 내면의 부재로 인한 불안 56
2. 고독과 고립 사이의 간극 61
3. 인위적 재난과 재해의 일상화 67
Ⅳ. 아픔의 치유와 긍정적 성장의 모색 78
1. 상처와 슬픔의 긍정적 수용 78
2. 성장을 촉발하는 타자와의 만남 88
3. '너'로 존재하는 세계와의 만남과 성찰 97
Ⅴ. 결론 107
참고 문헌 111
ABSTRACT 117
본 연구에서는 성장시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불안과 상처를 살펴보고, 시를 통해 그것을 치유하는 내면의 힘을 길러 성장의 완성으로 나아가는 양상을 탐구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심리적 고립의 상태가 지속되면서 우리의 삶은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 특히 학교폭력, 자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청소년 문제의 위기에 코로나 팬더믹까지 더해진 지금, 한참 성장할 청소년들이 겪는 불안은 그 어느 때보다 크게 증폭되고 있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현실에 이제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의 모습은 가늠조차 하기 어려워져 버렸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시가 지닌 치유의 힘과 시 감상을 통한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여 성장시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삶을 모습을 통해 그들의 아픔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나아가 심리적·정서적 대혼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성장시를 통해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청소년의 성장 과정과 내면 심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의 불안과 위기의 양상을 살폈다. 에릭슨(Erikson)과 볼르노(Bollnow)의 논의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은 '지금의 나'를 초월하기 위해 위기와 불안을 숙명처럼 맞이할 수밖에 없으며, 그것을 극복하면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실존적 존재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성장의 완성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자아와 타자, 그리고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의 관계 형성 및 성찰 속에서 실존하는 인간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고 인간 소외의 상태를 벗어나 본래적 자기를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 바로 교육의 목표이자, '실존적 만남'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소년들의 생활과 밀접한 내용으로 담고 있어 그 텍스트를 자신의 삶과 긴밀하게 연계할 수 있는 시를 접하는 경험은 그들이 성장 과정에서 겪는 위기와 불안을 치유하고 개인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어 위기와 불안을 초월하여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아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겪게 되는 불안과 위기의 모습을 담은 시와의 만남을 통해 그 아픔과 상처에 직면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성장시에 나타난 그들의 아픔과 상처를 살폈다. 오늘날 우리 청소년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문화적 상황에 편입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면의 혼란 및 타자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소외와 단절, 위험사회가 가져다주는 불안으로 힘들어하고 있었다. 특히 '학교'로 대표되는 억압된 세계가 청소년들의 내면 불안을 심화시켜 실존적 주체로서 자아를 찾는 과정을 어렵게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입시를 위한 무한한 성적 경쟁과 학교 폭력, 학업 중단의 위기 속에서 자아를 상실해버린 청소년들은 타자와 건강한 관계를 맺지 못한 채 소외와 단절을 경험하고 있었다. 게다가 예측할 수 없는 재난 및 팬데믹의 공포, 그리고 환경파괴로 인해 소리 없이 닥쳐오고 있는 기후 위기 등 무수한 위험에 시달리며 삶의 방향성을 상실해가고 있었다.
끝으로 삶에 있어 위기의 위협은 언제나 존재하며 모든 성숙은 그 위기를 극복할 때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불안과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모습을 담은 성장시의 양상을 살폈다. 자기 내면을 응시하여 실존하는 '나'를 발견하고 내면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화해를 시도하는 시들은 청소년들에게 '지금-여기'를 긍정하는 삶의 태도를 제시하여 불완전한 존재로서 지닌 아픔을 극복하고 한층 성숙해 나가는 '성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나아가 나와 타자 사이의 소통 가치 및 타자를 대하는 윤리적 자세를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시들과 주변의 사물이나 자연을 깊이 고찰하는 과정에서의 깨달음을 담은 시들은 소외와 단절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시를 통해 인간의 삶을 전체적 안목으로 이해하고 자신을 사회 공동체의 일부로 인식하고 자신의 문제를 성숙하게 해결하도록 이끌 수 있다.
시는 한 개인의 정신적 각성과 더불어 성숙한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어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지닌다. 따라서 성장시를 통한 치유와 성장의 모색은 청소년들에게 소설과는 또 다른 매력으로 다가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상처 치유와 성장의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시들은 작품 속 주체의 삶에 비추어 자신의 삶을 반성적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으며,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도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을 위한 시교육의 현장에서 시를 통한 치유와 성장에 관한 논의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