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 요약

목차

I. 서론 13

1. 연구 배경 13

2. 연구주제 및 목적 19

3. 연구범위 22

4. 연구방법 27

5. 연구구성 29

II. 전통미디어 환경에서의 문신화의 문화적 의미 34

1. 선행연구 34

가. 중국연구 36

나. 해외연구 41

2. 전통미디어 환경에서의 문신화 45

가. 제도 환경에 대한 고찰 45

나. 기술환경 고찰 57

다. 전통미디어 환경에서의 심미적 요소 65

3. 소결 91

III. 뉴미디어 환경에 따른 문신화 분석 93

1. 문신화의 제도 환경 분석 95

2. 문신화의 기술 환경 분석 99

3.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심미적 요소 103

4. 소결 108

IV. 미디어 융합 시대 문신화의 의미 111

1. 문신화의 심미적 요소 비교 113

가. 중국 문신화 심미적 요소 변화 113

나. 아시아 기타 국가 문신화 심미적 요소 변화 119

2. 문신화의 심리적 요소 비교 132

3. 문신화의 계승 146

가. 트랜스 미디어 전파 148

나. 문화 창작 IP 제작 158

다. 문화산업 체계 구축 164

V. 결론 168

1. 결론 및 시사점 168

2. 후속 연구 방향 174

참고문헌 178

ABSTRACT 184

그림목차

그림 1. 《三敎搜神大全》 中神荼, 郁壘的形象, 將神荼, 郁壘的名字寫在門上 49

그림 2. 宋代 甘肅臨洮 磚雕 甲胄門神 51

그림 3. 찰세속매월통기 전(査世俗每月傳統記傳) 56

그림 4. 중국 전국시대 무덤에서 출토한 문신 이미지, 중국 한(漢)나라... 58

그림 5. 청나라 시기의 연화 '계왕진택(雞王鎭宅)'과 '금계보효(金雞報... 60

그림 6. 한나라 시기 무덤에서 출토한 컬러 벽화(무사문신(武士門神),... 66

그림 7. 영무석실, 당나라 이후 송나라 이전의 문신 이미지 67

그림 8. 중국 삼서성 이중윤 무덤에서의 시녀(侍女)도(당나라), 하남성... 68

그림 9. 명나라 시대의 진경(秦瓊)와 위지공(尉遲恭) 문신의 이미지 69

그림 10. 편과 간(鞭锏) 문신 이미지 70

그림 11. 망치 또는 검을 가지는 문신 이미지 72

그림 12. 상해 소교장 연화인 (좌)재신사보 및 (우)옥녀상생장원랑 이미지 73

그림 13. 신도, 울루 문신 이미지 75

그림 14. 복, 수 문신 이미지(98.5*40.5cm), 다 편(鞭)을 드는 문신의 이미지 76

그림 15. 양가부 연화, 오자등과 연화 이미지 77

그림 16. 소주 문신 이미지, 일단화기(一團和氣) 이미지 79

그림 17. 주선진(朱仙鎭) 연화 종규의 이미지, 장주(漳州) 연화 신도,... 82

그림 18. 베이징 고궁박물관 소장한 장군 문신 이미지(143*72cm) 83

그림 19. 오자등과 이미지, 일품당조(一品當朝), 천관사복 이미지 85

그림 20. 선녀의 이미지, 년년첨정(年年添丁), 일일진재(日日進財) 이미지 87

그림 21. 운수대통, 부귀공명 이미지, 호랑이, 사자와 동자, 동녀 이미지 88

그림 22. 희곡 형식의 문신 이미지 88

그림 23. 군민협력 항전승리 이미지, 국군, 미국 공군(비호대)로 구성... 90

그림 24. 〈자고영웅출소년〉 왕법당 98

그림 25. 문신의 Q비전 이미지 102

그림 26. 애니메이션 '교만한 장군'에서 장군의 이미지, 애니메이션 '대... 104

그림 27. 약수리 무덤 벽화 전실 남벽 동쪽 5세기 '문위도'와 안악 2호... 120

그림 28. 賴少其 《抗戰門神》, 套色木刻, 34x24.5厘米, 1939년 항일전... 139

그림 29. 네티즌은 코로나-19를 체재로 의료진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142

그림 30. 네티즌은 창작한 곽거병과 신기질 문신 이미지, 네티즌은... 144

그림 31. 왼쪽으로 첫 번째 두 번째 이미지는 극장용 애니메이션〈리틀... 150

초록보기

문신화(門神畵)는 악귀를 쫓고 재앙을 피하는 목적을 가진 민간풍습 활동에서 나타나기 시작되었다. 창작의 시초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시작되었고 형식과 내용 문화적 의미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금까지 발전해 왔으며, 하나의 집단적 기억과 감정적 정체성의 문화기호로 변화되었다. 원시적인 소박함에서부터 성숙하고 현란함까지 점차적으로 예술적인 성향을 나타냈으며, 장기적인 역사 변화에 깊은 문화적 저력을 담고 예술성, 장식성, 상징성 등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 문화권에서 가장 의미 있는 민속 활동 형식의 하나로서 시대성, 지역성, 민속성을 반영하고 있다. 오늘날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배경에서 사회체제의 변화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 생산방식도 같이 변화하게 되었다. 설 또는 다른 명절을 쇠는 의식이 약해지고 문의 형식의 변화로 인해 문신의 기능이 약화되어 있고 시장 수요가 위축되면서 전통적인 문신화의 사용가치가 떨어졌고 소멸 속도가 점차 빨라졌다. 전통문화로서의 문신화는 어떻게 자신을 조절하여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는지, 특히 현대사회에서 주류 문화의 중심에 멀어지게 되는 실정에서 어떻게 계승하고 계속 발전해야 하는지는 우리가 고려하고 연구해야 할 문제이다.

전통예술로서의 문신화 전승 전략을 중심으로 미디어 이론의 측면에서 '역사연구-비교분석-전략제시'의 연구 방향에 따라 문신화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미디어 환경 변화가 그에 미치는 영향에 착안하여 문헌 고증, 역사 연구법, 현장조사, 통시성(Diachronic)과 공시적(Synchronic) 비교, 사례분석 등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제도 환경, 기술 환경, 심미적 요소 세 가지 측면에서 전통미디어 환경에서 문신화의 변천 과정을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문신화는 원시사회에서 시작되었고 한·당나라 시기를 거쳐 초기의 형태를 형성하였고 송·원나라 시기에 규모가 잡혔으며, 명·청나라 시기에 이르기까지 전성기로 발전되었다. 안정적인 전통 사회제도 환경에 영향을 받아 질서 있고 고정적인 심미적 요소를 가진 성숙한 예술 형식을 형성하였다. 구어 문자에서 인쇄까지의 기술 환경 변화를 겪었고 그리기와 각인을 주요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처음에는 문짝 위에 그려지고 석굴의 벽 묘실의 벽돌에 새겼으며, 그 후에는 종이에 그려서 각종 문에 붙이거나 나무 조각, 도자기, 조각 등 형태로 고전적인 대중 전파 기능을 완성하였다. 뉴미디어 시대에 접어든 후에 현대 사회의 변천으로 인해 문신화 예술의 제도 환경, 기술 환경, 심미적 요소가 전환되었고 문신화 예술의 사회적 수요가 적어지면서 주류 문화의 중심에 멀어지고 있다. 또한 다문화 전파에서 문신화는 문화기호로서 특정한 국가의 이미지를 대표하고 아시아 다른 국가의 고유한 이데올로기와 심미적 추구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재생산과 인터넷 시대를 맞이하면서 뉴미디어의 등장은 문신화 예술의 전승과 발전에 새로운 발전 환경을 마련해 주었다. 문신화는 기술과 매개체의 발전 과정에서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내용 측면에서 질적인 변화를 일으켰고 심미적 요소는 새로운 특징을 보였으며, 진정한 의미의 대중 전파가 나타났다.

문신화에 대한 심미적 패러다임과 심리적 요소 두 가지 측면에서 전통미디어와 뉴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문신화가 뉴미디어 환경에서 적응하는 전략을 연구하였다. 그 전략방식은 주로 세 가지로 구분하는데 첫 번째는 트랜스 미디어를 통해 전파하는 방식으로 문신화의 사회전파를 확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문화 IP의 재창작을 통해 문신화 예술의 브랜드 이미지를 수립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문화산업 정책의 유도와 자본 시장의 개입을 통해 문신화를 주제로 영상 콘텐츠, 문화창작 IP, 전파 플랫폼 등 3자 상호작용의 산업체인 형식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역사발전 과정으로부터 문신화 이미지 현상의 변화를 살펴보고 문신화의 전면성, 입체성, 역사성을 분석하여 문신화가 미디어 환경의 변화 과정에서 예술적 언어에 나타나는 형식, 풍격, 내용 등의 변화 발전에 따라 전달하는 대중들의 정신적 신앙과 요구에 대한 인지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를 통해 문신화 이미지의 변화 발전을 일으키는 원동력의 배후를 찾아내 문신화가 전통문화로서의 심층적 의미를 밝혀내고 미디어 환경의 발전 변화에 따라 더욱 전면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뉴미디어의 장점을 이용하여 현시대 문신화의 적응 전략을 모색하고 다원 입체적인 전파와 전승 모델을 형성하여 현재의 문신화를 보호하고 전승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전통문화의 향후 발전 방향과 보호 방식과 전승 전략에 대해 더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