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장 서론 10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표 10

2장 선행연구 16

2.1. 전기생리학(Electrophysiology) 16

2.1.1.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16

2.1.2. 근전도(Electromyogram, EMG) 24

2.2. Stretchable pattern 25

2.3. Stretchable 전도성 금속 배선 제작 방법 29

2.4. Cutting Plotter의 Cutting 특성 33

2.5. Silver complex ink 제조 및 특성 38

2.6. Substrate materials 41

3장 Ag E-tattoo sensor Fabrication 44

3.1. Ag PET film fabrication 44

3.1.1. Ag-EHACB ink synthesis 44

3.1.2. Ag coated PET film fabrication 45

3.2. Pattern design 48

3.3. Pattern width 51

3.4. Ag E-tattoo sensor 55

4장 실험 결과 및 분석 58

4.1. Ag ETS의 기계적 특성 58

4.2. ECG, EMG Measurement setting 64

4.3. ECG 측정 결과 68

4.4. EMG 측정 결과 74

4.5. 온도 측정 결과 76

4.6. 결과 고찰 80

5장 결론 82

참고문헌 84

요약 92

Abstract 94

초록보기

현대 사회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간 생활에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을 시작으로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등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간의 일상 생활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시장에 보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형으로 GPS, 운동기록, 수면기록, 알람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임상생리학적인 사용적 측면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발전과 보급은 늦어지고 있다. 고성능의 신체 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인간 신체 표면의 신축성에 대응하기 위한 신축 기판과 칩의 소형화 등의 문제점들이 고비용 문제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포토리소그래피와 같은 생산 공정에서 탈피하여 전도성을 가지는 박막 필름을 절단하는 공정을 이용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전극 소재로 은을 이용하여 소재 원가를 절감하였다. 피부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체로 임시문신용지를 사용하여 누구나 쉽게 피부에 부착 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를 제작하였다. 센서를 통해 인간의 심전도, 근전도, 체온을 측정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