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Ⅰ. 서론 11

1. 연구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1

2. 연구 범위 및 방법 13

3. 선행연구 검토 14

Ⅱ. 신중현의 생애 및 음악적 업적 16

1. 생애 16

2. 음악적 업적 21

1) 수상경력 21

2) 대표적 작품 23

Ⅲ. 신중현의 음악적 변화 양상 29

1. 신중현 1기 (1950년대 후반~1960년대 중반) : 한국 블루스의 시초 29

1) 히키 신 (1955년~1962년) 29

2) 에드 훠 (1962,3년~1966년) 30

2. 신중현 2기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 : 사이키델릭 록의 시초 32

1) 덩키스 (1968년~1969년) 33

2) 퀘션스 (1969년~1970년) 약 10개월 35

3. 신중현 3기 (1970년대 초반~1980년) : 블루스 록, 다시 블루스 36

1) 더 맨 (1972년) 36

2) 신중현과 엽전들 38

3) 신중현과 뮤직파워 (1980년~1982년) 40

4. 신중현 4기 (1980년대 초반) : 거친 록, 록의 절정 42

1) 세 나그네 (1983) 43

Ⅳ. 신중현 음악의 한국 대중음악사에 끼친 영향 45

1. 대중음악의 흐름을 바꾼 사례 45

2. 연주자 겸 프로듀서로써 지평을 넓힌 음악가들 52

1) 1930년대~1940년대 53

2) 1950년대~1970년대 58

3) 1980년대~1990년대 65

4) 2000년대~현재 68

3. 신중현의 영향을 받아서 파생된 국내 밴드들 74

1) 윤도현밴드 74

2) 함중아 75

3) 카도밴드 77

4) 곱창전골 78

5) 신중현 헌정 앨범 79

6) 스토리셀러 85

7) 신찬호와염전들 85

Ⅴ. 결론 (신중현 음악의 의의) 86

Ⅵ. 참고문헌 88

ABSTRACT 94

표목차

〈표 Ⅱ-1〉 신중현이 작사, 작곡, 직접 부른 75곡 25

〈표 Ⅲ-1〉 1958년 〈히키 신 키타 멜로듸〉 신중현 30

〈표 Ⅲ-2〉 1964년 〈비속의 여인〉 '에드 훠' 32

〈표 Ⅲ-3〉 1968~1969년 '덩키스' 34

〈표 Ⅲ-4〉 1970년 〈퀘션스 1집〉 36

〈표 Ⅲ-5〉 1972년 〈거짓말이야〉 '신중현과 더 맨' 38

〈표 Ⅲ-6〉 1974년 〈신중현과 엽전들〉 40

〈표 Ⅲ-7〉 1980년 〈신중현과 뮤직파워 1집〉 42

〈표 Ⅲ-8〉 1983년 〈세 나그네〉 44

〈표 Ⅳ-1〉 1964년 영화 〈동백 아가씨〉 47

〈표 Ⅳ-2〉 1969년 김추자 〈님은 먼곳에〉 48

〈표 Ⅳ-3〉 신중현의 대중음악의 흐름을 바꾼 대표곡 51

〈표 Ⅳ-4〉 김해송 앨범 54

〈표 Ⅳ-5〉 박시춘 앨범 56

〈표 Ⅳ-6〉 손목인 앨범 57

〈표 Ⅳ-7〉 손석우 앨범 59

〈표 Ⅳ-8〉 박춘석 앨범 61

〈표 Ⅳ-9〉 길옥윤 앨범 63

〈표 Ⅳ-10〉 이봉조 앨범 64

〈표 Ⅳ-11〉 이호준 앨범 66

〈표 Ⅳ-12〉 하광훈 앨범 67

〈표 Ⅳ-13〉 윤일상 앨범 68

〈표 Ⅳ-14〉 송홍섭 앨범 69

〈표 Ⅳ-15〉 김태원 앨범 71

〈표 Ⅳ-16〉 정석원 앨범 72

〈표 Ⅳ-17〉 유희열 앨범 73

〈표 Ⅳ-18〉 YB밴드 앨범 및 신중현 트리뷰트 앨범 75

〈표 Ⅳ-19〉 함중아 앨범 76

〈표 Ⅳ-20〉 '곱창전골' 앨범 79

그림목차

〈그림 Ⅱ-1〉 신중현 펜더 헌정 기타 증정식 21

〈그림 Ⅱ-2〉 신중현 버클리 음대 명예박사 학위 수여식 23

〈그림 Ⅲ-1〉 히키 신 키타 멜로듸 앨범 30

〈그림 Ⅲ-2〉 에드 훠 비속의 여인 앨범 32

〈그림 Ⅲ-3〉 펄시스터즈 앨범 34

〈그림 Ⅲ-4〉 이정화 앨범 34

〈그림 Ⅲ-5〉 김추자 앨범 34

〈그림 Ⅲ-6〉 장현 앨범 34

〈그림 Ⅲ-7〉 1970년 퀘션스 1집 앨범 36

〈그림 Ⅲ-8〉 신중현과 더 맨 앨범 38

〈그림 Ⅲ-9〉 신중현과 엽전들 앨범 40

〈그림 Ⅲ-10〉 신중현과 뮤직파워 1집 앨범 42

〈그림 Ⅲ-11〉 세 나그네 앨범 44

〈그림 Ⅳ-1〉 동백아가씨 앨범 47

〈그림 Ⅳ-2〉 김추자 앨범 48

〈그림 Ⅳ-3〉 김해송 54

〈그림 Ⅳ-4〉 다방의푸른꿈/그리운 그대 앨범 앞면 54

〈그림 Ⅳ-5〉 엉터리대학생/희망의썰매 앨범 앞면 54

〈그림 Ⅳ-6〉 박시춘 메로듸 No.1 앨범 앞면 56

〈그림 Ⅳ-7〉 헛소문/애수의 소야곡 앨범 앞면 56

〈그림 Ⅳ-8〉 경음악의 전당 No.7 앨범 앞면 57

〈그림 Ⅳ-9〉 손목인 산수기념 작곡집 앨범 앞면 57

〈그림 Ⅳ-10〉 손석우 경음악선 제1집 앨범 앞면 59

〈그림 Ⅳ-11〉 손석우 멜로듸 앨범 앞면 59

〈그림 Ⅳ-12〉 박춘석걸작선 제1집 앨범 앞면 61

〈그림 Ⅳ-13〉 노래를 위한 경음악집 앨범 앞면 61

〈그림 Ⅳ-14〉 영화주제가집 제1호 앨범 앞면 61

〈그림 Ⅳ-15〉 숙명 1990년 앨범 앞면 63

〈그림 Ⅳ-16〉 패티김 길옥윤 결혼기념 앨범 앞면 63

〈그림 Ⅳ-17〉 맨발로뛰어라/월급봉투/처녀도시 앨범 앞면 64

〈그림 Ⅳ-18〉 현미 힛트 씨리즈 앨범 앞면 64

〈그림 Ⅳ-19〉 THE ART OF JAZZ PIANO 앨범 앞면 66

〈그림 Ⅳ-20〉 인디안 인형처럼(DJ REMIX) 앨범 앞면 66

〈그림 Ⅳ-21〉 변진섭 2집 앨범 앞면 67

〈그림 Ⅳ-22〉 영화 OST-하광훈 앨범 앞면 67

〈그림 Ⅳ-23〉 Cool Summer Story 앨범 앞면 68

〈그림 Ⅳ-24〉 TURBO2 New Sensation 앨범 앞면 68

〈그림 Ⅳ-25〉 송홍섭3집 Love You 앨범 앞면 69

〈그림 Ⅳ-26〉 송홍섭 내일이 오면 앨범 앞면 69

〈그림 Ⅳ-27〉 부활 골든 제1집 앨범 앞면 71

〈그림 Ⅳ-28〉 부활 II 앨범 앞면 71

〈그림 Ⅳ-29〉 015B 제3집 앨범 앞면 72

〈그림 Ⅳ-30〉 015B 제1집 앨범 뒷면 72

〈그림 Ⅳ-31〉 토이 제2집 앨범 앞면 73

〈그림 Ⅳ-32〉 토이 제5집 앨범 앞면 73

〈그림 Ⅳ-33〉 신중현 트리뷰트 앨범 앞면 75

〈그림 Ⅳ-34〉 윤도현밴드 제4집 앨범 앞면 75

〈그림 Ⅳ-35〉 골든 그레입스 앨범 앞면 76

〈그림 Ⅳ-36〉 함중아와 양키스 앨범 앞면 76

〈그림 Ⅳ-37〉 곱창전골 초기수록CD 앨범 앞면 79

〈그림 Ⅳ-38〉 곱창전골 안녕하십니까 앨범 앞면 79

〈그림 Ⅳ-39〉 신중현 The Origin 앨범 85

초록보기

 본 논문은 신중현이 활동하던 195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그의 시대별 음악적 변화 양상에 대해 고찰해보고 그의 음악이 한국 대중음악사에 끼친 영향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1964년 신중현이 최초로 결성한 그룹 '에드 훠'가 한국 최초의 록 음악 앨범을 선보이며 일반 대중들에게 록 음악이 연주되기 시작했다. 일반 대중에게 록 음악이 수용될 수 있었던 계기는 미국의 청년문화가 유입되면서부터이다. 한국의 청년문화는 미국의 청년문화와는 달리 낭만주의적 성향을 띄면서 로큰롤보다 포크 음악이 발전하였지만 1974년 '신중현과 엽전들'이 발표한 "미인"은 예외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록 음악에 익숙하지 않던 대중들도 신중현의 한국적 록 음악에 열광하였고 "미인"은 전 국민이 열창하는 애창곡이 되었다. 신중현은 미8군 무대에서 활동하며 서양의 록 음악을 한국적 록 음악으로 탄생시켰고 트로트가 일색이던 대중가요계에 록 음악을 알리는데 중심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한국 록 음악의 중심에 있었으며 한국 대중 가요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중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문은 최초로 한국적 록 음악을 탄생시키고 창작 록 음악을 대중에게 알리는데 앞장섰던 신중현에 대해 195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시대적 배경에 따라 변화된 그의 음악적 양상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신중현의 시대별 음악적 변화 양상을 신중현 1기(1950년대 후반~1960년대 중반) 한국 블루스의 시초로 보고 알아볼 것이며, 2기(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 사이키델릭 록의 시초로 보고 살펴볼 것이다. 3기(1970년대 초반~1980년) 블루스 록, 다시 블루스로 보고 알아보고, 4기(1980년대 초반) 거친 록, 록의 절정으로 나누어 시기별로 고찰해볼 것이다. 또한, 신중현 음악의 한국 대중음악사에 끼친 영향에 대해 대중음악의 흐름을 바꾼 사례, 연주자 겸 프로듀서로서 지평을 넓힌 음악가들, 신중현의 영향을 받아 파생된 국내 밴드들로 나누어 집중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 록 음악의 중심에 있었던 신중현에 대해 깊이 고찰해볼 것이다.

한국 대중음악에서의 록의 위치와 록이 준 영향이 분명하고 록을 대중 음악계에 정착시키며 록의 선두주자였던 신중현의 연구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그의 음악사적 업적과 가치가 매우 높기에 이에 관한 연구가 지속하여져야 할 것이며 한국 록 음악을 토착화시키고 발전시킨 그에 대한 연구가 향후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