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4

1. 서론 17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7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2.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 21

2.1.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의 생애 21

2.2.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의 작품 목록 23

2.3.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의 음악 성향 26

3. 뮤지컬 〈Dear Evan Hansen〉 작품 분석 28

3.1. 작품 개요 28

3.1.1. 뮤지컬 〈Dear Evan Hansen〉 작품의 역사 28

3.2. 시놉시스 31

4. 뮤지컬 〈Dear Evan Hansen〉 음악 분석 34

4.1. 넘버별 음악 분류 34

4.1.1. 흐름과 스토리 진행에 따른 분류 34

4.1.2. 주요 캐릭터와 노래 부르는 인원수에 따른 분류 41

4.1.3. 뮤지컬 안에서의 송 넘버 기능에 따른 분류 45

4.2. 형식 및 구조 47

4.3. 조성과 화성 55

4.4. 뮤지컬 〈Dear Evan Hansen〉 송 넘버 분석 60

4.4.1. Anybody Have A Map? 60

4.4.2. Waving Through A Window 66

4.4.3. For Forever 73

4.4.4. Sincerely, Me 79

4.4.5. Requiem 81

4.4.6. If I Could Tell Her 82

4.4.7. Disappear 86

4.4.8. You Will Be Found 91

4.4.9. To Break In A Glove 100

4.4.10. Only Us 102

4.4.11. Good For You 104

4.4.12. Words Fail (Part 1 & Part 2) 106

4.4.13. So Big / So Small 110

5.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의 음악어법 112

5.1. 라이트모티프의 사용 112

5.2. Wave 패턴의 오스티나토 기법 115

5.3. 대중음악의 곡 형식 활용 (ABABCB Song foam) 117

5.4. 현악기의 Pizzicato와 Staccato 주법 119

5.5. Lydian 선법의 활용 120

5.6. I want song에 함축된 희망의 메시지 122

5.7. Perpetual canon 형식의 합창 122

5.8. 선율과 어우러지는 작사 기법 124

6. 결론 129

참고문헌 132

ABSTRACT 135

표목차

〈표 1〉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의 작품 목록 23

〈표 2〉 뮤지컬 〈Dear Evan Hansen〉의 제작진 29

〈표 3〉 흐름과 스토리 진행에 따른 음악 분류 34

〈표 4〉 주요 캐릭터와 노래 부르는 인원수에 따른 음악 분류 41

〈표 5〉 뮤지컬 안에서의 송 넘버 기능에 따른 음악 분류 45

〈표 6〉 〈Dear Evan Hansen〉 송 넘버별 음악 형식 48

〈표 7〉 〈Dear Evan Hansen〉 송 넘버별 음악 구조 50

〈표 8〉 송 넘버별 전조 목록 55

〈표 9〉 〈You Will Be Found〉 번역 가사 92

〈표 10〉 〈Dear Evan Hansen〉 송 넘버의 Rhyme 126

그림목차

〈그림 1〉 왼쪽 저스틴 폴(Justin Paul), 오른쪽 벤지 파섹(Benj Pasek) 27

〈그림 2〉 〈Dear Evan Hansen〉 송 넘버를 부르는 인원 구성 43

악보목차

〈악보 1〉 〈Requiem〉 (마디 39) 57

〈악보 2〉 〈Be Yourself〉 도입부 57

〈악보 3〉 〈Good For You〉 (마디 69-70) 57

〈악보 4〉 〈You Will Be Found〉 (마디 51-55) 58

〈악보 5〉 〈To Break In A Glove〉 (마디 71-72) 58

〈악보 6〉 〈To Break In A Glove〉 (마디 48-50) 58

〈악보 7〉 〈Disappear〉 (마디 69-70) 59

〈악보 8〉 〈Sincerely, Me〉 도입부 59

〈악보 9〉 〈Anybody Have A Map?〉 도입부 기타 (마디 1-6) 60

〈악보 10〉 〈Anybody Have A Map?〉 기타 (마디 12-18) 61

〈악보 11〉 〈Anybody Have A Map?〉 피아노 (마디 36-39) 62

〈악보 12〉 〈Anybody Have A Map?〉의 대리화음 (마디 12-18) 63

〈악보 13〉 〈Anybody Have A Map?〉의 상행과 하행 64

〈악보 14〉 〈Anybody Have A Map?〉 G Lydian 선법 65

〈악보 15〉 〈Anybody Have A Map?〉의 분산 화음적 피치카토 66

〈악보 16〉 〈Waving Through A Window〉의 Loop station 67

〈악보 17〉 〈Waving Through A Window〉의 Syncopation (마디 29-31) 68

〈악보 18〉 〈Waving Through A Window〉 Hook의 코드 진행 68

〈악보 19〉 〈Waving Through A Window〉 보컬 선율 69

〈악보 20〉 〈Waving Through A Window〉의 보컬, 기타, 첼로 70

〈악보 21〉 〈Waving Through A Window〉의 합창과 현악기 72

〈악보 22〉 〈For Forever〉의 Lying Sound (마디 1-3) 74

〈악보 23〉 〈For Forever〉 피아노의 Ostinato 74

〈악보 24〉 〈For Forever〉의 Suspended chord (마디 13-20) 75

〈악보 25〉 〈For Forever〉의 악기 선율 상행 및 하행 76

〈악보 26〉 〈For Forever〉 코드 근음의 3음 상행 78

〈악보 27〉 〈For Forever〉의 G Lydian 선법 (마디 96-103) 78

〈악보 28〉 〈Sincerely, Me〉의 피아노 코드 (마디 1-4) 79

〈악보 29〉 〈Sincerely, Me〉의 피아노 코드 (마디 117-124) 80

〈악보 30〉 〈Sincerely, Me〉의 피아노 코드 (마디 125-136) 81

〈악보 31〉 〈Requiem〉의 피아노 코드 (마디 73-78) 81

〈악보 32〉 〈Requiem〉의 온음계 상행 코드 82

〈악보 33〉 〈If I Could Tell Her〉의 기타 (마디 1-4) 83

〈악보 34〉 〈If I Could Tell Her〉의 기타 (마디 37-40) 83

〈악보 35〉 〈If I Could Tell Her〉의 단3도 위 전조 전 84

〈악보 36〉 〈If I Could Tell Her〉의 단3도 위 전조 후 84

〈악보 37〉 Perpetual canon 형식의 피아노 Unison 85

〈악보 38〉 〈If I Could Tell Her〉의 E Lydian 선법 85

〈악보 39〉 〈Disappear〉의 조성과 화성 (마디 1-7) 86

〈악보 40〉 〈Disappear〉의 Eb Dorian 선법 87

〈악보 41〉 〈Disappear〉의 F# Dorian 선법 87

〈악보 42〉 〈Disappear〉의 G Aeolian 선법 88

〈악보 43〉 〈Waving Through A Window〉의 Bridge 90

〈악보 44〉 〈Disappear〉의 Bridge 91

〈악보 45〉 〈You Will Be Found〉의 피아노와 기타 Ostinato 95

〈악보 46〉 〈You Will Be Found〉의 Loop station의 Ostinato 96

〈악보 47〉 〈You Will Be Found〉 메인 보컬 반음 하행 97

〈악보 48〉 〈You Will Be Found〉의 Chorus 반음 하행 97

〈악보 49〉 〈You Will Be Found〉의 Chorus 온음 하행 97

〈악보 50〉 〈You Will Be Found〉 합창 인원의 추가 98

〈악보 51〉 〈You Will Be Found〉 후반부 코드 진행 99

〈악보 52〉 〈To Break In A Glove〉 도입부 (마디 1-6) 100

〈악보 53〉 〈To Break In A Glove〉 코드 근음의 3음 상행 101

〈악보 54〉 〈To Break In A Glove〉의 E Lydian 선법 102

〈악보 55〉 〈To Break In A Glove〉 현악기의 상행 102

〈악보 56〉 〈Only Us〉 코드 선율의 음정 관계 103

〈악보 57〉 〈Only Us〉의 Eb Aeolian 선법 104

〈악보 58〉 〈Good For You〉의 후반부 보컬과 합창 105

〈악보 59〉 〈Good For You〉의 후반부 보컬 선율 106

〈악보 60〉 〈Words Fail Part 1〉의 도입부 107

〈악보 61〉 〈Words Fail Part 1〉의 Bridge 코드 107

〈악보 62〉 〈Words Fail Part 1〉의 현악기 진행 108

〈악보 63〉 〈Words Fail Part 2〉의 라이트모티프 109

〈악보 64〉 〈Words Fail Part 2〉의 기타의 오스티나토 109

〈악보 65〉 〈So Big / So Small〉의 보컬 선율 110

〈악보 66〉 〈Waving Through A Window〉 3가지 라이트모티프 113

〈악보 67〉 〈For forever〉의 라이트모티프 114

〈악보 68〉 〈Finale〉의 변형된 라이트모티프 115

〈악보 69〉 〈You Will Be Found〉의 물결 오스티나토 (마디 51-57) 116

〈악보 70〉 〈For Forever〉의 물결 오스티나토 (마디 21-26) 116

〈악보 71〉 〈You Will Be Found〉의 Bridge 후반부 118

〈악보 72〉 위대한 쇼맨의 〈This Is Me〉의 Hook 123

초록보기

본 논문은 작곡가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이 뮤지컬 〈Dear Evan Hansen〉에서 어떠한 음악적 표현을 활용하여 그들의 음악어법을 구축시켰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벤지 파섹(Benj Pasek)과 저스틴 폴(Justin Paul)은 미시간 대학교 동문으로 신입생 시절부터 함께 음악 작업을 진행했으며, 대학을 졸업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파섹 앤 폴(Pasek and Paul)'이라는 이름의 작곡 팀으로 활동하였다.

뮤지컬 〈Dear Evan Hansen〉은 작곡가 벤지 파섹이 고등학교를 다니던 중에 동료 학생의 죽음으로 인해 영감을 받았던 경험이 담긴 실제 이야기를 작가인 스티븐 레빈슨(Steven Levenson)이 각색하여 쓴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1막과 2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장면별로 등장하는 뮤지컬 음악은 총 33개의 넘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작곡가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은 피아노, 기타를 중심으로 한 베이스, 드럼을 포함한 대중음악의 밴드 구성에 현악 3중주를 결합하여 작곡하였다. 또한, 그들은 음향효과(SFX)를 활용한 루프 스테이션(Loop station)을 추가 사용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SNS)가 등장하는 드라마의 요소와 어우러지는 트렌디한 사운드를 선보였다.

파섹 앤 폴이 뮤지컬 〈Dear Evan Hansen〉에서 작곡한 곡들의 음악적 특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대중음악의 근간이 되는 곡 형식을 대부분의 곡에 채택하여 관객들 모두가 쉽게 즐기고 이해하며, 공감할 수 있는 넘버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 작품에서의 뮤지컬 넘버들을 앞서 말한 악기 편성의 밴드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함께 Verse와 Hook을 기본으로 한 간결한 형식으로 전달하였으며, 여기에 새로운 프레이즈의 Bridge 와 Hook이 추가되면서 청중들로 하여금 익숙하고 안정적인 곡의 구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들은 각각의 뮤지컬 송 넘버의 가사에 라임(Rhythm)을 적극 활용하여 리듬 패턴을 반복함으로써 관객들의 이목을 끌고 흥미를 유발하여 드라마 전달에 도움을 주었다.

뮤지컬 〈Dear Evan Hansen〉의 가사에는 라임의 특징뿐만 아니라, 선율 위를 흐르는 듯한 느낌의 작사 기법도 담겨 있다. 이것은 파섹 앤 폴이 음악 작업을 할 때, 작곡과 작사의 담당에 있어 구분을 두지 않고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작사 기법도 음악적 요소들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음 위를 헤엄치며 흐르는 듯한 느낌은 악기 연주의 상승 진행과 하강 진행의 반복을 근거로 하여 전체 뮤지컬 넘버의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데, 이때 짧은 음가로 구성된 프레이즈 안의 가사가 악기의 선율과 리듬을 따라다니며 함께 움직이는 느낌을 자아낸다. 그들은 이러한 협력 작업을 통해, 극을 구상하는 단계에서 부터 곡과 가사가 완벽하게 하나로 결합된 결과물을 창조해냄으로써 완성도 높은 뮤지컬 음악을 탄생시켰다.

그 밖에도 파섹 앤 폴은 하나의 넘버 안에서의 여러 가지 테마를 가진 라이트모티프(Leitmotiv) 활용, 현악기의 피치카토(Pizzicato) 주법과 스타카토(Staccato) 주법을 사용한 리듬 조성, 리디안 선법(Lydian mode)을 사용하여 밝으면서도 신비한 곡의 분위기 극대화, 희망적 메시지가 함축된 합창의 활용과 같은 음악어법을 통해 뮤지컬 〈Dear Evan Hansen〉의 음악을 다채롭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파섹 앤 폴이 사용한 음악어법은 대중음악이나 뮤지컬, 영화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쓰이는 어법이지만, 그들은 이렇게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음악들의 어법을 앞서 제시한 그들만의 특색 있는 음악적 톤과 결합하여 청중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색다른 느낌을 동시에 주고자 하였다. 또한, 뮤지컬이나 뮤지컬 영화의 작곡 팀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하며 작곡과 작사의 구분 없이 유기적으로 음악을 창조해냄으로써, 하나의 종합 예술인 뮤지컬 음악을 자연스럽게 극 안에 스며들게 하였다. 뮤지컬 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선율이나 리듬, 가사의 요소들을 대중적인 아이디어에서 착안하였으며, 특히 동형 프레이즈를 반복적으로 연주하는 오스티나토 기법을 물결치는 듯한 형태를 가진 상행 선율과 리듬으로 구성하여 작품이 담고 있는 희망적 메시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이 논문은 뮤지컬 〈Dear Evan Hansen〉에서 작곡가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이 시도하였던 음악적인 특징들을 분석하여 그들이 추구하는 음악어법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