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5

1. 연구의 목적 15

2. 연구의 필요성 18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0

1. 연구의 범위 20

2. 연구의 방법 22

제3절 선행 연구 24

1. 중국 코미디 영화 24

2. 닝하오 감독 28

제2장 중국 코미디 영화의 개요 31

제1절 중국 코미디 영화 31

1. 코미디 개념 31

2. 코미디 유형 36

3. 코미디 특징 40

제2절 중국 코미디 영화의 발전 44

1. 초창기 44

2. 발전기 47

3. 성숙기 52

제3절 중국 코미디 영화의 스타일 55

1. 사실적 스타일 55

2. 해학적 스타일 59

3. 은유적 스타일 62

제3장 닝하오 감독 및 영화 작품 65

제1절 닝하오 감독과 작품 65

1. 성장 배경 65

2. 시대 환경 69

3. 수상 작품 73

제2절 영화 〈크레이지 스톤〉의 분석 78

1. 플롯 78

2. 코미디 캐릭터 이미지 80

3. 주제 및 의미 84

제3절 중국 영화의 영향 89

1. 블랙 코미디 스타일 89

2. 포스트모던 환경의 영향 93

3. 영화의 상업화 98

제4장 영화 〈크레이지 스톤〉의 코미디 구성 분석 102

제1절 내러티브 102

1. 다중적 시점 인터랙티브 102

2. 다중적 모티브 105

3. 평행 몽타주 106

제2절 편집 108

1. 연속 편집 108

2. 모티브 편집 109

3. 교차 편집 110

제3절 영상미학 112

1. 현실적 영상 112

2. 부조화적 테크닉 113

3. 기호학의 응용 114

제5장 영화 〈크레이지 스톤〉 코미디 캐릭터 구축 분석 117

제1절 캐릭터의 구축 117

1. 캐릭터 설정 117

2. 캐릭터 생성 120

3. 캐릭터 특징 123

제2절 캐릭터 스타일 129

1. 도둑 구성 131

2. 경비원 구성 135

3. 조수 구성 136

제3절 캐릭터의 표현 양식 139

1. 코미디 효과 139

2. 코미디 충돌 143

3. 코미디 해체 147

제6장 영화 〈크레이지 스톤〉 코미디 캐릭터의 구성요소 151

제1절 다이알로그와 동작 151

1. 코미디 다이알로그 151

2. 코미디 동작 158

3. 코미디 감정 164

제2절 분장과 의상 168

1. 분장 168

2. 의상 171

3. 도구 활용 174

제3절 카메라와 미장센 178

1. 무빙 효과 178

2. 사운드 효과 183

3. 조명과 미장센 186

제7장 닝하오 감독의 중국 영화에의 영향 192

제1절 창작자에의 영향 192

1. 예술성 192

2. 현실 반영 196

3. 창작성 199

제2절 관객자에의 영향 202

1. 오락성 202

2. 인생에 대한 사고(思考) 205

3. 이상주의 208

제3절 중국 영화에의 영향 211

1. 문화 전승 211

2. 풍자의 정신 214

3. 상업성 증대 217

제8장 결론 221

제1절 연구의 요약과 의의 221

1. 연구의 요약 221

2. 연구의 의의 224

제2절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 226

1. 연구의 한계점 226

2. 연구의 시사점 227

참고 문헌 230

ABSTRACT 243

표목차

〈표 1〉 닝하오 감독 작품의 평점 상황 73

〈표 2〉 닝하오 감독 작품의 수상 현황 76

〈표 3〉 닝하오 감독 작품의 수상 현황 2 77

〈표 4〉 닝하오 감독 작품의 수상 현황 3 78

그림목차

〈그림 1〉 닝하오 감독 66

〈그림 2〉 영화 〈목요일, 수요일〉 포스터 67

〈그림 3〉 보안 팀장 포세홍 80

〈그림 4〉 도둑의 두목 도형 81

〈그림 5〉 도둑 흑피 82

〈그림 6〉 토지상인 펑둥 83

〈그림 7〉 국제 대도 마이크 84

〈그림 8〉 영화 〈은메 달리스트〉 촬영 장면 95

〈그림 9〉 절도단의 이미지 131

〈그림 10〉 도형 캐릭터의 이미지 132

〈그림 11〉 흑피 캐릭터의 이미지 133

〈그림 12〉 소군 캐릭터의 이미지 134

〈그림 13〉 포세홍 표정의 표현 135

〈그림 14〉 조수 안경쟁이의 이미지 136

〈그림 15〉 감독과 배우들 캐릭터를 토론하는 장면 154

〈그림 16〉 〈크레이지 스톤〉 촬영 현장 155

〈그림 17〉 황보 촬영 현장 156

〈그림 18〉 배우들 대사를 토론하는 장면 157

〈그림 19〉 감독과 배우들 동작 표현을 토론하는 장면 159

〈그림 20〉 감독과 배우들이 쫓아다니는 장면 161

〈그림 21〉 감독 동작 시범하는 장면 162

〈그림 22〉 캐릭터 동작을 촬영하는 NG 장면 163

〈그림 23〉 배우가 캐릭터의 연기를 고민하는 장면 166

〈그림 24〉 감독이 모니터를 보는 장면 167

〈그림 25〉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배우를 위해 분장하는 장면 170

〈그림 26〉 배우들 의상과 도구를 토론하는 장면 173

〈그림 27〉 도구로 편집하는 장면 176

〈그림 28〉 도구용 차량 선정하는 장면 177

〈그림 29〉 클로즈업 쇼트 장면 180

〈그림 30〉 캐릭터 과장한 표현 장면 181

〈그림 31〉 하이 앵글 쇼트 장면 181

〈그림 32〉 움직이는 장면을 촬영하는 장면 182

〈그림 33〉 우물 아래에서 촬영하는 장면 188

〈그림 34〉 우울 아래 조명 촬영 효과 189

〈그림 35〉 주먹 익스트림 쇼트 조명 효과 190

〈그림 36〉 얼굴 익스트림 쇼트 조명 효과 191

〈그림 37〉 닝하오 강연의 장면 193

〈그림 38〉 닝하오(우)와 프로듀서 류덕화(좌) 194

〈그림 39〉 영화 〈몽골리안 핑퐁〉 포스터 197

〈그림 40〉 영화 〈브레이크업 버디즈〉 포스터 198

〈그림 41〉 영화 〈몽골리안 핑퐁〉 스틸 200

초록보기

닝하오(寧浩)는 중국 영화계에서 특수한 재능을 가진 신세대 감독으로 불리고, 코미디의 본질적인 특징을 탐구하고 전통 창작의 법칙을 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의 영화는 사회 실생활을 바탕으로 하여 일반 대중의 실생활과 사회문제를 코미디 형식으로 표현한다. 닝하오 감독은 대중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코미디 표현 방식으로 보편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코미디의 특색을 살리면서 코미디 정신으로 가득 찬 영화를 만들었다.

중국 전통문화는 오랫동안 쇠퇴하지 않고 그 사상과 정신이 담긴 정수(精髓)를 유지하고 있지만 봉건성과 계급성이 그대로 남아있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닝하오 감독은 정수를 취하고 찌꺼기를 버리는 문화 전승 정신으로 영화를 통해 중국 문화의 위대함과 심오함을 남기되 및 버려야할 것들을 풍자적으로 보여준다. 닝하오 감독은 문화에 대해 분석이 매우 뚜렷해서 지금까지 중국 감독들 중 누구도 따라올 수 없다.

본 논문은 닝하오 감독의 대표작 〈크레이지 스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코미디 인물의 캐릭터 분석과 캐릭터 설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코미디 영화에서 닝하오를 비롯한 감독들이 캐릭터를 설계하는 특징과 예술적 기법을 살펴보았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주로 3절로 나누어 논문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범위, 그리고 선행연구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2장은 중국 코미디 영화의 개념을 정리하여 중국 코미디 영화의 창작 스타일에 대해서 분석하고 중국 코미디 영화의 발전 과정을 고찰함과 동시에 중국 코미디 영화의 발전역사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3장은 닝하오 감독과 작품을 고찰하였다. 닝하오는 신세대 영화감독 중에서 영화 시장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일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코미디 표현으로 침체된 중국 영화시장에서 하나의 기적을 만들어냈다.

제4장은 〈크레이지 스톤〉의 코미디 속 촬영 기술에 대해 묘사하고 설명한다. 영화 〈크레이지 스톤〉의 전체적인 면을 살펴본 뒤 세부적이고 구조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기교적 측면에서 좀 더 포괄적인 연구를 통해 영화 전체의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제5장은 영화 〈크레이지 스톤〉 속 캐릭터에 대한 분석이다. 본 장에서는 영화 속의 도둑, 경비원, 조수의 구성요소에 대해 분석하며, 언어 사용, 동작, 감정 등 측면에서 캐릭터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제6장은 〈크레이지 스톤〉의 캐릭터를 통해서 배우와 감독이 어떻게 디테일 있게 캐릭터를 만들어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7장에서는 닝하오 감독의 영화가 보여주는 코미디 영화 창작의 의미와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닝하오 감독의 영화는 가치관에 대한 감독의 추가 인정을 창조하고, 인물에게 새로운 정신적 핵심을 부여하였다. 그래서 예술적인 면과 상업적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냈다.

제8장은 앞에서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또 닝하오 감독의 작품을 통해 향후 중국 코미디 영화의 발전에 대한 건의를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