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1. 연구 목적 13
1.2. 선행 연구 16
1.3. 연구 내용 및 방법 23
II.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절 구조 특성 26
2.1. 한국어 음절 구조 26
2.2. 베트남어 음절 구조 30
2.3.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절 구조 비교 37
III. 한국어와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적 특징 40
3.1.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적 특징 40
3.1.1. 단독형 41
3.1.2. 반복형 43
3.1.3. 음운교체 양상 50
3.2.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적 특징 64
3.2.1. 단독형 65
3.2.2. 반복형 66
3.2.3. 음운교체 양상 78
3.3. 한국어와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적 특징 대조 89
3.3.1. 단독형 대조 89
3.3.2. 반복형 대조 89
3.3.3. 음운교체 양상 대조 94
IV.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교육 현황 100
4.1. 한국어 교재의 선택 및 분석 기준 100
4.2. 대학기관의 한국어 교재 분석 103
4.3.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교재 분석 121
V. 한국어 교육용 의성어 의태어 목록 선정 128
5.1. 목록 선정 기준 및 절차 128
5.2.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목록 선정 132
5.2.1. 한국어 교육 자료 검토 132
5.2.2.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목록 선정 140
5.3. 선정한 목록 등급화 145
5.4. 목록 선정 결과 검토 155
VI. 결론 170
참고문헌 173
부록 178
〈부록 1〉 참고 자료들에 중복된 어휘들 빈도수 178
〈부록 2〉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에 대한 설문 조사(중급) 189
〈부록 3〉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에 대한 설문 조사(고급) 193
ABSTRACT 198
〈표 2-1〉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 27
〈표 2-2〉 한국어의 이중모음 체계 28
〈표 2-3〉 한국어의 자음 체계 28
〈표 2-4〉 한국어의 음절 구조 유형 29
〈표 2-5〉 베트남어의 모음 체계 32
〈표 2-6〉 베트남어의 모음조합 체계 34
〈표 2-7〉 베트남어의 자음조합 체계 35
〈표 2-8〉 베트남어의 성조 체계 36
〈표 2-9〉 베트남어의 음절 구조 유형 37
〈표 3-1〉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단독형의 유형 41
〈표 3-2〉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동음 반복형의 유형 43
〈표 3-3〉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모음 교체형의 유형 48
〈표 3-4〉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자음 교체형의 유형 48
〈표 3-5〉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음절 교체형의 유형 48
〈표 3-6〉 한국어 동음 반복어의 모음 교체 유형 52
〈표 3-7〉 한국어 음성상징의 대소 대립 체계 53
〈표 3-8〉 한국어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의 체계 53
〈표 3-9〉 한국어 모음상대 법칙 54
〈표 3-10〉 한국어 자음가세 법칙 55
〈표 3-11〉 동음 반복어의 자음 교체 유형 57
〈표 3-12〉 동음 반복어의 어말 교체 유형 58
〈표 3-13〉 어말 자음(종성)의 특징 59
〈표 3-14〉 유음 반복어의 자음 교체 유형 62
〈표 3-15〉 유음 반복어의 음절 교체 유형 63
〈표 3-16〉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 단독형의 유형 66
〈표 3-17〉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 동음 반복형의 유형 67
〈표 3-18〉 베트남어 성조 체계 69
〈표 3-19〉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 성조 교체 반복형의 유형 70
〈표 3-20〉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 끝음 교체형의 유형 73
〈표 3-21〉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 첫음 반복형의 유형 74
〈표 3-22〉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 운 반복형의 유형 76
〈표 3-23〉 베트남어 성조 체계 78
〈표 3-24〉 2음절 반복형의 성조 교체 유형 79
〈표 3-25〉 3음절 반복형의 성조 교체 유형 80
〈표 3-26〉 4음절 동음 반복형의 성조 교체 유형 81
〈표 3-27〉 4음절 유음 반복형의 성조 교체 유형 81
〈표 3-28〉 4음절 두음 반복형의 성조 교체 유형 81
〈표 3-29〉 4음절 운반복형의 성조 교체 유형 82
〈표 3-30〉 끝음 위치의 자음 교체 유형 82
〈표 3-31〉 부분반복형의 모음 교체 유형 84
〈표 3-32〉 운 반복형의 자음 교체 유형 85
〈표 3-33〉 두음반복형의 운 교체 유형 88
〈표 3-34〉 한국어와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의 단독형 대조 89
〈표 3-35〉 한국어와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의 반복형 대조 89
〈표 4-1〉 베트남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현황 100
〈표 4-2〉 경희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의성어 의태어 103
〈표 4-3〉 경희대학교 한국어 교재의 의성어 의태어 제시 방법 105
〈표 4-4〉 서울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의성어 의태어 107
〈표 4-5〉 서울대학교 한국어 교재의 의성어 의태어 제시 방법 109
〈표 4-6〉 고려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의성어 의태어 112
〈표 4-7〉 고려대학교 한국어 교재의 의성어 의태어 제시 방법 114
〈표 4-8〉 서강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의성어 의태어 116
〈표 4-9〉 서강대학교 한국어 교재의 의성어 의태어 제시 방법 118
〈표 4-10〉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의성어 의태어 119
〈표 4-11〉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의성어 의태어 122
〈표 4-12〉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교재의 의성어 의태어 제시 방법 124
〈표 4-13〉 한국어 교재의 의성어 의태어 수 125
〈표 5-1〉 6개 기관의 교재에 제시하는 의성어 의태어 132
〈표 5-2〉 국립국어원(2017) 및 국립국제교육원(2015)에서 제시하는 의성어... 135
〈표 5-3〉 조남호(2003)에서 제시된 단계별 의성어 의태어 목록 137
〈표 5-4〉 왕뢰(2012)에서 제시된 단계별 의성어 의태어 목록 138
〈표 5-5〉 안예은(2018)에서 제시된 의성어 의태어 목록 140
〈표 5-6〉 의성어 의태어 빈도수 분포 141
〈표 5-7〉 3번 이상 나오는 의성어 의태어 목록 143
〈표 5-8〉 한국어 교육용 의성어 의태어 목록 144
〈표 5-9〉 선정된 교육용 의성어 의태어 목록 등급화 146
〈표 5-10〉 중급 의성어 의태어 최종 목록 150
〈표 5-11〉 고급 의성어 의태어 최종 목록 151
〈표 5-12〉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기간 156
〈표 5-13〉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습득 경로 157
〈표 5-14〉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에 대한 인식 및 사용 능력 158
〈표 5-15〉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 159
〈표 5-16〉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에 대한 교육 요구 159
〈표 5-17〉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에 대한 학습 동기 160
〈표 5-18〉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교육 내용에 대한 학습 요구 161
〈표 5-19〉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학습에 어려운 점 162
〈표 5-20〉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 162
〈표 5-21〉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반복 형태에 대한 인식 분석 163
〈표 5-22〉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음운교체에 대한 인식 분석 164
〈표 5-23〉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유형에 대한 인식 조사 166
〈표 5-24〉 중급단계 학습 목록의 적합성 조사 167
〈표 5-25〉 고급단계 학습 목록의 적합성 조사 167
〈표 5-26〉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반복형에 대한 학습 시작 단계 조사 168
〈표 5-27〉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음운교체형에 대한 학습 시작 단계 조사 168
〈그림 2-1〉 베트남어의 음절 체계 31
〈그림 3-1〉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적 분류 41
〈그림 3-2〉 베트남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적 분류 65
〈그림 4-1〉 경희대 교재 등급별 의성어 의태어의 비율 104
〈그림 4-2〉 서울대 교재 등급별 의성어 의태어의 비율 108
〈그림 4-3〉 고려대 교재 등급별 의성어 의태어의 비율 113
〈그림 4-4〉 서강대 교재 등급별 의성어 의태어의 비율 117
〈그림 4-5〉 이화여자대 교재 등급별 의성어 의태어의 비율 120
〈그림 4-6〉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교재 등급별... 123
〈그림 5-1〉 한국어 교육용 의성어 의태어 목록 선정 절차 131
〈그림 5-2〉 교육용 목록에 나타난 등급별 의성어 의태어 비율 147
〈그림 5-3〉 등급별 의성어 의태어 단독형과 반복형의 분포 152
〈그림 5-4〉 단계별로 어휘 유형 분포 153
베트남어보다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는 잘 발달되었고 일상생활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를 공부하고 사용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는 감정과 느낌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언어 사용의 유창성을 함양할 수 있다. 그러나 베트남과 한국 양국의 언어 차이가 있고 형태 구조도 다르기에 양국 언어의 의성어 의태어는 형태에 있어 차이가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 학습자가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를 배울 때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외국인을 위한 의성어 의태어의 교육 방안 연구가 점차적으로 많아지고 있긴 하지만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육은 많이 부족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나 교육 목록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인다.
본 연구는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의 자료들을 이용하고 검토하여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어휘 목록을 선정하는 데에 그 목적이었다.
우선 양국의 언어 유형이 달라서 양국의 음절구조의 특성을 먼저 살펴보고 양국의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적 특징, 음운교체 양상 두 가지로 대조하여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밝혔다.
그 다음에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교육용 목록을 선정하기 위해서 베트남 내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6개 기관의 교재 내용 중 의성어 의태어 목록, 한국 교육기관들과 의성어 의태어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목록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는 메타 계량 방법을 이용하여 공통 목록의 중복도를 중심으로 의성어 의태어 공통 목록을 노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어의 특징과 베트남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선정된 공통 목록은 단계별로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적 특징에 따른 중급과 고급학습자에게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목록을 제시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