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11
1. 연구 배경과 목적 11
2. 연구 범위 및 방법 13
II. 미술치료의 이론적 배경 15
1. 미술치료의 개념 15
2. 미술치료의 역사 18
3. 마가렛 나움버그와 에디스 크레이머의 이론 20
III. 미술치료의 이론적 방법 23
1. 정신분석적 미술치료(Psychoanalitic art therapy) 23
2. 분석 심리적 미술치료(Analytical art therapy) 25
3. 게슈탈트 미술치료(Gestalt art therapy) 26
4. 인간중심 미술치료(Person-centred art therapy) 28
5. 페미니즘 미술치료(Feminist approaches to art therapy) 28
1) 페미니즘(Feminism) 28
2) 페미니즘 미술의 개념 32
3) 페미니즘 미술의 전개 33
4) 페미니즘 미술의 특징 34
5) 페미니즘 미술과 미술치료 37
IV. 이상 심리적 장애와 미술치료 39
1. 정신장애의 유형 40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41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특징 41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치유 42
3.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s) 43
1) 해리성 인격장애 원인 43
2) 해리성 인격장애 증상 44
4. 신경증(Neurosis) 45
1) 우울 신경증(Depressive neurosis) 46
2) 강박신경증(Obsessive-compulsive neurosis) 47
5. 창작을 통한 불안의 극복 49
1) 정신적 장애와 미술치료 50
2) 정신적 장애, 창작활동으로 치료적 기제(機制) 51
V. 미술치료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 53
1. 감정과정과 반응 53
2. 시각계 과정과 역할 56
3. 스트레스 반응과 적응이론 57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뇌영역 58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서 전전두피질의 역할 59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신경생물학적 특성 59
4. 뇌와 미술활동 61
VI. 예술가들의 미술치료와 승화 63
1.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2010) 63
1) 루이즈 부르주아의 생애와 정신적 외상 64
2)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세계 66
3)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분석 68
2.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 1930~2002) 91
1) 니키 드 생팔의 생애와 정신적 외상 91
2) 니키 드 생팔의 작품세계 97
3) 니키 드 생팔의 작품분석 99
3.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1929~) 111
1) 쿠사마 야요이(草間彌生)의 생애와 정신적 외상 111
2)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세계 116
3)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분석 118
VII. 결론 135
참고문헌 138
국문 초록 143
ABSTRACT 146
그림 1. 정신장애의 발생에 관한 취약성-스트레스 모형 39
그림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특징 42
그림 3. 뒤러 〈멜랑콜리아1〉 24x18.8, 1514년 47
그림 4. 감정에 관여하는 편도체와 다른영역들, 즉 선조... 54
그림 5. 감각자극의 이중경로 55
그림 6. 시각경로 56
그림 7.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전엽의 신경호르몬 작용 57
그림 8. 〈maman〉 리움미술관 63
그림 9. 여성-집 Femme Maison, 1994 65
그림 10. 〈무제 Untitled〉, 종이위에잉크, 28x21cm, 1941 69
그림 11. 〈집=여자 Femme Maison〉, 캔버스 유채, 린넨 유채, 종이위 잉크, 1946-47 70
그림 12. 〈Personages〉, 1947-49 71
그림 13. 〈한 존재와 타자(One and Others)〉, 1955 71
그림 14. 〈굴집(Lair)〉, 1962 72
그림 15. 〈굴집(Lair)〉, 1962-63 72
그림 16. 〈재봉새(Tailor-bird)〉 Fee Couturiere, 1963 72
그림 17. 〈작은소녀(Fillette)〉, 석고, 라텍스59.5x26.5x19.5cm, 1968 74
그림 18. 〈작은 소녀를 들고 있는 루이스 부르주아〉, 1982 74
그림 19. 〈개화(開花)하는 야누스(Janus fleuri)〉 청동, 퍼티,... 76
그림 20. 〈나이프 여인 Femme couteau〉 분홍색 대리석, 18.9x67x12.4㎝, 1969 76
그림 21. 〈나이프 여인 Femme couteau〉 대리석, 9x74x14.3㎝, 1982 76
그림 22. 〈아버지의 파괴 The Destruction of the Father〉, 혼합매체,... 79
그림 23. 〈자연연구(Naturestudy〉 분홍대리석,87.6x44.5x38.1cm,... 80
그림 24. 〈암여우(She-fox)〉, 검정 대리석, 179x65.8x81.2cm, 1985 80
그림 25. 〈붉은 방(부모)Red Rooms(Paren)〉 설치, 혼합재료, 215x419x419cm, 1994 82
그림 26. 〈붉은 방(아이)Red Rooms(Child)〉, 설치, 혼합재료, 210.8x353.1x274.3cm, 1994 82
그림 27. 〈거미(Spider)〉, 청동, 326.4x756.9x706.1cm, 1996 85
그림 28. 〈마망(Maman)〉, 청동, 326.4x756.9x706.1cm, 1996 85
그림 29. 〈Why have you run so far away?〉 분홍색 천 조각... 87
그림 30. 〈TheCouple〉, 48.3x15.9x15.2cm, 2001 88
그림 31. 〈꽃(Les fleurs)〉, 종이에 구아슈 6세트, 60x46cm, 2009 90
그림 32. 전시포스트, 2018 91
그림 33. 〈Traces: An utobiogra phy remembering〉,1930~49 95
그림 34. 〈Traces: An utobiography remembering〉, 1930~49 95
그림 35. 〈Saint-Sebastien or Portrait of My lover〉, 72X55X7㎝, 1961 100
그림 36. 〈Vénus de Milo〉, 193x64x64cm, 1962 100
그림 37. 〈De mort du Gambrinus〉, 1963. 100
그림 38. 〈킹콩(King Kong)〉, 1962 101
그림 39. 〈여성들의 제단(Autel des femmes)〉, 1964. 102
그림 40. 〈장밋빛 출산(Accouchement rose)〉, 1964 102
그림 41. 〈게걸스럽게 먹는 어머니(Devouring mother)〉, 1970 103
그림 42. 〈DancingNana "Anna"〉 1966 104
그림 43. 〈DancingNana "Anna"〉 1966 104
그림 44. 〈Upside-down Nana〉 1967 104
그림 45. 〈Black venus〉, 1967 104
그림 46. 〈Black heroes〉 1998 104
그림 47. 〈LeParadis Fantastique〉 1967 106
그림 48. 〈골렘(Golem)〉 1972 106
그림 49. 〈그녀(Hon)-대성당(Cathedral)〉, 1966 107
그림 50. Hon의 설계도면 107
그림 51. 〈Stravinsky fountain〉, 1983 108
그림 52. 〈Stravinsky fountain〉, 1983 108
그림 53. 〈Tarot Garden〉 정원의 타로조각, 1980-1998 109
그림 54. 〈Tarot garden〉 황후, 1980-1998 109
그림 55. 〈Tarot garden〉 마술사, 1980-1998 109
그림 56. 〈Tarot garden〉 악마, 1980-1998 109
그림 57. 〈Tarot garden〉 은둔자, 예언자,1980-1998 109
그림 58. 〈Tarot garden〉, 죽음, 1980-1998 109
그림 59. 2018년 전시 방문한 기념사진 111
그림 60. 2018년 전시 방문한 기념사진 111
그림 61. 〈Untitled〉,1939 112
그림 62. 〈Infinity Nets〉, 1951 119
그림 63. 〈Accumulation No.18a〉, savers and charcoal on paper, 50.2x64.8㎝, 1962 120
그림 64. 〈Untitled-무제〉, Oil on canvas, 101.6x127㎝, 1967 120
그림 65. 〈The Secret lake〉, Acrylic on canvas, 53x46cm. 1988 121
그림 66. 〈Flower-꽃〉, Acrylic on canvas, 45.2x37.9cm. 1979 121
그림 67. 〈Lingering dream〉, 1949 121
그림 68. 〈Flower, No.8꽃〉, acrylic 36.2x31.8㎝, 1953 122
그림 69. 〈Untitled〉 watercolour, ink and crayon 37.5x33cm 1949 122
그림 70. 〈Net-No.2 yellow〉, oil on iberboard, 96.5x71cm, 1960 123
그림 71. 〈Red nets NO.2〉 oil on canvas, 71.1x55.9cm, 1960 123
그림 72. 〈Infinity nets yellow〉, Acrylic on canvas, 1960 123
그림 73. 〈Butterfly〉, water color 24.1x27cm, 1979 124
그림 74. 〈The season of pumpkin 南瓜季節〉, 51.5x65.5cm, 1979 124
그림 75. 〈Pumpkin〉, acrylic on canvas, 53x45.5cm, 2002 125
그림 76. 〈Let's Go, Beyond the sky〉, acrylic on canvas,... 125
그림 77. 〈AccumulationNo.1〉, 121.9x121.9x121.9cm, 1962 126
그림 78. 〈Aggregation: One thousand boats show〉, 1963 127
그림 79. 〈Silver shoes (23 objects)〉, 1976/1977 127
그림 80. 〈Food Obssesion〉,1964 128
그림 81. 〈Narcissus Garden〉, 1966 128
그림 82. 〈Narcissus garden〉, 1966 128
그림 83. 〈Alice in wonderland〉,happening, 1968 Central park, New York 129
그림 84. 〈Naked happening orgy and flag burning〉, 1968 Brooklyn bridge New York 130
그림 85. 〈A homosexual happening and fashion show〉, 1968 Kusama's studio, New York 130
그림 86. 〈Infinity mirrored room - Love forever〉, 1996 131
그림 87. 〈Infinity mirrored room (the very famous one)〉, 2002 131
그림 88. 〈Flowers that speak all about my heart given to the sky〉, 2002 132
그림 89. 〈Love is calling〉, 2013 132
그림 90. 〈Dots obsession: New century〉, 2000 132
그림 91. 〈Pumpkin〉, plastic, polyurethane, paint, 1994, 200x250x250cm 132
'예술이 삶의 최고의 과제'라는 니체의 말은 단순히 예술이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는 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포괄적 의미에서 삶의 창조 활동이다. 이미지의 창조에 대한 인간의 본능은 상상 속에서 온갖 다양한 경험과 감정을 탐구하고 시도할 기회를 준다.
20세기 들어 예술의 치유적 의미가 부각 되면서 '예술'이라는 분야가 임상 의학의 새로운 도구로 자리 잡으며 예술과 치료가 결합 되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예술치료 분야 중 미술과 치료가 결합 된 임상 분야가 미술치료이다. 미술치료는 정신분석적 이론과 함께 현대 미술가들은 자유연상과 적극적 상상의 결과로 창의적 활동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표현함으로서 무의식을 표출시켜 비합리적 인식에 대한 객관성으로 감정의 정화(chatharis)와 자기성찰과 흡사한 승화(sublimation)를 경험하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는 예측 불가능한 다양한 사고와 사건을 겪는다. 이러한 경험은 무의식에서 스트레스와 다양한 상처를 만들며 이를 적절히 치유하지 못할 경우 과대한 자의식으로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표출이 된다. 미술치료에서 말하는 무의식의 내면 경험들을 소출한 작가들의 작품 세계의 형성을 추적하여 정체성의 문제와 현실 인식의 문제, 관계성과 소통의 문제에 대해 어떻게 미술 창작 과정이 치유적 작용을 하였는지에 대해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현대 페미니즘 화가 3인 -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 야요이 쿠사마(Yayoi Kusama) -을 통해 작가 그들의 삶에서 보여준 고유의 문제의 주제들이 투영된 상징적 이미지를 형상화함으로써 내면의 문제들이 심미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승화로 극복한 인물들이다. 유년기 가정교사와 아버지의 외도와 가부장적 가족 관계의 정신적 외상(멜랑콜린적 트라우마)을 모티브로 작업한 성 정체성에 의혹을 제기하며 작업한 부르주아, 아버지로부터 당한 성폭행과 이른 나이의 결혼으로 사회적 구성의 '여성의 역할'로 억압된 외상(해리장애)을 모티브로 '슈팅 페인팅' 작업을 한 생 팔, 어머니의 학대와 전쟁의 분위기로 인하여 유년기부터 앓아왔던 '강박신경증'으로 물방울무늬와 무한망을 통한 반복 작업을 하며 '무한 소멸'로 안정감을 찾는 쿠사마. 예술 창작활동의 치유적 효과를 제시하는 3인의 화가들이 작가 개개인의 방식대로 작품에 대한 자전적 심리학적 접근으로 문제들을 풀어나간 흔적을 찾아, 작가 작품에 내재 된 치유적 요인을 미술치료 관점에서 수집과 분석으로 화가의 존재론적 문제를 창작이 어떻게 치유 적일 수 있는가를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인간의 고통과 불행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이상심리학 연구로 접근하여 그와 관련된 뇌 생리학적 관계도 조사하였다.
미술 창의적 활동은 인간의 무의식을 의식화하면서 자신의 욕망, 상처, 소원하는 것 등에 직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행위는 자연스럽게 치유로 이어져 미술치료 분야에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미술치료의 많은 연구와 임상사례는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와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이론에 배경을 두고 있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자유분방한 원초적 에너지로 자유연상에 의해 미술치료라는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고 융의 집단 무의식과 원형은 적극적 심상을 통해 미술치료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미술이 무의식 세계에 접근했다는 측면에서 볼 때 프로이드와 융의 이론적 배경 연구는 필수적이다.
미술치료는 치료를 중시하는 입장과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나뉘는데 나움버그의 '표현 미술치료(Expressive art therapy)'학과 크래머의 '창조적 미술치료(Creative art therapy)학 있으나 본 연구는 크래머의 '창조적 미술치료'의 입장에서 정신분석이론과 예술치료, 융합 전시의 의미와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미술치료의 개념과 역사 페미니즘의 현황까지 분석을 토대로 작가·작품 분석을 통하여 상처받고 억압된 자아가 표출되는 과정을 작품 안에 형태와 이미지에서 찾아내었다. 작품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던 결과는 부르주아, 생 팔, 쿠사마 이들은 미술 활동을 통하여 자신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강력한 감정들을 방출하여, 이로써 자아의 상처는 숨겨야 할 부정의 대상이 아닌 개인의 발달과 성숙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작품활동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진 긍정의 대상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 같은 예술가들을 추적 분석하여 크래머의 ' 창조적 미술치료 '전망을 제시하여, 개인 안에 존재하는 창조 과정을 활용하도록 하여야 하며, 성숙 된 인간과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이 향후의 과제로, 미술치료가 뇌 변화의 연관성도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