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Title Page

ABSTRACT

Contents

INTRODUCTION 9

MATERIALS and METHODS 11

Study population and design 11

Perioperative management and follow-up protocol 13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irway complications 14

Statistical analysis 15

RESULTS 16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16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airway complication group and non-airway complication group 18

Risk factors for airway complication 21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irway complications 24

Impact of airway complications on survival 28

DISCUSSION 30

REFERENCES 37

국문 요약 41

Figure 1. The incidence of airway complications 17

Figure 2. Comparison of baseline characteristics airway complication group and non-airway... 19

Figure 3. Comparison of perioperative management airway complication group and non-... 20

Figure 4. Risk factors for airway complication assessed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22

Figure 5.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irway complications, management of airway complications 25

Figure 6.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for patients with airway complication versus... 29

Figure 7.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BMI ≥ 25 and... 33

Figure 8.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ECMO... 35

초록보기

폐 이식은 말기 폐질환에 대한 유일한 치료 수단이자 장기 생존 및 삶의 질 향상 효과가 입증된 치료로, 최근 한국에서도 그 시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폐 이식의 예후 또한 점차 향상되고 있으나, 기도 합병증은 여전히 수술 후 주요 합병증으로 남아 폐 이식 후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을 차지한다. 하지만 폐 이식 후 기도 합병증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며, 이전 연구 결과들은 뚜렷한 일관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 이식 후 기도 합병증의 위험 인자, 특성 및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8 년부터 2021 년까지 폐 이식을 시행한 154 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추적관찰 기간 동안 폐 이식 후 기도 합병증이 발생한 기도 합병증 발생군과 발생하지 않은 기도 합병증 비발생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1.3 세로, 남성이 63%를 차지하였다. 중앙 추적관찰 기간은 20 개월이었으며, 해당 기간 동안 154명의 환자 중 총 31명 (20.1%)이 폐 이식 후 기도 합병증을 경험하였다. 가장 흔한 기도 합병증은 기도 협착이었으며, 기도 허혈, 괴사, 연화증이 뒤를 이었다. 폐 이식 후 기도 합병증 발생 위험인자에 대한 분석 결과, 수혜자의 높은 체질량 지수와 폐 이식 후의 체외막산소요법은 기도 합병증 발생에 대한 유의한 독립적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기도 합병증이 발생한 31 명 중 22 명 (71.0%)에게 풍선 확장술 혹은 스텐트 삽입술과 같은 기관지내시경 중재술이 시행되었으며, 기관지내시경 중재술 시행과 연관된 심각한 시술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기도 합병증 발생군과 비발생군 사이의 생존율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식 후 기도 합병증은 여전히 20% 내외의 발생률과 함께 폐 이식 후 주요 문제로 남아있다. 수혜자의 높은 체질량 지수와 폐 이식 후의 체외막산소요법이 기도 합병증의 위험을 유의하게 높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환자군에서 기도 합병증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기도 합병증은 보존적 치료 혹은 기관지내시경 중재술에 의해 성공적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폐 이식 후 기도 합병증의 발생은 생존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