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5

제1장 서론 17

제2장 이론적 고찰 21

2.1. 조선화포에 대한 기록물 21

2.1.1. 조선화포에 대한 기록물 21

2.1.2. 조선화포 기법 30

2.1.3. 조선화포 문양의 종류 33

2.2. 속성열거법에 대한 고찰 52

2.2.1. 속성열거법의 내용 및 특징 53

2.2.2. 속성열거법의 진행 절차 54

제3장 조선화포 문양을 활용한 작품 개발 57

3.1. 디자인 콘셉트 58

3.2. 디자인 개발 59

3.2.1. 조선화포문양 도안을 활용한 문양 디자인 개발 59

3.2.2. 속성열거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64

3.3. 작품 제작 68

3.3.1. 작품 1 68

3.3.2. 작품 2 73

3.3.3. 작품 3 79

3.3.4. 작품 4 85

3.3.5. 작품 5 91

제4장 결론 96

참고문헌 99

부록 104

ABSTRACT 111

표목차

〈표 2-1〉 「과도갱사비전서」의 색을 입히는 순서 33

〈표 2-2〉 기하 문양의 조선화포 도안 34

〈표 2-3〉 식물 문양의 조선화포 도안 38

〈표 2-4〉 단화문과 유사한 문양 유형 40

〈표 2-5〉 동물 문양의 조선화포 도안 44

〈표 2-6〉 사물 문양의 조선화포 도안 48

〈표 2-7〉 문양의 구성에 따른 분류 50

〈표 2-8〉 속성열거법의 적용 예시 55

〈표 3-1〉 개발한 조선화포 문양 목록 62

〈표 3-2〉 '전통의상'의 이미지 나열 64

〈표 3-3〉 한국 전통의상의 종류와 착용모습 64

〈표 3-4〉 '전통의상'의 속성과 디자인 아이디어 66

〈표 3-5〉 작품 1의 속성열거법 적용 72

〈표 3-6〉 작품 2의 속성열거법 적용 77

〈표 3-7〉 작품 3의 속성열거법 적용 83

〈표 3-8〉 작품 4의 속성열거법 적용 89

〈표 3-9〉 작품 5의 속성열거법 적용 94

그림목차

〈그림 2-1〉 스즈타 시게토의 목판접갱사 23

〈그림 2-2〉 과도갱사비전서 24

〈그림 2-3〉 과도갱사 염색직물로 포장된「에가시라 가문 가계 (江頭氏家系)」 과도갱사·단통전, 1977, p.7 26

〈그립 2-4〉 「갱사일기 (更紗日記)」 과도갱사·단통전, 1977, p.7 26

〈그림 2-5〉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 28

〈그림 2-6〉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여 28

〈그림 2-7〉 「차라사초여」의 문양 스와치 구성과 번호기재란 28

〈그림 2-8〉 「증보화포편람」 표지 29

〈그림 2-9〉 「증보화포편람」의 화포 출처 기록 29

〈그림 2-10〉 「증보화포편람」의 조선 화포문양 도안의 일부 29

〈그림 2-11〉 「갱사도보」 표지 30

〈그림 2-12〉 화포의 출처가 지워져 있는 「갱사도보」 화포 도판의 일부 30

〈그림 2-13〉 과도갱사의 염색 색상 31

〈그림 2-14〉 「과도갱사비전서」의 염료 조정법 기록의 일부 32

〈그림 2-15〉 능화문 (菱花紋) 34

〈그림 2-16〉 소화구갑문 (小花龜甲紋) 34

〈그림 2-17〉 선조문 (線條紋) 34

〈그림 2-18〉 원화격자문 (圓花格子紋) 35

〈그림 2-19〉 소화태극문1 (小花太極紋1) 35

〈그림 2-20〉 소화태극문2 (小花太極紋2) 35

〈그림 2-21〉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능화문1 36

〈그림 2-22〉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능화문2 36

〈그림 2-23〉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여」의 소화구갑문 36

〈그림 2-24〉 초화탑자문1 (草花搭子紋1) 38

〈그림 2-25〉 초화탑자문2 (草花搭子紋2) 38

〈그림 2-26〉 연화문 (蓮花紋) 38

〈그림 2-27〉 선조지화문 (線條紋地花紋) 38

〈그림 2-28〉 낙엽문 (落葉紋) 38

〈그림 2-29〉 소화성문 (小花星紋) 38

〈그림 2-30〉 단화문 (團花紋) 38

〈그림 2-31〉 수파문지화문 (水波紋地花紋) 38

〈그림 2-32〉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초화탑자문1 39

〈그림 2-33〉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초화탑자문2 39

〈그림 2-34〉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여」의 초화탑자문 39

〈그림 2-35〉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단화문1 40

〈그림 2-36〉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단화문2 40

〈그림 2-37〉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단화문3 41

〈그림 2-38〉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단화문4 41

〈그림 2-39〉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단화문5 41

〈그림 2-40〉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단화문6 41

〈그림 2-41〉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여」의 단화문1 41

〈그림 2-42〉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여」의 단화문2 41

〈그림 2-43〉 단화문의 직물로 표장된 「감지금니묘법연화경」 42

〈그림 2-44〉 수파문지화문의 직물로 표장된 「주역참동계 (周易參同契)」 43

〈그림 2-45〉 사계화조문 (四季花鳥紋) 44

〈그림 2-46〉 비익조화문 (比翼鳥花紋) 44

〈그림 2-47〉 대단계문 (大團鷄紋) 44

〈그림 2-48〉 녹화문 (鹿花紋) 44

〈그림 2-49〉 포도다람쥐문 (葡萄松鼠紋) 44

〈그림 2-50〉 화조산짐승문 (花鳥山獸紋) 44

〈그림 2-51〉 조선시대 사계화조문의 새틴 다마스크 (Satin damask) 45

〈그림 2-52〉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사계화조문1 45

〈그림 2-53〉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사계화조문2 45

〈그림 2-54〉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여」의 사계화조문 45

〈그림 2-55〉 「과도갱사견본첩 사라사옥병우위문」의 녹화문 46

〈그림 2-56〉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여」의 녹화문 46

〈그림 2-57〉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상에서 출토된 복장 직물 47

〈그림 2-58〉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녀」의 포도다람쥐문 47

〈그림 2-59〉 선문 (扇紋) 48

〈그림 2-60〉 침문 (枕紋) 48

〈그림 2-61〉 「과도갱사견본첩 차라사초여」의 침문과 유사한 문양 49

〈그림 3-1〉 디자인 콘셉트 맵 59

〈그림 3-2〉 은행잎 도안 62

〈그림 3-3〉 은행잎 단위문양 62

〈그림 3-4〉 꽃과 매듭 도안 62

〈그림 3-5〉 꽃과 매듭 단위문양 62

〈그림 3-6〉 꽃과 마름모 도안 63

〈그림 3-7〉 꽃과 마름모 단위문양 63

〈그림 3-8〉 사슴과 꽃 도안 63

〈그림 3-9〉 사슴과 꽃 단위문양 63

〈그림 3-10〉 꽃무늬 도안 63

〈그림 3-11〉 꽃무늬 단위문양 63

〈그림 3-12〉 작품 1의 일러스트레이션 68

〈그림 3-13〉 작품 1의 도식화 69

〈그림 3-14〉 작품 1의 전개 문양 69

〈그림 3-15〉 작품1의 3D 가상착의 정면, 측면 및 후면 70

〈그림 3-16〉 작품 2의 일러스트레이션 73

〈그림 3-17〉 작품 2의 도식화 74

〈그림 3-18〉 작품 2의 전개 문양 75

〈그림 3-19〉 작품2의 3D 가상착의 정면, 측면 및 후면 75

〈그림 3-20〉 작품 3의 일러스트레이션 79

〈그림 3-21〉 작품 3의 도식화 80

〈그림 3-22〉 작품 3의 전개 문양 81

〈그림 3-23〉 작품3의 3D 가상착의 정면, 측면 및 후면 81

〈그림 3-24〉 작품 4의 일러스트레이션 85

〈그림 3-25〉 작품 4의 도식화 86

〈그림 3-26〉 작품 4의 전개 문양 86

〈그림 3-27〉 작품 4의 3D 가상착의 정면, 측면 및 후면 87

〈그림 3-28〉 작품 5의 일러스트레이션 91

〈그림 3-29〉 작품 5의 도식화 92

〈그림 3-30〉 작품 5의 전개 문양 92

〈그림 3-31〉 작품 5의 3D 가상착의 정면, 측면 및 후면 93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화포 문양을 모티브로 한 현대적인 문양 개발과 함께 한국적 정체성과 현대적 감성을 융합한 패션디자인을 속성열거법을 적용하여 3D 가상 착의 프로그램으로 개발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복식사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조선화포 문양에 대한 자료를 고찰하고, 화포문양을 패션디자인 개발의 새로운 소스로 활용한 문화적 정체성을 살리는 작품 개발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또한 민족 정체성에 입각한 새로운 패션이미지 창출은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문화적 전통 가치를 재평가하고 한국의 전통미를 재해석하여 한국적 정체성을 현대패션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방법으로는 일본에 남아있는 조선화포 관련 문헌인 「과도갱사비전서(鍋島更紗秘傳書)」, 「과도갱사견본첩(鍋島更紗見本帖)」, 「좌라사편람 (佐羅紗便覽)」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어서 패턴문양 개발, 속성열거법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 그리고 개발한 디자인을 3D 가상 착의로 구현하였다.

〈작품 1〉은 한복 저고리와 치마, 돌띠 저고리, 중단(中單)의 속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한 민소매 스타일의 플레어 드레스이며, 기하도형과 식물의 복합 문양인 능화문을 적용하여 개발한 문양을 활용하였다. 디자인은 한복 치마의 길고 퍼지는 형태, 돌띠저고리의 긴고름, 중단의 무와 가장자리 선(縇), 저고리의 고름을 쉽게 묶기 힘든 점의 속성들을 활용하였다.

〈작품 2〉는 한복 저고리와 바지, 적초의(赤綃衣), 적의(翟衣)의 속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한 재켓과 팬츠의 세트업(Set-up) 스타일이며, 기하도형과 식물의 복합 문양인 원화격자문을 적용하여 개발한 문양을 활용하였다. 디자인은 한복 저고리의 짧은 기장, 깃과 동정, 비대칭 여밈, 진동선이 일자로 된 드롭소매, 적초의의 가장자리 선, 적의의 구성품인 하피, 한복 바지의 큰사폭, 작은 사폭, 마루폭, 허리를 끈으로 묶는 방식이 안전하게 고정되지 않은 점의 속성들을 활용하였다.

〈작품 3〉은 한복 치마, 홍장삼, 마고자, 적초의, 적의, 무지기치마의 속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한 아우터와 무지기치마의 구성을 적용한 롱 플리츠 원피스이며, 꽃과 동물의 복합 문양인 녹화문을 적용하여 개발한 문양을 활용하였다. 디자인은 홍장삼의 앞 길이가 짧고 뒤 길이가 긴 형태, 옆선이 트여있어 앞뒤 옷자락이 분리된 형태, 마고자의 깃이 없는 곡선의 네크라인, 적초의의 가장자리 선, 적의의 구성품인 대대와 폐슬, 한복 치마의 허리말기, 개더로 볼륨감을 준 형태, 무지기치마의 3단 플리츠 주름치마의 속성들을 활용하였다.

〈작품 4〉는 곤룡포, 적의, 무지기치마, 돌띠저고리, 두루마기, 한복치마의 속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한 민소매 원피스로 기하도형과 식물의 복합 문양인 단화문을 적용하여 개발한 문양을 활용하였다. 디자인은 곤룡포의 둥근 깃모양인 곡령, 목선에 밀착된 네크라인, 무게감, 용보, 무지기치마의 3단 플리츠, 적의의 구성품인 하피, 돌띠저고리의 가슴 고름, 두루마기의 무, 한복 치마의 허리 주름의 속성들을 활용하였다.

〈작품 5〉는 한복 저고리와 치마, 전행웃치마, 가슴가리개 속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한 민소매 블라우스와 A라인 실루엣의 스커트이며, 기하도형, 직선과 식물의 복합 문양인 소화구갑문과 낙엽문을 적용하여 개발한 문양을 활용하였다. 디자인은 한복 치마의 긴 기장, 높은 허리선, 퍼지는 형태, 저고리의 짧은 기장, 색동, 고름이 쉽게 매어지지 않은 점, 진행웃치마의 세 가닥 치마, 가슴가리개의 가슴을 둘어 묶어 가슴을 가리는 형태의 속성들을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