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4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4
1.1. 배경 14
1.2. 목적 15
2. 선행연구 17
3. 연구의 대상과 방법 21
3.1. 연구의 대상 21
3.2. 연구의 방법 21
Ⅱ. 모션그래픽 로고의 이해 23
1. 모션그래픽 로고의 역사 23
2. 모션그래픽 로고의 개념 24
3. 모션그래픽 로고의 구성요소 25
4. 모션그래픽 로고의 디자인 유형 26
Ⅲ. 모션그래픽 로고 디자인의 감성 요소 27
1. 감성디자인에 대한 이해 27
1.1. 감성디자인의 이해 27
1.2. 감성디자인의 시스템 유형 28
2. 도날드 아서 노먼의 감성디자인 31
2.1. 본능 측면 31
2.2. 행동 측면 31
2.3. 반성 측면 32
3. 모션그래픽 로고 디자인의 감성 요소 34
3.1. 차원변화 34
3.2. 인터랙션 35
3.3. 브랜드 인정 36
Ⅳ.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 요소가 사람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 37
1. 표본조사의 설계 37
1.1. 모션그래픽 로고 대표 샘플 선택 37
1.2. 감성 어휘 수집, 선별 38
1.3. 양표의 초보적인 수립 및 척도의 확정 39
1.4. 응답자 선택 44
2. 설문조사 결과 45
3. 설문조사 결과의 신뢰도 46
4.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47
5. 종합 분석 결과 51
Ⅴ.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표현을 위한 디자인 방법 52
제1절 행동적 주제성(브랜드 스토리텔링으로 디자인 응용) 52
1.1. 브랜드 컨셉에 맞게 스토리를 디자인해 흥미를 유발하다 52
1.2. 감성을 과장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키우다 54
1.3. 음악을 활용하여 logo의 운동 리듬에 맞추다 55
제2절 반성적 독특성(브랜드 식별로 디자인 응용) 56
2.1. 색채 56
2.2. 형태 59
2.3. 움직임 61
2.4. 재질 63
2.5. 응용 설비 64
Ⅵ.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DMZ 평화의 길 모션 그래픽 로고의 개발 65
1. DMZ 평화의 길의 현황 66
1.1. 문제점 66
1.2. 개발의 이유 및 목적 67
2.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디자인 개발 68
2.1. DMZ 평화의 길 소개 68
2.2. DMZ 평화의 길 문화자원 71
2.3. DMZ 평화의 길 시각요소 76
2.4. DMZ 평화의 길 모션그래픽 로고 감성디자인 제안 79
Ⅶ. 결론 97
1. 연구결과 요약 97
2. 연구의 한계 98
참고문헌 100
Abstract 103
부록 107
그림 1-1. 연구구성도 22
그림 2-1. 동적 모션그래픽 공간구성 25
그림 2-2. 모션그래픽 로고의 구성요소 25
그림 3-1. 두뇌에서 일어나는 정보 처리의 3가지 단계 33
그림 3-2. 도날드 아서 노만 감성 디자인 속성 34
그림 3-3. 차원 변화의 표현 형식 35
그림 4-1. 연령통계 44
그림 4-2. Bartlett 구형검증(Bartlett's test)과 KMO(Kaiser-Meyer-Olkin) 검증결과 47
그림 5-1. 핀란드 외교부 모션그래픽 로고 53
그림 6-1. 디자인구성도 65
그림 6-2. 비무장지대 68
그림 6-3. 디엠지(DMZ)평화의 길 로고 69
그림 6-4. DMZ 모션그래픽 로고 디자인 중 적용한 개념 79
그림 6-5. DMZ 모션그래픽 로고 방향1 디자인 과정 80
그림 6-6. DMZ평화의 길 디자인유형 82
그림 6-7. DMZ 모션그래픽 로고 방향2 디자인 과정 87
그림 6-8. DMZ평화의 길 디자인유형 89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는 인터랙션이 크게 강화되었고, 디자인 분야에서 인본주의적 특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체험과 감성 교류를 더욱 중시하게 되었다. 게다가 갈수록 치열해지는 시장 경쟁 속에서 기업은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브랜드 론칭과 그 이미지의 디자인을 더욱 중요시 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인터넷에서 폭넓게 전파된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해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 표현 형식과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한 감성 인지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을 고찰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추출한 공통요인을 바탕으로 감성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감성디자인 방법론에 근거하여 'DMZ 평화의 길'에 대해 모션그래픽 로고 디자인을 만들어봄으로서 감성디자인의 가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모션그래픽 로고와 감성디자인의 이론을 조사하고 정리하며,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한 역사적 발전, 특징, 구성 요소 등의 측면을 이론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감성디자인의 개념을 서술하고, 현재까지 감성디자인 시스템을 비교하고, 비록 3개의 시스템은 다소 다르지만 근본적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대응하는 사람들의 감성 반응을 유발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사람들의 인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따라 감성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도날드 아서 노먼의 감성디자인 이론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며, 도날드 아서 노먼의 감성디자인 기본 구성 요소에 대해 서술한다. 또한 노먼의 감성디자인에 대한 세 가지 기초 논리(본능, 행동, 반성)에 따른 감성을 정리한 후 시각, 청각, 동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 요소 각각 본능적 차원의 변화, 행동적 인터랙션, 반성적 브랜드 인식과 공감 등을 추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조휘(2019)의 모션그래픽 로고의 5개 디자인 유형(디자인 추상화, 디자인 구상화, 공간 디자인 양식, 상호작용 양식과 크로스오버 디자인 양식)을 참고하였으며 대중들의 일상생활에서 비교적 접촉도가 높은 영역(회사, 학교, 도시 등)에서 무작위로 50여 개를 선정한 후, 전문가 집단의 평가에 의해 최종 5개의 유형에 따라 우선순위 4개의 로고를 각각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영상의 변화는 사진에 비해 더욱 다양한 측면에서 시각을 자극하므로 모션그래픽 로고에 대한 실제 반응을 관찰하여 설문 결과의 진실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짧은 동영상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운드가 가지는 느낌의 요소는 공평하게 배제시키고 영상이미지만으로 진행했다. 또한 해당 설문 주제에 적합한 평가 요인은 각종 논문, 서적,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수집했으며,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정적 요인 영향력에 대한 평가표의 평가 항목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12쌍의 단어를 최종 선정하였다. S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만드는 보편적 기준에 따르면, 설문의 평가 등급을 5에서 7까지 제한해야 하며, 사람의 감정은 주관적 느낌이고, 언어의 의미에 대한 이해는 개인, 문화, 시간, 장소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 설문조사는 2021년 02월 01일부터 02월 07일까지 1주일 동안 진행하였고, 인터넷을 통해 한국의 조사 대상자가 설문지에 직접 기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15-64 세의 조사대상은 사회에 상대적으로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어 설문지의 정확성과 진실성을 더욱 명확하게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설문 조사에서 해당 연령대를 선택하였다. SD 분석법으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사람들의 감성 감지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설문지 평가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공통 요인을 추출하여 사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감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 요인은 행동적 주체성이었고, 두 번째 요인은 반성적 독특성이었으며, 이 두 가지 공통 요인은 설문조사 결과 데이터의 61%를 해석할 수 있다.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요소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와 요인분석을 통해 사람이 모션그래픽 로고를 접할 때 사람들이 감지하는 시스템에 대해 영향을 준 주요 감성요소를 알아낸다. 설문조사 중 감성디자인에 대한 탐구가 감성 기억 경향을 지니고 있으며, 요인 분석 결과의 2개 공통 요인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감성 인지 각도에서 모션그래픽 로고의 감성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첫 번째 요인 주제성은 브랜드 스토리텔링에 통해 감성디자인 응용의 다음 3방향을 제시한다. 1. 브랜드 컨셉에 맞게 스토리를 디자인해 흥미를 유발한다, 2.감성을 과장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키운다, 3.음악을 활용하여 LOGO의 운동 리듬에 맞춘는 것이다. 두 번째 요인 독특성은 브랜드이미지의 식별강약에 통해 감성디자인 응용의 다음 5방향을 제시한다. 1.색채, 2.형태, 3.움직임, 4.재질, 5.응용 설비가 그 요인이다.
위의 결론을 근거로 감성디자인 방법론의 가능성, 가치성, 정확성이 실증을 위한 DMZ 평화의 길의 로고에 대해 모션디자인을 진행했다. 우선 DMZ평화의 길의 문화자원은 모션그래픽 로고 디자인의 감성 주제와 시각 요소을 추출한 바탕으로 됐다. 감성주제에 따라 감성디자인을 할 모션그래픽 로고 구성요소를 정하고, 문화자원으로부터 감성디자인에서 필요한 시각적 요소를 추출하여 감성방법론을 통해 디자인 요소의 감성표현 방식을 지도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