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序論 6

1. 硏究 目的 6

2. 硏究 方法 8

II. 朝鮮後期의 時代的·思想的 背景과 畫壇의 諸傾向 12

1. 時代的·思想的 背景 12

2. 畫壇의 諸傾向 17

1) 眞景山水畵의 계승과 유행 17

2) 南宗畫法의 流行 22

3) 風俗畵의 流行 25

4) 西洋畵法 受容 33

III. 又峰 趙熙龍의 生涯와 交遊關係 36

1. 生涯 및 家系 36

2. 交遊 및 私淑關係 40

1) 여항인들과의 교유관계 41

2) 사대부 문인들과 교유관계 45

IV. 又峰 趙熙龍의 繪畵觀과 水墨思想 48

1. 회화관 48

2. 수묵사상 51

1) 서화는 치유와 힐링 53

2) 시서화 일치론 54

3) 누구에게도 속한 바 없는 독창성 56

4) 性靈論 58

5) 재능은 손 끝에 있다 59

6) 神理論 61

7) 격동의 미(狂塗亂抹) 62

V. 時期別 又峰 趙熙龍의 墨梅圖 作品分析 64

1. 초기~溜雲館(40대 이전 ~ 50대 말) 65

2. 중기-香雪館(50대 말 ~ 63세) 72

3. 후기-畵鷗盦(63세~77세) 81

4. 소결 99

VI. 又峰 趙熙龍의 墨梅圖가 後代에 미친 影響 101

VII. 結論 110

年譜 115

參考文獻 122

ABSTRACT 125

(표 1) 조선시대 시대적·사상적 배경 및 형성 화풍 유형 13

(표 2) 조선 후기 신분제도 변화 15

(표 3) 서양화법을 적용하여 그린 작품 분석표 34

(표 4) 조희룡의 가계도, 12대 증조부까지는 문관으로 관직생... 36

(표 5) 又峰 趙熙龍과 교유한 화가들 41

(표 6) 조희룡이 저술한 책과 시집 49

(표 7) 조희룡의 수묵 사상 요약 52

(표 8) 당호의 시기 64

(표 9) 전통기법의 매화도와 우봉의 매화도 비교 100

(표 10) 조희룡의 회화와 수묵사상이 후대에 미친 영향 요약 108

(圖 1) 鄭敾, 〈인왕제색도〉, 1751년, 한지수묵, 79.2x138.2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8

(圖 2) 정선, 〈청풍계도〉, 1755년, 지본담채, 33.1x29.5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

(圖 3) 정선, 〈금강산도〉, 1711년, 견본채색, 35.9x2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

(圖 4) 김석신, 〈도봉도〉, 19세기, 지본채색, 36.4x53.7cm, 개인소장 20

(圖 5) 최북, 〈표훈사도〉, 18세기, 지본담채, 57.3x38.5cm, 개인소장 20

(圖 6) 김홍도, 〈사인암〉, 1796년, 지본담채, 27.7x31.6cm, 삼성리움미술관 소장 21

(圖 7) 이인문, 〈단발령망금강〉, 18세기, 지본담채, 25x34.2cm, 개인소장 21

(圖 8) 심사정, 〈매월〉, 18세기, 지본수묵, 27.5x47.1cm, 간송미술관 소장 23

(圖 9) 沈師正, 〈溪居上樂〉, 1763년, 『倣古山水帖』중, 지본담채, 37.3x61.3cm,... 23

(圖 10) 沈師正, 〈雙雉圖〉, 1756년, 지본담채, 104.4x61.4cm, 개인 소장 23

(圖 11) 이재관, 〈송하처사도〉, 19세기,... 25

(圖 12) 이재관, 〈오수초족도〉,19세기,... 25

(圖 13) 이재관, 〈파초선인도〉, 19세기,... 25

(圖 14) 윤두서, 〈채애도〉, 18세기, 견본수묵, 25x30.4cm, 개인소장 26

(圖 15) 윤두서, 〈석공도〉, 18세기, 견본수묵, 17.7x22.9cm, 학고재 소장 26

(圖 16) 조영석, 〈이잡는 노승〉, 18세기, 지본담채, 23.9x17.3cm, 개인소장 28

(圖 17) 김홍도, 〈기와 이기〉, 19세기, 수묵담채, 27x22.7cm,... 29

(圖 18) 김홍도, 〈우물가〉, 19세기, 지본담채, 28.1x23.9cm,... 29

(圖 19) 김홍도, 〈필행상〉, 19세기, 지본담채, 27.7x 23.7cm,... 29

(圖 20) 신윤복, 〈월하밀회〉, 1973, 수묵담채, 28.2x35.6cm, 간송미술관 소장 30

(圖 21) 신윤복, 〈월하정인〉, 1973, 수묵담채, 28.2x35.6cm, 간송미술관 소장 31

(圖 22) 김득신, 〈野猫盜雛〉, 19세기, 지본채색, 22.4x27cm, 간송미술관 소장 32

(圖 23) 이명기, 〈채제공〉, 부분도, 수원시 소장 34

(圖 24) 강세황, 〈영통동구〉, 부분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4

(圖 25) 강희언, 〈인왕산도〉, 부분도, 개인소장 34

(圖 26) 김홍도, 〈燕行圖〉, 부분도, 숭실대 박물관 소장 34

(圖 27) 이형록, 〈책가도〉 부분도, 삼성 리움미술관 소장 35

(圖 28) 유숙, 〈벽오사소집도〉, 1861년, 지본담채, 14.9x21.3cm, 서울대박물관 소장 37

(圖 28) 유숙, 〈벽오사소집도〉 부분도 (유숙이 그린 '조희룡'의 모습) 37

(圖 29) 趙熙龍, 〈墨梅圖〉, 19세기, 지본수묵, 22.7x27.4cm, 간송미술관 소장 65

(圖 30) 『芥子園畫傳』, 梅譜, 〈墨梅〉 65

(圖 31) 조희룡, 〈白梅圖〉, 19세기, 지본수묵, 16.6x21.7cm, 서울대박물관 소장 66

(圖 32) 조희룡, 〈紅梅圖〉, 19세기, 지본담채, 16.6x21.7cm, 서울대박물관 소장 67

(圖 33) 조희룡, 〈紅梅圖〉, 19세기, 지본담채, 23x26.5cm, 간송미술관 소장 67

(圖 34) 조희룡, 〈梅花圖十曲屛〉, 19세기, 지본담채, 56.5x361cm, 개인소장 69

(圖 35) 趙熙龍, 〈白梅圖〉중2, 19세기, 지본채색, 164.8x53cm,... 70

(圖 36) 羅聘, 〈梅花圖〉, 18세기, 131.8x34cm,... 70

(圖 37) 趙熙龍, 〈墨梅圖〉, 19세기, 지본수묵, 25x29.3cm, 밀양시립박물관 소장 73

(圖 38) 趙熙龍, 〈墨梅圖〉, 19세기, 지본수묵 24.1x36.8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73

(圖 39) 趙熙龍, 〈墨梅圖〉, 19세기, 지본수묵, 24.7x29.7cm, 서울대박물관 소장 74

(圖 40) 趙熙龍, 〈紅梅圖〉, 19세기, 지본담채, 26x29.5cm, 개인소장 74

(圖 41) 趙熙龍, 〈梅竹屛風〉,중8 75

(圖 42) 趙熙龍, 〈梅竹屛風〉,중7 75

(圖 43) 趙熙龍, 〈梅竹屛風〉,중6 76

(圖 44) 趙熙龍, 〈梅竹屛風〉,중5 76

(圖 45) 趙熙龍, 〈梅花圖〉, 19세기, 지본담채,... 77

(圖 46) 趙熙龍, 〈白梅圖〉, 19세기, 지본채색, 112x52cm, 개인 소장 78

(圖 47) 趙熙龍, 〈紅梅圖〉, 19세기, 지본담채, 123.3x60cm,... 78

(圖 48) 趙熙龍, 〈梅蘭對聯〉 〈白梅圖〉, 19세기, 지본채색, 81x38cm, 개인 소장 80

(圖 49) 趙熙龍 〈四君子屛風〉, 19세기, 지본수묵, 60x35cm, 삼성리움미술관 소장 81

(圖 50) 趙熙龍, 〈四君子屛風〉, 19세기, 수묵담채, 65.4x47cm,... 83

(圖 51) 趙熙龍, 〈四君子屛風〉, 19세기, 수묵담채, 65.4x47cm,... 83

(圖 52) 趙熙龍, 〈白梅圖對聯〉,중1, 19세기, 지본채색, 111.3x51.3cm,... 84

(圖 53) 趙熙龍, 〈白梅圖對聯〉중2, 19세기, 지본채색, 111.3x51.3cm,... 84

(圖 54) 趙熙龍, 〈梅花書屋圖〉, 19세기, 지본담채, 65.4x47cm, 간송미술관 소장 86

(圖 55) 趙熙龍, 〈怪石圖〉, 19세기, 지본수묵, 28.8x29.6cm, 개인소장 87

(圖 56) 趙熙龍, 〈梅花八曲屛〉, 19세기, 지본채색, 124x375.5cm, 일민미술관 소장 88

(圖 56) 趙熙龍, 〈梅花八曲屛〉 부분도, 19세기, 지본채색, 124x375.5cm, 일민미술관 소장 89

(圖 57) 趙熙龍, 〈紅白梅圖八曲屛〉, 19세기, 지본채색, 124.8x46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90

(圖 57) 趙熙龍, 〈紅白梅圖八曲屛〉, 부분도, 19세기, 지본채색, 124.8x46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92

(圖 58) 趙熙龍, 〈紅梅對聯〉, 19세기, 지본담채, 120.7x30.2cm, 개인소장 93

(圖 59) 趙熙龍, 〈紅梅對聯〉, 19세기, 지본담채, 145x42.2cm, 삼성리움미술관 소장 95

(圖 60) 趙熙龍, 〈梅花圖〉, 19세기, 지본담채, 113.2x41.8cm, 고려대박물관 소장 96

(圖 61) 조희룡, 〈매화도〉, 19세기, 지본수묵, 122x27cm,... 98

(圖 62) 허련, 〈老梅圖十幅屛〉, 19세기, 지본담채, 112x320cm 개인소장 102

(圖 63) 柳淑, 〈劉淑筆梅花圖〉, 1868년, 지본담채, 112x387cm, 삼성리움미술관 소장 103

(圖 64) 양기훈, 〈白梅圖六曲屛〉, 1926, 지본담채, 124x274cm, 개인 소장. 104

(圖 65) 장승업, 〈紅白梅圖十幅屛〉, 19세기, 지본담채, 90x433.5m, 삼성리움미술관 소장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