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가. 연구문제 14
나. 연구내용 14
다. 연구방법 15
3. 연구의 제한점 15
Ⅱ. 이론적 배경 16
1. 소셜미디어의 개념 16
가. 소셜미디어의 정의와 범위 16
나. 소셜미디어의 유형과 특성 17
다. 소셜미디어의 역할과 교육적 가치 18
2. 디지털 포트폴리오의 이해 24
가. 디지털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특성 24
나. 디지털 포트폴리오의 교육적 효과 29
다.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 사례 32
3. 소셜미디어 기반 디지털 포트폴리오 유형 38
가. 블로그를 활용한 디지털 포트폴리오 38
나. 카페를 활용한 디지털 포트폴리오 41
다.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디지털 포트폴리오 42
Ⅲ. 연구 방법 44
1. 연구 대상 및 절차 44
가. 연구 대상 설정 배경 44
나. 연구 대상 및 구성 45
다. 연구 기간 및 절차 45
2. 자료 수집 및 분석 46
3.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의 실제 47
가. 프로그램 설계 47
나. 디지털 포트폴리오 학습 환경 구성 58
다. 교수·학습 과정안 65
Ⅳ. 적용 및 결과 81
1.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 운영 81
2. 수업 적용 및 결과 분석 94
가. 학습 결손 보완 94
나.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신장 96
다. 댓글 피드백을 통한 성찰의 기회 제공 99
라. 자기표현능력 신장 103
Ⅴ. 결론 및 제언 106
1. 요약 및 결론 106
2. 제언 108
참고문헌 110
ABSTRACT 113
부록1. 소셜미디어 활용도 조사 설문지 116
[그림 Ⅱ-1] 전 세계 소셜미디어 이용률 19
[그림 Ⅱ-2] 국내 소셜미디어 순방문자수 20
[그림 Ⅱ-3] e-포트폴리오의 개발 절차 및 구성 요소 27
[그림 Ⅱ-4] 한양초등학교 디지털 포트폴리오 32
[그림 Ⅱ-5] 한양초등학교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 사례 33
[그림 Ⅱ-6] 상안초등학교 위두랑 디지털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발표회 34
[그림 Ⅱ-7]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디지털포트폴리오 3단계 35
[그림 Ⅱ-8]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포트폴리오 작성 메뉴얼 36
[그림 Ⅱ-9] 순천향대학교 디지털 포트폴리오 메뉴얼 37
[그림 Ⅱ-10] 네이버 블로그의 디지털 포트폴리오로서의 활용 39
[그림 Ⅱ-11] 다음 카페와 네이버 카페의 활용 비교 41
[그림 Ⅱ-12] 네이버 밴드 이용 가이드와 온라인 수업 활용 예시 43
[그림 Ⅲ-1] NYC Color Factory 48
[그림 Ⅲ-2] 색깔 마카롱 48
[그림 Ⅲ-3] 색채 심리테스트 49
[그림 Ⅲ-4] 하늘색 볼 풀장 49
[그림 Ⅲ-5] Color Factory 색깔 서랍장 50
[그림 Ⅲ-6] 디지털 포트폴리오 학습 환경 58
[그림 Ⅲ-7] 창천602 미술공간의 교사 학습 활동 및 과제 제시 59
[그림 Ⅲ-8] 창천602 미술공간의 개인 게시판 60
[그림 Ⅲ-9] 창천602 미술송간의 개인 디지털 포트폴리오-목차형 61
[그림 Ⅲ-10] 창천602 미술송간의 개인 디지털 포트폴리오-액자형 62
[그림 Ⅲ-11] 디지털 포트폴리오 제작 모습 63
[그림 Ⅲ-12] 디지털 포트폴리오 댓글 피드백 64
[그림 Ⅲ-13] 유영국(1974), 작품, 캔버스에 유채, 133x133cm, 이건희컬렉션, 대구미술관. 69
[그림 Ⅲ-14] David Hockney(2015), Garden. Acrylic on canvas, 122x183cm 69
[그림 Ⅲ-15] '나에게 필요한 색깔 젤리는?' 수업 PPT 72
[그림 Ⅲ-16] Vincent van Gogh(1889), Self-portrait, 캔버스에유채, 54.5x65cm, 오르세미술관. 75
[그림 Ⅲ-17] Frida Khalo(1940), 앨뢰서 박사에게 헌정하는 자화상, 메소나이트에 유채, 59.5x40cm, 개인 소장. 75
[그림 Ⅳ-1]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 모습_사진 자료 81
[그림 Ⅳ-2]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 모습_동영상 자료 82
[그림 Ⅳ-3] 체험 영역에서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 83
[그림 Ⅳ-4] 학생 디지털 포트폴리오_주변의 색 탐색하기 84
[그림 Ⅳ-5] '명도 나비' 작품 사진 85
[그림 Ⅳ-6] '나에게 필요한 색깔 젤리는?' 활동 모습 86
[그림 Ⅳ-7] '나에게 필요한 색깔 젤리는?' 기록 모습 87
[그림 Ⅳ-8] '내가 좋아하는 색깔 소개하기' 주제 일기 기록 88
[그림 Ⅳ-9] '내가 좋아하는 색깔 소개하기' 주제 일기 기록 모습 89
[그림 Ⅳ-10] '나의 컬러 자화상' 작품 기록 사진 90
[그림 Ⅳ-11]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 모습_오늘의 색깔 91
[그림 Ⅳ-12] 'Gather town' 활동 모습 92
[그림 Ⅳ-13] 'Gather town' 캐릭터 만들기 93
[그림 Ⅳ-14] 온라인 수업을 받은 학생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94
[그림 Ⅳ-15] 박○○ 학생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기록 97
[그림 Ⅳ-16] 김○○ 학생의 캐릭터 작품 기록 98
[그림 Ⅳ-17] 김□□ 학생 컬러 자화상 100
[그림 Ⅳ-18] 김○○ 학생 컬러 자화상 100
[그림 Ⅳ-19] 김△△ 학생 감정 일기 103
2020년 4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는 온라인 개학을 맞이하였고 온라인 교육을 시작했다. 대면 수업이 어려워 실시간 참여형 수업, 과제 제시형 수업 등의 온라인 수업을 했고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이번 온라인 수업은 기존의 수업 방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온라인 수업은 비대면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의 과정을 설계하고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자기주도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학습자 간의 학습 격차가 생길 수 있고 교수자가 의도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대부분의 미술 수업은 예시 영상을 보고 작품 만들어오기 혹은 영상에 담긴 작품 감상하기 등 제한된 활동으로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해줄 방법으로 디지털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을 제안한다. 디지털 포트폴리오는 기존에 사용하던 종이 포트폴리오가 보관과 업데이트가 어렵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미흡하다는 점, 결과 중심의 피드백을 하게 된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학생들의 자발성과 동기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미술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는 총 12차시로 진행되며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활용할 수 있는 미술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수업 결과를 정리하여 어떤 장점이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소셜미디어 기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 미술 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수업 및 코로나19로 인한 학습 결손을 보완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이 온라인 수업의 방법이나 코로나19로 인한 결석 등의 보충 학습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학습 격차를 줄일 수 있다.
둘째,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는 학교 안팎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 과정과 결과를 기록하고 반성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그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 습관을 기르고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이 향상된다.
셋째, 댓글 기능의 피드백으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소셜미디어의 댓글 기능을 이용해 교사, 학생, 학부모 등 다양한 피드백 주체에 의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학생들은 피드백을 통해 학습 과정을 성찰하며 발전할 수 있다.
넷째, 자기표현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 기반 디지털 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이 게시물을 작성하면 타인에게 공유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학생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표현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의 방법을 제안한다.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 제안을 통해 소셜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길 기대하며 온·오프라인 교육에서 모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수업 방안이 나오길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