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4
Abstract 16
I. 머리말 19
II. 조선시대의 승려관 및 문인화가·화원과 승려와의 교류 23
1. 조선시대의 승려관 23
2. 문인화가·화원과 승려와의 교류 38
III. 조선시대 승려도의 전개 48
1. 승려도의 현황 48
2. 승려도의 시기별 특징 54
IV. 조선시대 승려도의 유형 64
1. 禪宗畫의 승려상 64
1) 達磨 64
2) 寒山과 拾得 75
3) 豐干 79
3) 布袋和尙 81
2. 詩意圖의 승려상 83
1) 杜甫의 「戱爲雙松圖歌」를 주제로 한 작품 84
2) 岑參의 「太白胡僧歌」를 주제로 한 작품 90
3) 李白의 「僧伽歌」를 주제로 한 작품 93
4) 林逋의 「山園小梅」를 주제로 한 작품 98
5) 賈島의 「題李凝幽居」를 주제로 한 작품 100
6) 기타 101
3. 樹下人物圖의 승려상 103
4. 故事人物圖의 승려상 124
1) 虎溪三笑圖 124
2) 西園雅集圖 130
3) 寺門脫蓑圖 138
5. 風俗畫의 승려상 142
V. 조선시대 회화 속 승려 이미지의 특징과 의의 150
VI. 맺음말 157
참고문헌 160
부록 170
도 1. 강희안, 〈노승도〉, 유리건판, 30.3x25.2cm, 국립중앙박물관 52
도 2. 전 이상좌, 〈노엽달마도〉, 유리건판, 25.2x30.3cm, 개인소장 52
도 3. 한운평, 〈구룡폭도〉 부분, 18~19세기, 지본담채, 59.3x28.3cm, 클리블랜드박물관 53
도 4. 유숙, 〈洗劍亭圖〉 부분, 19세기 후반, 지본담채, 26.1x58.2cm, 국립중앙박물관 53
도 5. 조선 중기 나무표현 55
도 6. 김명국, 〈등 긁는 승려〉, 17세기, 지본수묵, 26.7x19.2cm, 학고재소장 58
도 7. 『삼재도회』, 〈闍夜多尊者〉 58
도 8. 조선 후기 나무표현 60
도 9. 작자미상, 〈휴식〉, 《풍속화첩》, 지본담채, 56.4x36.5cm, 국립중앙박물관 61
도 10. 장승업, 〈송하노승도〉, 1890년, 견본담채, 149x48cm, 서울대학교박물관 62
도 10-1. 〈송하노승도〉 승려 부분 62
도 11. 장승업, 〈이승관룡도〉, 1890년, 견본담채, 149x48cm, 서울대학교박물관 62
도 11-1. 〈이승관룡도〉 승려 부분 62
도 12. 장승업, 〈수기화상포대도〉, 1891년, 지본설색, 104x50.5cm, 개인소장 63
도 13. 안중식, 〈환희포대도〉 부분, 1904년, 견본담채, 139.8x62cm, 간송미술관 63
도 14. 전 이한철, 〈서원아집도〉 부분, 19세기 후반, 지본담채, 154.3x127cm, 국립중앙박물관 63
도 15. 김명국, 〈달마도〉, 1643년, 지본수묵, 83x58.2cm, 국립중앙박물관 66
도 16. 김명국, 〈노엽달마도〉, 1643년, 지본수묵, 97.6x48.2cm, 국립중앙박물관 67
도 17. 김명국, 〈달마매죽도〉, 1636년, 견본수묵, 각 96.6x38.8cm, 일본 동경예술대학 67
도 18. 심사정, 〈달마도해〉, 18세기, 지본수묵, 35.9x27.6cm, 간송미술관 68
도 19. 정운붕, 〈달마도강도〉, 명대, 견본채색, 98x35cm, 리트베르크 박물관 68
도 20. 진계유, 〈달마도강도〉, 명대, 지본채색, 103.8x28.5cm, 북경고궁박물원 68
도 21. 심사정, 〈指頭折蘆渡海圖〉, 지본담채, 28.5x18.4cm, 개인소장 68
도 22. 김홍도, 〈달마도해도〉, 지본담채, 105.5x58.3cm, 간송미술관 70
도 23. 심사정, 〈선동도해도〉, 18세기, 지본담채, 22.5x27.3cm, 간송미술관 71
도 24. 김홍도, 〈좌수도해도〉, 18세기, 지본담채, 38.4x26.6cm, 간송미술관 71
도 25. 『개자원화전』, 〈포슬식〉 71
도 26. 이수민, 〈좌수도해도〉, 19세기전반, 지본담채, 20.5x26.0cm, 간송미술관 72
도 27. 백은배, 〈坐睡渡海圖〉, 《山水人物翎毛畵帖》, 1863년, 지본담채, 24.0x31.7cm, 국립중앙박물관 72
도 28. 유숙, 〈오수삼매도〉, 19세기 후반, 지본담채, 40.3x28.0cm, 간송미술관 72
도 29. 작자미상, 〈오수도〉, 《고화첩》, 견본수묵, 33.8x23.8cm, 국립중앙박물관 72
도 30. 작자미상, 〈松下達摩圖〉, 일본 14세기초, 견본담채, 100.8x50.8cm, 도쿄국립박물관 74
도 31. 대진, 〈달마육조도〉부분, 견본설색, 중국 명대, 33.8x220.cm, 요녕성박물관 74
도 32. 김홍도, 〈구년면벽좌선도〉, 18세기, 지본담채, 28.6x32.9cm, 일본 개인소장 74
도 33. 허련, 〈달마벽관도〉, 19세기, 지본수묵, 125x38cm, 개인소장 74
도 34. 탄은 이정, 〈망월도〉, 16세기, 지본담채, 16x24cm, 간송미술관 77
도 35. 탄은 이정, 〈망월도〉, 16세기 후반, 지본수묵, 30.5x46.6cm, 개인소장 77
도 36. 이징, 〈망월도〉, 17세기전반, 견본수묵, 간송미술관 77
도 37. 長路, 〈拾得圖〉, 명대, 견본수묵, 158.2x89.2cm, 프리어갤러리 78
도 38. 谷文晁, 〈한산습득도〉, 일본, 견본채색, 198.9x68.6cm, 국립중앙박물관 78
도 39. 〈한산도〉, 19세기, 고창 선운사 영산전 내벽 78
도 40. 김명국, 〈습득도〉, 17세기, 지본수묵, 64.5x52.8cm, 일본시노모세키 시립장부박물관 78
도 41. 김홍도, 〈高僧騎虎圖〉, 지본담채, 35.7x31.8cm, 간송미술관 80
도 42. 김홍도, 〈高僧騎虎圖〉, 지본담채, 27.5x41cm, 개인소장 80
도 43. 『고씨화보』, 〈豐干禪〉 80
도 44. 오빈, 〈18나한도〉 호랑이와나한 부분, 명, 지본수묵, 29.7x294.4cm, 대만고궁박물원 80
도 45. 김명국, 〈포대도〉, 17세기, 지본수묵, 131.5x36.5cm, 미국 브루클린미술관 83
도 46. 김명국, 〈포대도〉, 1643년, 지본수묵, 90.1x37.3cm, 일본 개인소장 83
도 47. 한시각, 〈포대도〉, 17세기, 지본수묵, 29 x 118cm, 간송미술관 83
도 48. 김득신, 〈布袋欠伸圖〉, 18~19세기, 지본담채, 27.2x22.8cm, 간송미술관 83
도 49. 윤두서, 〈扇面松下老僧圖〉, 1714년, 지본수묵, 20.9x51.5cm, 유복렬 구장 85
도 50. 윤두서, 〈선면수하노승도〉, 《선면화첩》, 1708년, 유지수묵, 18.8x56.6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86
도 51. 윤두서, 〈좌간운기도〉, 《觀月帖》, 견본수묵, 19.1x14.9cm, 국립중앙박물관 86
도 52. 이인문, 〈羅漢捫蝨圖〉, 《한중청상첩》, 18세기 후반, 지본담채, 30.8x41.5cm, 간송미술관 88
도 53. 조영석, 〈이잡는 노승〉, 18세기, 지본담채, 23.9x17.3cm, 개인소장 90
도 54. 작자미상, 〈이잡는 노승〉, 19세기, 지본담채, 24x31.8cm, 국립중앙박물관 90
도 55. 윤덕희, 〈나한도〉, 《산수인물첩》, 1732년, 지본담채, 31.5x20cm, 국립중앙박물관 92
도 56. 『삼재도회』, 〈龍樹尊者〉 92
도 57. 김홍도, 〈老僧念誦圖〉, 18세기, 지본담채, 57.7x19.7cm, 간송미술관 95
도 58. 김홍도, 〈扇面乘蝦渡海圖〉, 18세기, 미상, 도쿄국립박물관 96
도 59. 김홍도, 〈乘蝦坐睡渡海圖〉, 18세기, 지본담채, 33.1x41cm, 선문대학교박물관 96
도 60. 오빈, 〈18나한도〉 새우와 나한 부분, 명, 지본수묵, 29.7x294.4cm, 대만고궁박물원 96
도 61. 김홍도, 〈誦經圖〉, 18세기, 미상 97
도 62. 작자미상, 〈노승도〉, 18세기후반, 지본담채, 19.1x21.2cm, 국립중앙박물관 97
도 63. 김홍도, 〈慧能賞梅圖〉, 18세기, 지본담채, 28.4x49.5cm, 개인소장 99
도 64. 『삼재도회』, 〈慧能大師〉 99
도 65. 김홍도, 〈月下敲門圖〉, 18세기, 지본담채, 27.4x23cm, 간송미술관 100
도 66. 김홍도, 〈爐香觀空法圖〉, 18세기, 지본담채, 21.5x27.2cm, 선문대학교박물관 101
도 67. 김홍도, 〈通禪圖〉, 18세기, 지본담채, 24x33.6cm, 개인소장 101
도 68. 『삼재도회』, 〈優婆菊多尊者〉 101
도 69. 김홍도, 〈聞詩東行圖〉, 18세기, 지본담채, 30.5x23.3cm, 간송미술관 102
도 70. 김명국, 〈승려와 학〉, 17세기, 견본수묵, 29.5x43.5cm, 개인소장 104
도 71. 『삼재도회』, 〈羅喉羅多尊者〉 104
도 72. 작자미상, 〈신선과학〉, 고려시대, 견본담채, 43.3x28.5cm, 개인소장 106
도 73. 전 조세걸, 〈신선과학〉, 17세기, 견본담채, 41.2x28.2cm, 국립중앙박물관 106
도 74. 전 이요, 〈노승하관도〉, 17세기 전반, 지본수묵, 32.3x43.2cm, 선문대학교 박물관 107
도 75. 김명국, 〈노승도〉, 17세기, 견본수묵, 17.1x10.8cm, 국립중앙박물관 108
도 76. 김명국, 〈禪僧〉, 17세기, 견본수묵, 26.7x19.2cm, 호림박물관 108
도 77. 작자미상, 〈탁족도〉, 17세기, 견본수묵, 23.5x17.3cm, 개인소장 109
도 78. 전 이경윤, 〈고사탁족도〉, 16세기, 마본담채, 43.5x32.2cm, 국립중앙박물관 109
도 79. 윤덕희, 〈탁족도〉, 18세기, 견본수묵, 31.5x18.5cm, 국립중앙박물관 109
도 80. 『개자원화전』, 〈濯足萬里流〉 109
도 81. 최북, 〈관수삼매〉, 18세기, 견본담채, 31.6x11.0cm, 간송미술관 110
도 82. 지운영, 〈노승관폭도〉, 19세기 말~20세기, 견본담채, 30.3x24.5cm, 간송미술관 110
도 83. 김홍도, 〈송하노승도〉, 18세기, 지본담채, 21.3x24.8cm, 호림박물관 110
도 84. 우상하, 〈노승간월도〉, 19세기, 지본담채, 106.0x63.0cm, 조선미술박물관 111
도 85. 작자미상, 〈송하노승도〉, 19세기, 저본담채, 34x35.2cm, 국립중앙박물관 111
도 86. 윤두서, 〈노승도〉, 18세기, 은지수묵, 149.5x50.4cm, 국립중앙박물관 113
도 87. 『홍씨선불기종』 권7, 〈慧遠禪師〉 113
도 88. 葉廣, 〈나한도〉, 명대 1597년, 지본채색, 55.6x29.7cm, 안휘성박물관 113
도 89. 이교익, 〈老僧逍遙圖〉, 19세기, 유리건판, 25.2x30.3cm, 국립중앙박물관 114
도 90. 작자미상, 〈노승도〉, 《고화첩》, 견본수묵, 33.8x23.8cm, 국립중앙박물관 114
도 91. 전 윤덕희, 〈제일나한존자도〉, 《연겸현연화첩》, 1732년, 지본담채, 31.5x20.0cm, 국립중앙박물관 115
도 92. 『삼재도회』, 〈第一羅漢尊者〉 115
도 93. 심사정, 〈산승보납도〉, 18세기, 견본담채, 36x27.2cm, 부산박물관 115
도 94. 『고씨화보』, 〈姜隱畵〉 115
도 95. 張宏, 〈補納圖〉 부분, 명말, 지본설색, 98x32cm, 대만고궁박물원 116
도 96. 심사정, 〈노승도〉, 18세기, 견본담채, 31.7x22.8cm, 국립중앙박물관 117
도 97. 작자미상 〈노승원도〉, 18세기, 견본담채, 33x50.3cm, 국립중앙박물관 117
도 98. 정선, 〈송암복호도〉, 1750년, 지본담채, 31.5x51.0cm, 간송미술관 118
도 99. 『고씨화보』, 〈張僧繇畵〉 118
도 100. 작자미상, 〈송암복호도〉, 지본수묵, 28.5x41cm, 개인소장 120
도 101. 진재해, 〈소나무 아래의 노승과 호랑이〉, 18세기, 지본담채, 국립중앙박물관 120
도 102. 변박, 〈송하고승도〉, 18세기, 지본담채, 90.7x46.5cm, 울산박물관 121
도 103. 윤두서, 〈사자나한도〉, 18세기, 견본진채, 32x19.9, 녹우당 122
도 104. 양기성, 〈사자나한도〉, 18세기, 지본수묵, 34.5x28cm, 간송미술관 122
도 105. 정운붕, 〈십팔나한도〉 부분, 지본수묵, 명말, 대만고궁박물원 122
도 106. 허필, 〈나한도〉, 18세기, 지본수묵, 23.2x30.5cm, 간송미술관 123
도 107. 『당시화보』, 〈丁雲鵬寫〉 123
도 108. 김명국, 〈호계삼소도〉, 《화원별집》, 17세기후반, 견본수묵, 17.1x10.7cm, 국립중앙박물관 126
도 109. 윤덕희, 〈삼소도〉, 《산수인물첩》, 18세기, 지본담채, 31.5x20cm, 국립중앙박물관 127
도 110. 윤덕희, 〈삼소도〉, 1732년, 지본담채, 29.1x18.2cm, 선문대학교박물관 127
도 111. 『고씨화보』, 〈陸探微畫〉 127
도 112. 최북, 〈호계삼소도〉, 18세기, 견본담채, 29.7x21.0cm, 간송미술관 129
도 113. 김건종, 〈壺裏乾坤〉, 18세기, 지본담채, 30.5x39.0cm, 간송미술관 129
도 114. 심사정, 〈군현도〉, 1759년, 지본담채, 29.3x21.2cm, 선문대학교박물관 129
도 115. 전 윤두서, 〈서원아집도〉 부분, 18세기 전반, 견본채색, 국립중앙박물관 133
도 116. 작자미상, 《서원아집도10폭병풍》 부분, 조선 18세기말~19세기초, 견본채색, 미국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 133
도 117. 전 김홍도, 《서원아집도8폭병풍》 부분, 19세기, 견본담채, 개인소장 133
도 118. 지운영, 《서원아집도병풍》 부분, 19세기, 지본설색, 간송미술관 133
도 119. 강필주, 《서원아집도8폭병풍》 부분, 1910년, 면본채색, 호림박물관 133
도 120. 김홍도, 〈선면서원아집도〉, 1778년, 지본담채, 27x80.3cm, 국립중앙박물관 134
도 120-1. 김홍도, 〈선면서원아집도〉 부분 134
도 121. 김홍도, 《서원아집도 6폭 병풍》, 1778년, 견본담채, 122.7x287.4cm, 국립중앙박물관 134
도 122. 전 이팔룡, 《서원아집도12폭병풍》 부분, 견본담채, 국립중앙박물관 135
도 122-1. 김홍도, 《서원아집도 6폭 병풍》 부분 135
도 123. 이인문, 〈십우도〉, 1783년, 지본담채, 127.3x56.3cm, 국립중앙박물관 136
도 123-1. 이인문, 〈십우도〉부분 137
도 124. 정선, 〈사문탈사도〉, 1755년, 지본수묵, 37.7x55.0cm, 간송미술관 139
도 125. 정선, 〈사문탈사도〉, 18세기, 견본채색, 26.0x32.5cm, 겸재정선미술관 139
도 126. 정선, 〈사문탈사도〉, 《경교명승첩》, 1741년경, 견본채색, 21.2x33.1cm, 간송미술관 139
도 127. 김득신, 〈송하기승도〉, 18세기, 지본담채, 22.4x27.0cm, 간송미술관 143
도 128. 성협, 〈송하기승도〉, 19세기, 지본담채, 33.2x33.4cm, 국립중앙박물관 143
도 129. 이행유, 〈老僧濯足圖〉, 《화원별집》, 18세기, 견본담채, 14.7x29.8cm, 국립중앙박물관 143
도 130. 김후신, 〈묘길상도〉, 18세기, 지본담채, 34.0x27.0cm, 간송미술관 144
도 131. 김홍도, 〈묘길상도〉, 18세기, 지본담채, 23.6x18.2cm, 간송미술관 144
도 132. 김홍도, 〈과교경객〉 부분, 1778년, 견본담채, 90.9x42.7cm, 국립중앙박물관 145
도 133. 조영석, 〈노승휴장도〉, 18세기, 지본담채, 28.0x22.2cm, 간송미술관 145
도 134. 오명현, 〈점괘도〉, 18세기 중반, 견본담채, 18.3x28cm, 개인소장 146
도 135. 작자미상, 〈점괘도〉, 《명사고화첩》, 18세기, 지본담채, 38.2x30.7cm, 국립중앙박물관 146
도 136. 김홍도, 〈점괘도〉, 《풍속화첩》, 1796년, 지본담채, 27x22.7cm, 국립중앙박물관 146
도 137. 신윤복, 〈문종심사〉, 19세기 초, 지본담채, 28.4x35.6cm, 간송미술관 147
도 138. 신윤복, 〈이승영기〉, 19세기 초, 지본담채, 28.4x35.6cm, 간송미술관 147
도 139. 신윤복, 〈노상탁발〉, 19세기 초, 지본담채, 28.4x35.6cm, 간송미술관 148
도 140. 신윤복, 〈단오풍정〉, 19세기 초, 지본담채, 28.4x35.6cm, 간송미술관 149
도 140-1. 신윤복, 〈단오풍정〉 승려 부분 149
도 141. 신윤복, 〈표모봉욕〉, 19세기 초, 지본담채, 28.4x35.6cm, 간송미술관 149
도 141-1. 신윤복, 〈표모봉욕〉 승려 부분 149
도 142. 승려의 발 표현 152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인화가와 화원의 회화에 그려진 승려 이미지를 종합·분석하여 당시 사람들의 승려에 대한 인식과 도상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시대 승려는 억압받고 천시되었지만, 속세를 떠나 산속에서 수행에 정진하는 승려들의 탈속적인 삶을 동경하기도 하였으며, 조선 중기에 쓰인 『於于集』, 『海東異蹟』, 『鑑湖集』 등의 문헌에서 승려는 신선의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요역의 폐단으로 인해 일부 승려들이 속화되는 양상을 띠었고, 승려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승려는 크게 산속에서 수행하는 고승이라는 이미지와 속인과 같은 승려라는 두 가지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승려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조선 중기부터는 문인화가·화원과 승려가 이전보다 더 활발하게 교류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조선 초기에는 승려를 소재로 한 작품이나 문헌상의 제작사례가 드물게 전해지지만, 조선 중기부터는 승려를 그린 작품이 활발하게 제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선 중기에는 조선통신사로 일본을 방문하였던 김명국과 한시각에 의해 절파 화풍의 선종화가 그려졌다. 조선 후기에는 윤두서와 김홍도, 심사정 등이 명·청대 화보의 영향을 받은 승려 도상과 시와 함께 그려진 승려, 풍속화에 표현된 승려 등 이전보다 다양한 승려 도상을 제작하였다. 또한 절파 화풍뿐만 아니라 남종화풍으로 묘사하기도 하였다. 조선 말기에는 조선 중·후기의 전통적 도상이 계속해서 그려지는 한편 새로운 도상들이 모색되기도 하였고, 사실적인 안면묘사와 과장된 나무표현 등이 나타났다.
승려가 그려진 조선시대 작품의 유형은 주제별로 선종화, 시의도, 수하인물도, 고사인물도, 풍속화의 총 5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선종화에 그려진 승려는 주로 달마가 가장 많이 그려졌고 한산과 습득, 포대화상, 풍간선사 등이 그려졌다. 시 의도에 표현된 승려는 시의 내용과 일치한 도상이 그려지는 것이 대부분이나 화가의 개인적인 신앙심으로 인해 승려와 관계없는 시와 함께 그려지기도 하였다. 수하인물도에 그려진 승려는 조선시대 문인이 긍정적으로 바라본 승려들의 수행하는 모습이나 그들의 이상향인 은일과 탈속적인 모습이 반영되어 있었다. 고사 인물도 중 승려가 그려진 작품으로는 〈삼소도〉, 〈서원아집도〉, 〈사문탈사도〉 등이 있다. 이 작품들에서 승려는 유교·불교·도교가 하나라는 삼교회통 사상을 의미하거나 절이란 공간적 특성을 표현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풍속화에 그려진 승려는 종교인의 모습과 속인과 같은 세속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조선시대 회화의 승려 이미지의 특징으로는 첫째, 신선 도상과 동일시되어 그려졌다는 것과 둘째, 문인들의 이상향인 은일과 탈속이 표현되었다는 것 셋째, 이전과는 다르게 풍자와 해학적으로 묘사되기도 하였다는 것이 있다. 이는 제작자인 문인화가와 화원들의 승려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조선시대 승려 도상에서 명·청대 화보 도상의 수용과 변용 현상이 나타났다.
이처럼 조선시대 문인화가와 화원의 회화 작품에 표현된 승려의 이미지는 당시의 현실이 반영된 승려의 모습뿐만이 아닌 제작자와 수요자의 승려관이 반영된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인식과 시대상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