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ABSTRACT 14
I. 서론 17
1. 연구 목적 17
2. 선행연구의 검토 19
II. 책가도의 형성과 배경 21
1. 책가도의 정의 21
2. 책가도의 연원 25
3. 책가도의 수용 32
4. 책가도 성행배경 39
III. 이형록의 책가도 41
1. 책가도의 양식 41
2. 책가도의 내용과 상징 42
3. 전주이씨 화원 가문 내력 51
4. 이형록 책가도의 특성과 분류 59
IV.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작품 특징 및 분석 71
1. 모사방향 설정 71
2. 작품 상태 분석 73
1) 작품 현황 73
2) 작품 해석 75
3) 손상 상태 91
4) 채색분석 92
5) 장황 분석 101
V.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고색복원모사 제작 103
1. 고색복원모사 제작과정 103
2. 재료 준비 104
3. 포수 작업 104
4. 초(草) 작업 109
5. 채색 작업 110
6. 완성 141
VI. 결론 149
참고문헌 152
〈그림1〉 Studiolo di Federico da Montefeltro, 1470년대, 이탈리아. 26
〈그림2〉 《十二美人图》, 淸(雍正), 견본채색, 184x98cm, 北京故宮博物館 28
〈그림3〉 자단다보격방갑(紫檀多寶格方匣), 청대, 건륭, 대만국립고궁박물관 29
〈그림4〉 다보격, 청대, 179.8x33cm, 경기도박물관 29
〈그림5〉 다보각, 청대, 대만 국립고궁박물관 29
〈그림6〉 多寶格圖, 淸 郎世寧(Guiseppe Castiglione·1688~1766), 종이... 30
〈그림7〉 중국 북경 자금성 종수궁(鐘粹宮) 채화(彩畵) 31
〈그림8〉 옹정행락도(胤禛行樂圖), 청, 30x37.5cm, 북경고궁박물원 33
〈그림9〉 내각일력(內閣日曆), 필사본, 42.8x26.0cm, 제56권, 85-88면,... 35
〈그림10〉 홍재전서(弘齋全書), 제162권, 日得錄, 1814년,... 37
〈그림11〉 금릉집(金陵集), 남공철(南公轍, 1760~1840) 1815년,... 38
〈그림12〉 일몽고 (一夢稿), 이규상(李奎象, 1728~1799), 제 12권,... 39
〈그림13〉 이형록, 책가도(부분도), 종이에 채색, 삼성미술관 리움 41
〈그림14〉 이형록, 책거리(부분도), 종이에 채색, 국립중앙박물관 41
〈그림15〉 작자미상, 책거리(부분도), 종이에 채색, 경기도박물관 41
〈그림16〉 조석진, 기명절지도, 종이에 담묵, 36.5x134cm, 국립전주박물관 41
〈그림17〉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책 43
〈그림18〉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책 43
〈그림19〉 작자 미상, 〈책가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부분도, 두루마리 43
〈그림20〉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소장, 부분도, 두루마리 43
〈그림21〉 이형록, 〈책가도 10폭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문방사우 44
〈그림22〉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문방사우 44
〈그림23〉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소장, 부분도, 고동기 45
〈그림24〉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소장, 부분도, 고동기 45
〈그림25〉 장한종, 〈책가도〉, 경기도박물관소장, 부분도, 고동기 45
〈그림26〉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고동기 향로 45
〈그림27〉 이형록, 〈책가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부분도, 분채자기, 빙열문 45
〈그림28〉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황유, 포복문병 45
〈그림29〉 이형록, 〈책가도〉, 미국클리블랜드 미술관소장, 부분도, 공작깃털 46
〈그림30〉 작자미상, 〈책가도〉, 2폭 가리개,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특경 46
〈그림31〉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고동기 46
〈그림32〉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옥벽(玉璧) 47
〈그림33〉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옥(玉)화병 47
〈그림34〉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산호 47
〈그림35〉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산호 47
〈그림36〉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공작석 47
〈그림37〉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소장, 부분도, 모란 49
〈그림38〉 이형록, 〈책가도〉, 미국클리블랜드 미술관소장, 부분도, 모란 49
〈그림39〉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수선화 49
〈그림40〉 작자미상, 〈책가도〉, 2폭 가리개,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수선화 49
〈그림41〉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매화 49
〈그림42〉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국화 49
〈그림43〉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부분도, 연화 49
〈그림44〉 장한종 〈책가도〉, 경기도박물관 소장, 부분도, 석류 50
〈그림45〉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귤과 석류 50
〈그림46〉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분도, 불수감 50
〈그림47〉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소장, 부분도, 복숭아와 불수감 51
〈그림48〉 작자미상, 〈책가도〉, 서울역사박물관소장, 부분도, 귤 51
〈그림49〉 작자미상, 〈책가도〉, 여주박물관소장, 부분도, 수박과 참외 51
〈그림50〉 『안화당사집(安和堂私集)』, 마성린, 제2권, 115면 국립중앙도서관 55
〈그림51〉 『내각일력(內閣日曆)』 1788년 9월 18일,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56
〈그림52〉 『승정원일기』, 고종 원년(1864) 1월 7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그림53〉 『승정원일기』, 고종 8년(1871) 3월 25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9
〈그림54〉 이형록, 〈책가도〉, 종이에 채색, 8폭병풍, 140.2x458.0cm,... 60
〈그림55〉 장한종(張漢宗, 1768~1815 이후), 〈책가도〉, 종이에 채색,... 61
〈그림56〉 이형록, 〈책가도〉, 종이에 채색, 8폭병풍, 163x320cm, 개인소장 62
〈그림57〉 이형록, 〈책거리 6폭 병풍〉, 종이에 채색, 6폭병풍, 각... 63
〈그림58〉 이형록(이응록), 〈책가도〉, 10폭 병풍, 비단에 채색,... 64
〈그림58〉 이형록(이응록) 〈책가도 10폭 병풍〉, 덕수6004, 19세기,... 73
〈그림59〉 이형록(이응록), 〈책가도〉, 종이에 채색, 203.8x289.5cm,... 64
〈그림60〉 이형록(이응록), 〈책가도〉, 8폭병풍, 종이에 채색,... 65
〈그림61〉 이형록(이응록), 〈책거리〉, 6폭 병풍, 종이에 채색,... 65
〈그림62〉 이형록(이택균), 〈책가도〉, 19세기, 비단에 채색,... 66
〈그림63〉 이형록(이택균), 〈책거리〉, 10폭 병풍, 비단에 채색, 각... 67
〈그림64〉 이형록(이택균), 〈책가도〉, 10폭 병풍, 비단에 채색,... 67
〈그림65〉 이형록(이택균), 〈책거리〉, 19세기, 종이에 채색, 각 150x37cm, 통도사성보박물관 68
〈그림66〉 서울공예박물관소장, 버밍햄미술관소장 이택균 책가도 부분도 70
〈그림67〉 〈粉彩番蓮包袱瓶〉, 清 嘉慶, 높이 29.1cm, 臺灣國立故宮博物院 76
〈그림68〉 원작 꽃, 진달래꽃, 살구꽃 비교 77
〈그림69〉 铜冲耳乳足炉, 청동기, 청나라, 중국고궁박물원 77
〈그림70〉 松石綠釉三足香爐, 돌, 도자기, 청나라, 화정박물관 77
〈그림71〉 芙蓉石双耳三足炉, 옥, 청나라, 중국고궁박물원 77
〈그림72〉 〈宜興胎水仙花形壺〉, 淸,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미술관 79
〈그림73〉 文王方鼎, 明, 대만국립고궁박물관 79
〈그림74〉 〈倣哥窯三洋甁〉, 淸 雍正, 높이 27cm, 입지름 7.3cm, 北京故宮博物院 82
〈그림75〉 김홍도, 〈布衣風流圖〉, 조선18세기, 지본담채, 27.9x37cm, 삼성미술관 리움 82
〈그림76〉 동착금은수루문정, 명, 만력연간, 높이 13.2cm, 화정박물관 85
〈그림77〉 이형록 책가도의 시계 도상 85
〈그림78〉 제8폭 '李膺綠印' 인장 89
〈그림79〉 국립중앙박물관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방락 부분 91
〈그림80〉 국립중앙박물관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파열 부분 92
〈그림81〉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부분도 93
〈그림82〉 책 부분 안료 두께 94
〈그림83〉 제1폭 살구꽃, 제3폭 수선화, 제4폭 국화, 제10폭 모란 95
〈그림84〉 도자기 주둥이 부분 입체감 표현 96
〈그림85〉 과일 입체감 표현 96
〈그림86〉 책갑 개폐장치, 꽃 줄기, 시계장식에 사용된 입체 표현 96
〈그림87〉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소장 이택균 〈책거리 10폭 병풍〉 부분도 97
〈그림88〉 국립중앙박물관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색상 조견표 분석과정 98
〈그림89〉 국립중앙박물관 현장조사 장황 실측 모습 102
〈그림90〉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이형록 〈책가도 10폭 병풍〉 병풍 도식화 102
〈그림91〉 초 작업 사진 109
〈그림92〉 기물 본 뜨기 109
〈그림93〉 선 긋기 110
〈그림94〉 배경채색부분 확대, 동일비율 책살 부분 비교 111
〈그림95〉 기물과 배경 채색 상태 112
〈그림96〉 책 고색 작업, 색 조견표와 비교 116
〈그림97〉 마무리 선 긋기 140
〈그림98〉 모사본 완성 141
〈그림99〉 원본 142
〈그림100〉 원본 143
〈그림101〉 모사본 144
〈그림102〉 모사본 145
예로부터 아는 것이 힘이었다. 문치주의 조선사회에서 '책(冊)'은 입신양명(立身揚名)의 필수 조건이자 특권층의 전유물이었다. 조선의 선비들은 책과 글을 통해 자신을 닦아 나라에 이바지 하는 것을 최고의 영예로 여겼다. 즉, '책'으로 통하는 길은 '공명(功名)'으로 이어지는 통로였을 것이다. 조선후기, 시장경제가 발달하고 중인들의 경제력이 커지면서 그들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커졌다. 대청(對淸)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역관(譯官)들은 새로운 경향을 조선에 전달하였고 화원(畵員)들은 서양에서 유입된 신문물과 기법 등으로 새로운 탐구심을 부추겼다. 그와 함께 내제된 열망을 표출하는 방식이 사치풍조현상으로 나타났다. 문방청완(文房淸玩)과 고동기古銅器 등 사치품을 수집하는 문화가 바로 그것인데 조선시대 유교 관념 중 '완물상지(玩物喪志)'의 개념에 반하는 새로운 경향이었다. 궁중장식화로 정조에 의해 제작된 서가(書架) 속 책 중심의 책가도 이전에 이미 영조 대에 청의 수입사치품 시장인 유리창(流璃廠)을 통해서 청의 서가도(書架圖)가 유입되어 그 영향을 받았다. 청의 영향과 조선시대의 학문숭상이 결합되어 책으로 '입신(立身)'을, 사치품으로 '부귀(富貴)'를 표현하는 조선만의 책거리 양식이 탄생하였다. 이런 가치관과 사회 변화상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그림인 만큼 회화사적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고는 조선후기 유행했던 책가도의 일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조선후기 화원화가 이형록(李亨綠)의 〈책가도 10폭 병풍〉의 고색복원모사를 통해 표현기법의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책가도에 대한 유래, 어원, 분류 및 변화 양상과 같은 이론적 특성 들은 현재까지 활발히 연구 되어왔다. 이에 반해 책가도의 안료적 특성에 따른 제작 기법과 회화적 특성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책가도는 조선후기 청으로부터 유입된 투시도법과 음영법을 적용하여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표현기법을 내제하고 있는 만큼 모사연구를 통해 기법의 변화양상을 분석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모사는 회화문화재의 복원과 보존을 위해 가장 기초적인 방법이며 긴 역사를 가진 방법이다. 본 고에서는 당시의 책가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자료수집 및 실견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사전 자료수집의 내용을 토대로 모사재현 하는 과정을 기록하였다. 회화문화재의 중요한 형태인 책가도의 보존과 전승에 본고가 조금이나마 기여할 것을 희망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