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2. 연구 문제 22

II. 이론적 배경 23

1. 동요 23

1) 동요의 정의 23

2) 동요의 특성 24

3) 동요의 변천 과정 25

4) 동요의 유형 29

5) 동요의 음악적 특성 32

2. 유아와 노래부르기 37

1) 유아기 노래부르기의 중요성 37

2) 유아기 노래부르기의 발달단계 38

3) 유아를 위한 동요의 선정 기준 40

3. 예비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 42

1)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의 역할 42

2)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43

III. 연구 방법 45

1. 분석 대상 45

2. 연구 절차 46

1) 연구주제 및 연구 문제 탐색 47

2) 선행 연구의 분석 기준 검토 48

3) 예비 분석기준 검토 및 수정 보완 48

4) 분석대상의 선정 48

5) 전문가의 검토 및 내용타당도 검증 48

6) 결과분석 및 글쓰기 49

3. 자료 수집 49

4. 자료 분석 51

1) 분석 기준 51

2) 자료 분석 53

IV. 연구 결과 54

1. 동요의 박자 54

1)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특성 54

2) 유치원 교육과정 시기별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특성 59

2. 동요의 조성 70

1)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특성 70

2) 유치원 교육과정 시기별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특성 75

3. 동요의 음역 86

1)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 특성 87

2) 유치원 교육과정 시기별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 특성 90

4. 동요의 음정 102

1)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정 특성 103

2) 유치원 교육과정 시기별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정 특성 105

5. 동요의 형식 115

1)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특성 115

2) 유치원 교육과정 시기별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특성 119

V. 논의 및 결론 129

1.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악적 특성 129

1)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129

2)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132

3)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 135

4)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정 137

5)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139

2. 결론 및 제언 140

참고문헌 146

부록 15

〈부록 1〉 제 3차 유치원 교육과정(1981)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목록 154

〈부록 2〉 제 4차 유치원 교육과정(198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목록 155

〈부록 3〉 제 5차 유치원 교육과정(199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목록 156

〈부록 4〉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목록 157

〈부록 5〉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200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목록 158

〈부록 6〉 3-5세 연령별 누리과정(201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목록 159

〈부록 7〉 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목록 161

〈부록 8〉 제 3차 유치원 교육과정(1981)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 목록 162

〈부록 9〉 제 4차 유치원 교육과정(198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 목록 164

〈부록 10〉 제 5차 유치원 교육과정(199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 목록 165

〈부록 11〉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 목록 167

〈부록 12〉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 목록 169

〈부록 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201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 목록 171

〈부록 14〉 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 목록 175

ABSTRACT 176

표목차

〈표 1〉 이성동(2009)의 동요 분류체계 31

〈표 2〉 김은주(2017)의 동요 분류체계 31

〈표 3〉 본 연구자의 수준별 동요의 선정 기준 42

〈표 4〉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수와 3회 이상 중복된 동요의 수 결과 46

〈표 5〉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연구자 별 동요의 음악적 요소에 의한 분석 기준 51

〈표 6〉 연구내용의 분석 기준 52

〈표 7〉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58

〈표 8〉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시작마디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59

〈표 9〉 제 3차 교육과정(1981)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1

〈표 10〉 제 3차 교육과정(1981)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시작마디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1

〈표 11〉 제 4차 교육과정(198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2

〈표 12〉 제 4차 교육과정(198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시작마디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3

〈표 13〉 제 5차 교육과정(199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4

〈표 14〉 제 5차 교육과정(199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시작마디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4

〈표 15〉 제 6차 교육과정(1998)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5

〈표 16〉 제 6차 교육과정(1998)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시작마디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5

〈표 17〉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6

〈표 18〉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시작마디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7

〈표 19〉 3-5세 누리과정(201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8

〈표 20〉 3-5세 누리과정(201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시작마디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68

〈표 21〉 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70

〈표 22〉 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시작마디 박자 형식의 분석결과 70

〈표 23〉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분석결과 74

〈표 24〉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개수 분석결과 75

〈표 25〉 제 3차 교육과정(1981)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분석결과 76

〈표 26〉 제 4차 교육과정(198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분석결과 78

〈표 27〉 제 5차 교육과정(199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분석결과 80

〈표 28〉 제 6차 교육과정(1998)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분석결과 82

〈표 29〉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분석결과 83

〈표 30〉 3-5세 누리과정(201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분석결과 85

〈표 31〉 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조성 분석결과 86

〈표 32〉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대 분석결과 89

〈표 33〉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 개수의 분석결과 90

〈표 34〉 제 3차 교육과정(1981)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대 분석결과 92

〈표 35〉 제 4차 교육과정(198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대 분석결과 93

〈표 36〉 제 5차 교육과정(199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대 분석결과 95

〈표 37〉 제 6차 교육과정(1998)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대 분석결과 97

〈표 38〉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대 분석결과 99

〈표 39〉 3-5세 연령별 누리과정(201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대 분석결과 101

〈표 40〉 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대 분석결과 102

〈표 41〉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정 분석결과 105

〈표 42〉 제 3차 교육과정(1981)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정 분석결과 107

〈표 43〉 제 4차 교육과정(198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정 분석결과 108

〈표 44〉 제 5차 교육과정(199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정 분석결과 109

〈표 45〉 제 6차 교육과정(1998)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정 분석결과 110

〈표 46〉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정 분석결과 112

〈표 47〉 3-5세 누리과정(201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정 분석결과 114

〈표 48〉 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최저음과 최고음의 음정 분석결과 115

〈표 49〉 제 3차~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분석결과 118

〈표 50〉 제 3차 교육과정(1981)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분석결과 120

〈표 51〉 제 4차 교육과정(1987)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분석결과 121

〈표 52〉 제 5차 교육과정(1992)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분석결과 122

〈표 53〉 제 6차 교육과정(1998)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분석결과 124

〈표 54〉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분석결과 125

〈표 55〉 3-5세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분석결과 127

〈표 56〉 2019 개정 누리과정 시기의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형식 분석결과 128

그림목차

[그림 1] 류덕희·고성휘(1996)의 동요 분류체계 30

[그림 2] 연구 절차의 진행 과정 47

[그림 3] 자료 수집의 진행 과정 50

[그림 4] 자료 분석의 진행 과정 53

[그림 5] D Minor 화성단음계 Scale의 악보 77

[그림 6] 창작국악동요인 〈참외밭에 삽살개〉의 악보 111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유아음악교육 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악적 특성인 박자, 조성, 음역, 음정, 형식은 어떠한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의 7개 도서관에 소장된 대학교재를 목록화하였으며,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구분하였다. 이 중 3회 이상 중복된 동요를 중심으로 Microsoft Excel을 사용하여 목록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분류된 동요를 음악적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는 홑박자인 서양음악에 치우쳐 있어 겹박자 중심의 전래동요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4/4박자의 곡이 교재에 많이 나타남으로써 이전에 비해 동요의 수준이 높아졌고, 이런 점에서 대학교재에 실린 동요의 예술성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높은 짝수박자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홀수박자인 3/4박자의 동요가 낮은 연령의 유아부터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동요의 조성은 대부분이 장조의 곡으로써 유아들에게는 밝고 즐거운 곡이 적절하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유아들도 나름대로의 슬픔과 고즈넉함 등의 조용하고 어두운 감정을 일상에서 경험함을 감안할 때 장조뿐 아니라 다양한 조성의 곡을 제시하여 동요를 통한 감정 순화와 표현력을 고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C장조 위주의 동요 편재성은 각 조성만이 가지는 고유한 음색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사라지게 만드는 것이므로 다양한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조성의 동요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동요의 음역은 c'-c"(가온도-높은도)의 음역대가 다수로 나타나 유아에게 적합한 음역대와 차이가 있다. 즉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은 유아들의 발달을 고려하기보다 8도 음역의 동요가 흔한 오늘날의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동요의 음정은 8도와 9도 중심의 음정 변화가 큰 동요 위주의 곡이 수록되어,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6도 이내의 동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선행연구와 차이가 있다.

다섯째, 동요의 형식은 두도막형식-한도막형식-작은세도막형식-세도막형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도막형식은 낮은 연령의 유아에게, 작은세도막과 두도막형식은 높은 연령의 유아에게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세도막형식은 유아들의 음악적 능력을 고려하여 제시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대학교재에 수록될 경우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의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이 시기에 수록된 동요는 이 전의 교육과정 시기에 비해 하향 평준화되어 오히려 과거의 표준보육과정에 수록된 동요의 수준과 매우 유사하다. 동요의 수록 수도 대폭 줄어 교재에서 동요가 갖는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동요에서도 서양음악 위주의 추세는 1980년대와 90년대를 풍미한 창작동요제와 더불어 유튜브와 같은 디지털매체의 발달로 더욱 편중되고 있음이 본연구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대적 감각에 맞는 전통음악의 발굴과 창작국악동요로의 영역을 확대할 필요성이 대학의 유아음악교육 교재에 실린 동요에서도 제기된다.